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랑비 속의 외침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4년 1월
평점 :
절판


 “그리하여 난 비로소 삶과 죽음 사이의 갈림길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속 살아갈 자들은 태양을 똑바로 바라볼 수 없고, 오직 죽음을 앞둔 자의 눈만이 햇발을 뚫고 태양을 볼 수 있다는 사실 말이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요전 날에 본 쿵푸 허슬 생각이 마구 났다. ‘악다구니, 허풍’ 그런 것들이 닮았다. 쿵푸 허슬의 유쾌 통쾌함은 좀 예외로 둔다면 둘 다 중국 민초들의 대륙성 기질다웠기에 그리 느꼈었던 것 같다고 돌려 말해도 될까.
   
  위화는 이제 나이 40대 초반이라는데, 쓰는 글을 보면 인생을 살만큼 다 살아본 사람 같다. 이 소설은 광림이라는 어린 소년이 청년의 나이가 될 때까지 일을 생각나는 대로 쓴 회상 소설이다. 생각나는 대로라 하는 것은, 시간을 이리저리 오락가락 하면서 이야기를 꺼내기 때문이다. 기억이란 속세의 원한과 은혜를 뛰어넘어 저 홀로 오는 것이기 때문인지라, 광림은 아버지나 형에게 맞은 기억, 믿었던 친구에게 배신을 당한 기억을 생각해 내고도 노여워하거나 복수의 눈빛을 다지지는 않는다.


이 소설 속에 나오는 몇몇 인물은 어찌나 파렴치인지, 주인공 광림이의 아버지 광재는 자신의 아버지 유원이 늙어서 일도 못하고 밥만 축낸다고 온갖 잔머리를 써서 자신의 늙은 아버지가 밥을 못 먹게 수작을 부린다. 할아버지도 할아버지 대로 잡아떼거나 골탕을 먹이는 은근한 방식으로 아버지의 하극상에 우스웁고 완곡하게 대응하는데 이게 또 이 소설의 재미이다. 아버지는 어머니가 계신데도 불구허고, 과부와 정을 통하여 바람을 피우는데 설상가상으로 형마저도 그 과부와 정을 통한 사이라, 어머니와 과부가 한 판 붙었을 때 두 남자는, 과부에게 일방적으로 얻어터지는 어머니를 보호해 주지 못하고 줄행랑치기에 바쁘다. 공중에 방 떠버린 허망한 어머니. 이 모든 것을 속수무책으로 묵묵히 지켜보기만 하는 나는 숫기 없는 천덕꾸러기이다. 이런 아버지가 최후의 운명을 맞이할 때는 똥통에 빠져 죽는다. 아버지는 파렴치한 잡범 같은 사람이었으나, 처음부터 그런 사람이 아니었고, 또 비참하고도 어이없게 죽음을 맞이하는 불쌍한 사람이기도 했던 것이다. 

 이 소설은  <허삼관 매혈기>처럼 해학과 풍자가 넘실대지는 않는다. 무엇보다도 중국적인 것 대륙적인 것을 잘 보게 하는 소설이지만, 어째 유쾌해지지만은 않는 것 말이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5-03-10 1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오늘 <닭털같은 나날> 읽고 있는데요.
찐득하니 붙어앉아 책 읽으면 좀 좋아요?ㅊㅊ
위화의 주인공들과 닮은 인간들이 많아요.
이 책도 우선 보관함에......

잉크냄새 2005-03-10 2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위화의 소설은 묘한 매력이 있는것 같아요. 저도 <허삼관 매혈기>에 이어서 <살아간다는 것은>을 읽어볼까 폼잡고 있습니다. <닭털같은 나날>도 보관함에 슬그머니 넣어야할까 봅니다.

2005-03-11 00: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icaru 2005-03-11 1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드무비님... 닭털같은 나날이라~ 음...검색을 해서 보니 평도 좋고, 대체로 좋네요~ 위화보다 두 살 위의 작가로군요. 같은 세대의 인물...그래선가...위화의 소설 속 주인공들과 닮은 인물들이 많이 나온다고요... 저도 언제 한번 읽어봐야 겠습니다~ 저도 보관함에....

