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처럼 - 우리시대의 지성 5-016 (구) 문지 스펙트럼 16
다니엘 페낙 지음, 이정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황순원의 ‘소나기’나, 이청준의 ‘눈길’과 같은 작품을,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가 아닌, 개인적인 내밀함을 추구하는 읽기의 연장선상에서 먼저 만났더라면, 그 감동은 조금 달랐을 거라고 생각한다. 학교 교과목에서 그리하듯, 복선이 뭐냐, 주제가 뭐냐, 요약을 어떻게 할거냐에 혈안이 되어, 깨어있는 독서, 창조적인 독서를 왕왕 부르짖다 보면, 읽어내야 할 모든 글조가리들이 마음속에 부담으로 다가오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페냑의 말처럼 소설은 그냥 소설로 읽어야 맛이 난다. 우리는 이야기가 그립고 이야기에 굶주려 있으니, 그저 분석하는 고민에서 벗어나 이야기 자체에 흠뻑 빠지고만 싶은데.
책머리에는 이 책을 부디 강압적인 교육의 방편으로 삼지 말아달라는 작가의 간곡한 부탁이 있기는 하지만, 페냑은 읽기 교육에 있어서 여러모로 지침을 삼을 만한 말들을 많이 해 준다.

책과 담쌓은 아이들에게 읽기의 즐거움을 깨우쳐 주기 위해서는 어린아이가 처음에 글자를 배울 때 그러했던 것처럼, 다 큰 아이들에게도 소리를 내어 크게 읽어 주라고 한다. 그것이 읽는 즐거움의 시초였다고. 그런 다음 내용을 묻지 말고, 독후감을 쓰라고도 하지 말라 한다. 독서를 하면서 가장 먼저 누릴 수 있는 권리는 아무 말도 하지 않을 권리라고.

우리는 학교에서 읽기를 배우지만, 책 읽는 법을 좋아하는 것은 학교에서 비롯되지는 않는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책 읽는 일을 좋아할 수 있지.
작가는 이 책을 통해 책읽기란 무엇보다도 바로 이야기에 대한 갈구, 허기를 채우는 일이었다는 사실을 계속 상기시켜 준다.


어디 하나 버릴데가 없는 표현들로 20년 남짓 교사 생활을 했고, 여러 동화들을 써낸 작가가 술술 풀어내는 이야기에 귀를 귀울여 보는 재미가 그 어디 비할 데 없이 좋다. 게다가 안과 밖, 중심과 주변, 어른과 아이의 시각을 두루두루 아우르며 쓰여져 있기에, 처음에는 아이들에게 책을 읽히는 방법적 측면에서 이 책에 귀를 기울이다가는, 조금 읽다보면 성인이며, 책을 조금 읽었다는 우리 자신에게 그 목소리가 향함을 느낄 수 있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5-05-02 17: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감 120%요. 책에 나오는 그 멋진 단편들( 사실 사회 나와서 읽어본건 김승옥의 무진기행밖에 없지만요) 을 수능이란 지상최고과제의 하나로서만 분석하고 읽어야 했던건 그래서 소설을 소설로가 아닌 문제로 보았던건 정말 억울해요.

icaru 2005-05-02 18: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스 하이드 님... 짜르르~~~! 감전된 거 같습니다..제말이 그렇다니까요..
무진기행...아... 그 작품이 맨으로 읽으면 참...괜찮은 거 아닙니까...
수능 ...논술... 하니까는...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도 생각나네요...
분석하고 논하라... ㅠ,ㅜ 투성이...

2005-05-02 21: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5-05-02 22: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실비 2005-05-02 22: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절로 고개가 끄덕이네요.. 동감합니다.^^

icaru 2005-05-03 0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 님...아하아... 제가 이 작은 포켓 사이즈 북에 포옥 빠졌다지요... 어느것하나 버릴 게 없고...생각같아서는 밤이새고, 날이새도록... 책 전체를 문서로 남기고 싶단 생각까지 했을까요...제가 좀 오버쟁이긴 합니다만... 저 책은 진짜 보물이더라고요... 고마워요...님 ㅠ.ㅠ 제 호들갑을 귀기울여 들어 주셔서요 ^^
실비 님... 그죠오? ^^

2005-05-03 08: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5-05-03 10: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icaru 2005-05-03 23: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도 출장에서 돌아오신거래요? 저...잘 지냈어요~ 하아.. 지도 그 시를 쓴 시인은 시험문제를 어케 생각할까...궁금한데.....주변에 교과서에 작품을 낸 사람들 중 아는 사람이 없네요 ^^ 물어보고 싶은데...


2005-05-04 12: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05-05-04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옳소! 옳소! 이카루님 말씀이 맞소. 요즘 아이들은 책을 많이 읽긴 하지만 자신만의 의미를 추려낼 시간이 없어요. 기계적으로 그냥 핵심을 외워버려야 하니깐요.

로드무비 2005-05-05 0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순이 언니님아, 페이퍼는 엇따 감췄슈?
이름도 바꾸시고.
내부수리중이시군요.
그건 그렇고 이 책에 대한 엄청난 칭찬에 할수없이(?)
보관함에 집어넣습니다.^^

2005-05-06 13: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5-05-07 12:4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