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울 속 여행
김주영 지음 / 문이당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책속의 소제목들이 유독 정감어린 책이다. <거울 위의 여행>, <땟국>, <괘종 시계>,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등등 '작가의 말' 서문을 보면 이 책은 지난날 작가가 내놓았던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를 많은 부분 개작하여 다시 내놓은 책이라고 한다. 1950년대 '나와 아우'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얽히고 설히는 이야기들로 구성된 이 책. 작가 김주영 자신의 어린 시절 이야기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갖게 하는 이 글은 이십대 후반기를 넘어 삽십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나에게 마저 많은 추억거리를 회상하게 한다.
작가와 나 사이에는 삼십년 가량의 세대 차를 두고 있음에도 말이다. 그 추억거리란 예를
들면, 내가 기억도 못하는 아주아주 어릴적 갖고놀던 퍼즐조각이며, 조립용 플라스틱 구슬과 막대기 같은 갖가지 장난감과 책들, 못입게 된 세네살적 옷가지 등등의 잡동사니가 그득하던 다락을 떠오르게 한다. 그 시절 우리들은 엄마가 계시지 않을 때면 그 속으로 올라가 해질녁까지 아주오랜 시간을 보내다 내려오곤 하였었다.
둘째의 추억거리는, 주인공이 반친구가 교실 마루 바닥에 난 구멍 속으로 떨어뜨린 돈을 찾아 주기 위해, 들어간 마루바닥 그 밑에 컴컴한 속에서 반아이들이 떨어뜨린 동전, 자, 연필 콤파스 등등을 보게 된다. 흡사 보물 창고를 연상시키던 그 교실 마루바닥 밑을 탐험한 이야기는 어릴 적 연필모으기에 유난을 떨며, 교실마루바닥을 뜯으면 그 속에 많은 몽당연필들이 숨죽이고 누군가 자신을 발견해 주기를 기다리고 있을 텐데... 하는 생각들... 하던 어린 시절의 나의 모습과 오버랩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또하나의 이야기, 주인공의 당시 가난한 시절엔 유독 육성회비를 잃어버린 아이들이 많아서(육성회비를 못내는 것이 선생님께 죄스러워 어떤 아이들은 돈을 잃어버린 걸로 가장하는 일도 벌리곤 한다.) 한번쯤은 도둑으로 몰리는 일이 비일비재한 교실 풍경이 나온다. 누구나 선생님으로부터 돈을 가져간 아이로 의심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유독 주인공은 그렇게 선생님께 교무실로 따로 불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어린 나이에도 선생님의 그런 추궁에 전혀 기죽지 않고 당당하던 소년.
이들 형제는 이렇게 땟국물 뚝뚝 흐르는 앳된 어린아이에서 회한 많은 어른들의 아픔도 읽어낼 수 있는 나이에 이르는 중간 과정에서 참 많은 일들을 벌이고 또한 겪어내게 된다. 1950년대였던 당시 사상범으로 발각되어 형사들에게 무자지하게 잡혀가던 이발소 주인 설영도 아저씨, 설영도 아저씨의 연인이던 최영순 선생님마저도 종적을 감춘 일. 그리고 그 두 사람과의 주인공이 얽힌 그림 액자에 관한 이야기.
그림 액자 때문에 술도가에서 고두밥을 지키던 우직한 삼손 아저씨 장석도가 지서에 잡혀가 빨갱이로 몰려 애꿎은 고문을 당한 일. 빨갱이에 대한 마을사람들의 억측과 풍문들. 그리고 삼손 아저씨와 주인공 형제 간의 의리. 특히 삼손 아저씨가 그 고장을 어느날 홀연히 떠나게 된 일은 독자인 내 맘 속에 작은 파문을 그리게 한다. 그리고 남의 집 살이를 해가면서 때로는 엄하게 때로는 따사롭게 홀로 두 형제를 길러낸 주인공 어머니의 모습을 통해, 가난한 그 시절을 애닯고도 그윽하게 보여 주고 있다.
생각해 보면 작가에게도 독자인 나에게도, 우리의 어린 시절에는 참으로 많은 사람들이 나에게 와서 머물다가 가곤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의 뒷모습은 때로는 아름다웠고, 때로는 많은 아픔을 주었다. 아마도 우리는 수많은 이별과 그에 얽힌 추억들을 통해, 슬프지만 그래도 꾸역꾸역 밀려오는 울음을 목구멍으로 밀어내야 하는 그런 어른으로 성장을 하게 되는가 보다. 그리고는 가끔 이렇게 '거울 속으로의 여행'을 통해서나마, 이별하였던 사람들을 작은 소리로 호명하며 불러내 보는 것이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