잉크냄새님... 묘한 매력..맞아요...인생에 대해 허심탄회하다는 것...살벌한듯하면서도 무상한 느낌을 주는 것..... 번역자는 우리가 그의 소설을 읽을 때 인생을 살아간다는 것-> 가랑비 속의 외침-> 허삼관 매혈기 순으로 읽는게 작가에 대한 이해도 높이고 또 효과적인 작품 감상도 할 수 있을 거라고 하네요...

그렇담 저는 거꾸로의 순서로 읽는 게 되는 거 있죠..

속삭이신 님...정말...위화의 최고의 작품은 역시 허삼관 매혈기가 아니었는가 하는 생각을 해봄서,,,, 이 책도...재미있어요... 허삼관 매혈기하고 조금 다른 점에서요...

2005-03-11 20: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05-03-12 0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더 이상 나에게 너만을 강요하지는 말아줘~
서둘러 가야할 이별에 눈물은 장애가 될 뿐이야~
...
내 맘속에 고요함을 깨뜨리고 널 두고 난 떠나네~
운명처럼 받아들인 헤어짐이 눈~물~로~
헤이헤이~

복순 아짐, '고요 속의 외침'이란 노래를 아십니까? 꽤 오래된 노래인데 R. EF란 땐쑤 그룹이 불렀고 표절혐의를 받았죠. 아마 복순 아짐께선 아실 것두 같고. 그 친구들이 유행시켰던 춤동작 하나 알려드립죠. '내 맘 속에~'할때는 다리를 어깨넓이로 벌리고 일단 거수경례를 할 때처럼 팔굽과 손을 일자로 뻗고 곧바로 무언가를 깍아치듯 내리치기를 반복하는 동작이 이어집니다. 중간엔 대충 알아서들 개발한 막춤 퍼레이드(제 개인기는 일명 스케이트춤이었는데 무표정한 얼굴로 스케이트 타듯 몸을 앞으로 내밀고 팔과 다리를 엇갈리며 그 동작만 반복하는 검돠, 그러다 '내 곁에 맴도는~' 그 부분에선 다들 똑같이 남철, 남성남춤으로 통일!). 마지막은 크게 점프하고 왼쪽 다리 세우고, 앉은 자세에서 한 쪽 팔로 땅 짚고 고개 숙이며 휭키하게 마무리. 크하하..꿍꿍이가 쫌 농후해서 재수(삼수던가ㅡ,.ㅡ;;)할 때,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친구들이랑 단골 탁구장에서 몸도 안 따라주는 춤추고 그랬었네요. 헛. 근데 여기 신성한 리뷰공간에서 책 이야기 말고 이런 얘기해두 될랑가 몰겄어요..죄송해요. 근데 정영문의 단편 속에서도 화장실에서 똥 싸다 죽는 아버지가 등장해요. 뭐, 물론 위화의 소설관 전혀 다른 내용과 분위기지만 '아버지는 자신의 전 생애를 똥구멍으로 밀어내고 죽었다.'던가..그 문장이 떠오릅니다. 내 맘 속에 고요함을 깨트리고오오~~

icaru 2005-03-12 1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 님... 예에... 하나가 끝나고... 조금의 시간 여유가 생겼어요... 님은 여전히...매진 중이시죠? 힘내세요!!! 속삭이신 님 홧팅!!!!
글고...그건 제가 겁이 많아 그래요... 어흑... 조심조심 건강조심...입니다... 그럴려면 ...커피부터 끊어야는데.. 단디~ 중독이라...

복돌언냐... 어맛...미치겠다...그 춤...탁구장에서 수련하신 그 춤...알이에프의 노래에 맞춰....보고 싶어...죽겠네요 >@<
뭐 그럴줄 알았다지만.. 복돌언냐는 춤에도 일가견이.. 예전에 보았던 날렵한 단화...춤꾼의 단화였던 거예요...하하하...이젠 추억의 알이에프네요~ 음냐..
정영문의 단편에 그런게 있는가보네요... 저도...한때 정영문에게 관심이 동해서... 책 몇권을 샀었는데... 한 권도 읽어내지를 못했어요... 그게 삼년전 얘기네요...
시간이 흘렀으니...이제 그의 소설을 무람없이 읽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는데... 어째.. 좀 망설여지네요...
근데..'아버지는 자신의 전 생애를 똥구멍으로 밀어내고 죽었다.' 이 문장 하나는..명문이네요...명문... 님...이런 걸 다 외우시고... 역시...복시스터즈는 똥에 강하지요!!

2005-03-12 11:4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