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략 60명 가량의 신입사원 충원에 9000명 지원.
150:1의 경쟁자중 인사팀 1차 서류 면접 결과 250명 합격.
250명의 합격자중 우리팀 충원 예정 인원 2명.
2명의 팀원을 뽑기위한 우리팀 서류 면접 합격 인원 18명.
18명중 최종 면접일날 모습을 드러낸 인원 2명.
경영진 최종 검토결과 우리팀 미충원 결정.
얼마전 내가 신입사원 서류 면접을 진행한 결과이다. 원래는 팀장님들이 각팀 서류 면접을 진행하기도 되어있으나 긴급사항의 발생으로 서류 면접을 대신하게 되었다. 팀장의 지시는 출신학교,성별,학점,토익...위주로 선별해 놓으라는 것이었으나 아직 앳된 증명사진이 선명한 사회 초년생들의 입사지원서를 받아보니 섣불리 판단할 일이 아니었다. 오히려 선택의 고통이 뒤따랐다. 1시간 정도 배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4시간 가량을 그들의 면면을 파악하는데 보냈다.
최종 18명 합격 처리. 일단 가장 관심을 둔 부분은 서류 작성의 성실성이었다. 물론 해당업무와 관련된 전공이 먼저 고려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지만. 자기 소개서, 지원 사유, 향후 방향... 이 고리타분한 카테고리는 10년전 내가 입사할때나 변하지 않는구만. 이 지겨운 카테고리는 군대 훈련소에서도 사용했으니 범국민적이라 할만하다. 예전에는 글씨체만 보고도 그 서류의 성실성을 대략 판단했다고 하지만 요즘은 인터넷 지원이 대세인지라 내용 전체를 읽어보아야한다. 물론 붙여넣기 기능을 사용한 흔적이 역력한 글들도 있어서 글씨체의 역활을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글의 진실성을 파악한다는 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그들 가치의 기준이 내가 나름대로 생각하는 가치의 기준과 엇비슷해야한다는 논리는 얼마나 위험하고 건방진 일인가. 차라리 수치화되고 정형화된 팀장들의 선정 기준을 따를까 싶은 마음도 들었다. 하여간 글의 진실성에 최대한 중점을 두고 18명의 인원을 선발하였다.
마지막 면접실을 나오다 뒤돌아서 내가 책상위에 올려놓은 자료에게 한번더 애정어린 눈길을 주고 나왔는데 최종 면접일 결과는 2명 지원이라니...어떤 선별기준으로 뽑았냐는 팀장의 답변에 진실성이니 성실성이니 하고 답변하기가 참 궁색했다. 요즘같은 시대에 다중지원이 당연지사지만 허전한 마음이 드는것 또한 인지상정이리라. 어찌되었든 9000명, 특히 내가 서류를 만지작거린 18명의 인원은 어디에서든 잘 되길 바래본다.
p.s)각 팀별 최종 인원의 면면을 살펴보다 발견한 한가지 사실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가 여기서도 발견된다는 것이다. 서울대,카이스트,포항공대등의 지원서류는 특정 연구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출신학교 부분에서 제외된다는 것이다. 구태여 이유를 달지 않더라도 그들이 평범한 회사생활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편견과 우리 회사 아니더라도 충분히 다른 곳에 들어갈것이라는 편견...여러가지 일반화된 편견이 작용한 이유가 아닌가 싶다. 편견은 어차피 쌍방향일테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