
1.치마 저고리 입고 달에게 무엇을 빌었는가
여장이 우리나라 곳곳에서 행하여진 풍습이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지금까지 다른 사람들에게 그런 이야기를 들어보지 못한것으로 보아 우리 고향에만 내려온 풍습일지도 모른다. 년령대를 보면 보통 국민학교를 졸업하기전까지의 아이들로 구성되었다. 보름날 달이 뜨기 전, 어머니의 한복을 몰래 꺼내들고 바닷가로 집결했다. 추위에 바들바들 떨며 달이 뜨기를 기다렸다. 드디어 수평선에서 떠오른 보름달이 바다위에서 출렁이기 시작하면 급하게 치마를 입고 저고리를 입고 머리에 수건을 두른후 일렬로 늘어서서 한해의 소원을 빌며 절을 하곤 했다. 족히 십여명이 넘는 숫자였다. 그때 빌었던 소원이 무엇이었는지 지금은 기억조차 나지 않지만 종교의식처럼 경건한 무엇인가가 가슴속에 살며시 자리잡았던 느낌은 아직도 남아있다.
2. 휘엄청 밝은 달빛 아래 각설이 타령은 울려퍼지고
여장을 하고 치루어진 의식이 끝나면 집으로 돌아가 세숫대야를 들고 모였다. 동네를 돌며 밥을 얻어먹는 의식이 남은 것이다. 세숫대야의 종류는 보통 두가지로 구분되었다. 깨끗한 세숫대야는 밥과 나물이 담기는 것이요, 지저분한 세숫대야는 각설이 타령의 장단을 맞추는 꽹과리와 징 대용으로 사용되었다. 동네 집들을 모두 돌며 구성진 각설이 타령 한방이면 보통 밥과 나물이 나오곤 했다. 가끔 물세례를 받기도 했지만 각설이의 집요함에 당해낼 재간은 없었던지 결국은 굴복하고 말았다. 밥과 나물이 한 세숫대야 그득해질때까지 돌아다닌후 휘엉청 밝은 달빛 아래서 즉석 비빔밥을 만들어 먹곤 했다. 온갖 종류의 밥과 나물, 그리고 각 집마다의 고유의 특유한 음식맛을 한방에 해결하곤 했다.
3. 달에게 던진 것은 진정 무엇이었을까
표준말로는 쥐불놀이인 놀이를 고향에서는 '망우리'라고 불렀다. 보통 남양분유 깡통에 못으로 구멍을 내고 철사로 손잡이를 만들어 윙윙 소리나도록 돌리곤 했다. 고향에는 하천이 있다. 그 하천을 사이에 두고 양쪽 마을은 언덕배기 고수라든지 해변가 고수를 명목으로 전쟁놀이가 한창이었다. 그러다 보름이 다가오면 정전협정이라도 맺은듯이 조용히 망우리 놀이를 준비했다. 여장과 세숫대야 의식이 끝난후 하천 주변 언덕으로 모였다. 어느 한사람이 불을 붙이는 것을 신호로 일제히 하천 양쪽 언덕에서 불길이 솟는다. 시리도록 밝은 보름달이 토해낸 선혈들이 돌아가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 동안 준비한 나뭇가지가 다 타고 보름달이 하천 중간 정도에 이르면 어디선가 하나의 망우리가 달을 향해 치솟는다. 그리고 양쪽 언덕에서 돌아가던 망우리들이 일제히 달을 향해 마지막 힘을 토해낸후 달빛 아래 하천 위로 조용히 사그러들었다. 마지막으로 달을 한번 흘낏 쳐다보고 돌아서던 가슴속이 알수없는 희열로 충만하곤 했다.
망우리를 마지막으로 돌려본것은 20대 초반이다. 당시 꽤나 힘든 시기를 보낼적이었다. 고향의 언덕길을 거닐던 나의 눈에 들어온 것은 몇 안되는 꼬마들이 돌리던 망우리였다. 어둠이 어스름 내리기 시작한 강가에서 돌아가는 불의 향연을 바라보면서 주요한의 < 불놀이 >가 강렬하게 떠올랐다. 아마 그처럼 < 불꽃의 고통속에서라도 더욱 뜨거운 삶을 살고 싶다 > 는 열망이었는지도 모른다. 망우리 하나에 1000원을 흥정하는 꼬마에게 받은 망우리를 돌리며 " 안녕 " 이라고 소리치며 달을 향해 던져올렸다. 나의 고뇌와 아픔이 담겨 던져올려진 마지막 망우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