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2년생 김지영 ㅣ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흔히 보고 듣는 이야기였지만, 울컥 하게 된다. 이런 감정과 경험들은 실제 당사자가 되어 겪어보지 않고서는 온전히 알겠다 느꼈다 라고 말하기 어려운 종류이다.
십대는 그들대로 공부하느라 세상살이가 힘들다고 하소연하고, 청년층은 어떻게든 살려고 아등바등하는데 사회의 진입 돌파구를 뚫는 일이 힘들고, 중년은 중년대로, 노년은 노년대로 ....
소설의 형태를 갖추고 있지만, 사회 제도 개선을 고하고 있는 훌륭한 실태 보고서이기도 하다.
여담인데,,, 김지영이 상담했던 의사의 아내는 수학영재였고, 학창 시절 자신(의사인)보다 더 뛰어난 동기였으나 아이들 키우면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불거지며 전업으로 머물렀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지금의 아내는 뜻대로 되는 것은 수학문제 푸는 것밖에 없다며 열심히 초등 수학문제집을 푼다는데, 자신은 아내가 언젠가 잘하고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지만, 사유와 고민은 거기서 끝이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아내의 꿈은 남편이 절대 챙겨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관심조차 없는지도 모른다. 스스로 돌파해 나가야 한다. 눈물을 머금고...)그 좋은 재능을 썩히고 있다는 이야기인데, 처음 읽기에는 뜨악했지만, 그게 어떤 사람한테는 즐거운 취미인 성인도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패배자인양 여길 것만도 아닌 듯 했다.
요즘에는 내가 보고 느끼는 모든 것에 대해 “양가 감정”이라는 단어를 갖다 붙이게 된다. 이 책에서도 그렇다. 육아를 하기 전에 가졌던 타이틀과 일들을 육아를 도맡아하게 되면서 버려야 하는 상황에 처해졌다면, 일터라는 사회적 제도권 안에서의 위치 상실이면서 동시에 인생에 있어서 참의미를 알게 하는 힘들지만 창조적(?)이며 생산성(?) 있는 일(아이들을 키우는 일)하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서운함은 냉장고 위나 욕실 선반 위, 두 눈으로 빤히 보면서도 계속 무심하게 버려두게 되는 먼지처럼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두 사람 사이에 쌓여 갔다.”
참 절묘한 표현이다~ 우아! 정말 이런 감정을 느끼지 않고, 아이들의 유아시기를 보내는 부부는 아직 한 커플도 못 봤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