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우영 삼국지 三國志 세트 - 전10권
고우영 지음 / 애니북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옛 말에 그런 말이 있다. '삼국지를 세번 읽은 사람과는 친구를 하지 말라.(계략을 세워서 뒤통수를 때릴지도 모른다는 의미인가?)' 혹은 '남자라면 삼국지를 열 번은 읽어야 한다.(남자라면 포부를 가져야 한다는 말이려나?)' 삼국지가 대체 어떤 작품이기에 이런 말들을 낳았을까?

  최근들어 삼국지는 대중적으로 크게 유행처럼 번져갔고, (몇 년 전에 서울대 수석합격한 사람이 삼국지에서 도움을 받았다고 했었던 이후로 그랬던 것 같지만 내가 어렸기 때문에 정확히 기억은 안난다.) 그 때문인지 여러 작가들이 해석한 여러 판본이 나와있었다. 집에 이문열의 삼국지가 있었지만, 사실 그 책들을 진득히 다시 보면서 내 기운을 빼고 싶지 않았던 마음과 함께 좀 더 다른 삼국지를 맛보고 싶다는 생각에 접어든 것이 바로 고우영의 삼국지였다.

  사실 나는 만화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남들은 도서대여점에 가서 만화책빌려서 볼 때도 소설책을 빌려본 사람이고, 내가 본 만화는 그나마 좋아하는 장르인 추리만화류밖에 없다. 만화는 왠지 '애들이나 보는 것.'이라는 생각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머릿속에 박혀있었던 것인지 어쩐지. 여튼, 그런 나의 만화에 대한 편견들이 이 책 한 권으로 산산히 부서져버렸다. 고우영이 살려놓은 캐릭터들의 모습은 그 캐릭터의 성격과 너무 잘 맞아들어갔고, 그 때문에 책에 좀 더 몰입해서 볼 수 있었다. 또한, 고우영은 유비를 쬬다 유비, 제갈공명은 방석집 18번 아가씨나 씨스터보이, 유비와 정략결혼을 한 손권의 누이를 생고무 라고 표현하는 등의 재미있는 표현과 함께 재치있는 말들을 간간히등장시켜서 책 읽는 재미를 한껏 느끼게 해주었다. 더불어 만화의 힘도 느끼게 되었고.

  이 책을 보면서 마냥 사람 좋은 것 같이 보이는 유비의 속내를 가끔 알게 될 때면 능구렁이같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고, 뛰어난 지략을 선보인 제갈공명에게 박수를 보내면서도 한 편 그가 경쟁자로 느낀 관우가 위험에 빠진 것을 알고도 도와주지 않아 관우가 죽어갈 때에는 가슴이 먹먹해짐을 느꼈다. 조조에 대해서도 때로는 참 영리하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간사하다싶기도 했다. 이렇듯 삼국지 속에 나오는 인물들은 마냥 선한 사람도, 마냥 악한 사람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그저 자신의 목숨과 세력을 지키기 위해 그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을 했을 뿐. 그들이 악하게 군 것이 시대탓이지 그들의 탓이었겠는가.

   수많은 사람들이 등장하고, 수많은 계략이 등장하고, 수많은 배신. 어제의 적이 오늘의 동지가 되기도 하고 오늘의 동지가 내일의 적이 되기도 하는 그런 상황들을 지켜보는 것은 흥미진진했다. 현재를 살고 있지만, 이 책을 볼 때만큼은 삼국지의 배경 속으로 빠져들어갔다. 많은 시간이 흘렀지만, 역시 굉장한 힘을 가진 책임에는 틀림없다는 생각이 저절로 들었다.

  고우영 선생님이 펴내신 초한지나 수호지, 십팔사략과 같은 책들도 기회가 닿으면 접해봐야겠다. 선생님께서 더 오래 사셔서 좋은 작품들을 더 많이 내셨으면 좋았을 것을. 조용히 고인의 명복을 다시 한 번 빌어본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클 2005-09-02 09: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 보셨군요? 재밌죠? ^^

이매지 2005-09-02 2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야클님 덕분에 좋은 책 만났어요^-^ 이히히. 감사드려요 ^-^

날개 2005-09-02 2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우영 삼국지를 저는 아주 어렸을때 봤는데.. 충격받았었어요.. 야한 내용이 많아서..^^;;;; 그..근데, 옛날에 나왔던 그거 맞는거죠?

이매지 2005-09-02 2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게 굉장히 예전에 나왔던 건데 무삭제판으로 나왔다고 하더라구요^-^;
아마 날개님이 예전에 보신 그게 맞을꺼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