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상은 책상이다
페터 빅셀 지음, 이용숙 옮김 / 예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읽은 이 책은 1969년작 페터 빅셀의 단편집 <아이들의 이야기>를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 <아이들의 이야기>라고, 하지만 이 책은 어른들을 위한 동화 같다. '동화'의 좁은 의미의 정의는 동심의 세계를 그린 이야기란 뜻이라면, 이 이야기는 넓은 의미의 정의 쯤 될 것이다. 천천히 읽어도 단편 7개를 모두 읽어내는데 2시간도 안 걸린다. 하지만 이 책의 여운은 오래도록 남는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초등학교 다닐 적에 같은 반이었던 한 남자애를 생각했다. 우리반 모든 아이들이 그 친구를 은근히 따돌리기 일수였다. 심지어는 선생님도 가끔 그 친구를 아이들 앞에서 무안을 주었다. 놀라운 건 그런 정체모를 핍박에도 불구하고 항상 같은 태도로 선생님께 질문을 하고, 친구들에게 엉뚱한 행동을 보이곤 하는 그 아이 모습이었다. 그 당시에는 나도 다른 친구들이 그렇게 대하듯 그 친구를 무시했던 것 같다. 사실은 잔손재주가 많은 아이였고, 말재간도 좋았고, 노래도 잘 불렀는데...
그런데 지금 와 생각을 해 보니, 같은 반 친구들이 그 친구를 암암리에 따돌렸던 행위는, 그 친구가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가치를 전복시키려는 듯한 스스럼 없는 생각과 행동에 대해서, 일종의 방어 작용을 한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상식이라는 걸 신념으로 알고, 기존의 체계 질서에서 벗어나는 혼란스러움을 싫어하며 살아가는 현대의 우리 모습이 그러하듯 말이다.
'그 친구는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처럼 '절망적인 실어증에 빠지거나',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확인하러 떠났다가 돌아오지 않거나' 하진 않았겠지. 쳇바퀴처럼 나날이 똑같이 꽉 짜여진, 정말 전형적인 일상을 사는 현대인의 모습을 한 나에게 어릴 적 그대로의 모습을 한 그 친구가 짠~하고 나타나 '너는 여전히 그렇게 재미없게 살고 있니' 라고 말하는 꿈을 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