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동안 나는 동네 구립 도서관 열람실 한 자리를 차지하고는 거기서 일도 하고, 책도 보고 했었다. 한번은 내 자리 맞은 편(칸막이 열람실이 아닌)에 참으로 지속적으로 밀어를 속삭이며 쑥덕거리는 대학생 커플이 앉아 있는 거였다. 소싯적 학교 다닐 때의 도서관에서도 그랬지만, 연애할 장소들이 쎄고 쎘는데 신성한 도서관 열람실 자리차지하고 앉아서 본래의 사무는 뒷전이고, 노닥노닥이는 커플들의 모습은 참고 보아 주기가 힘들다. 그 때 나는 고개 들어 정면을 바라보고 그 두 사람에게 눈총을 주려 시선을 올리던 중이었다. 그 때 커플의 앞에 놓여 있는 책 한 권 철커덕 들어왔다. 사막의 밤에 혼자 길 떠나는 객의 뒷모습을 담은 예쁨직한 삽화. 제목은 ‘연금술사’다. (전공서적이나 수험서 외의 책을 펼쳐 놓은 것은 참으로 인상적인 광경이었다. 소설 책 읽는 대학생이 기특들해서 쏘아 봐 주지 않기로 했다. ) 그 때의 느낌으로 이 책은 대학생들이 읽는 책이란 꼬리표가 붙었다. 그 꼬리표에 덧달아 ‘철없이 한창 좋은’ 이라는 수식어를 붙여도 좋겠다.


하지만 이것이 이 책에 대한 얼마나 단편적이고도 잘못된 인상이랴. 일단 이 책은 세대나 직업군 별로 독자층을 따로 갖지 않을 그러니까 자신의 자아를 찾아가는 것에, 자신의 영혼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 울림을 주는 현대판 고전이랄 수 있겠다. 아, 게다가 동화처럼 쉽게 잘 읽힌다.

 

살아오면서 항상 의문을 갖곤 했다. ‘나만의 길’이라는 게 있을까 하는, 내가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 같은 것 말이다. 그런 게 과연 있다고 해도, 나는 그 숙명을 제대로 온몸으로 체감하고 그 신화에 도달하기 위해 사력을 다할 수가 있을 것인지, 드디어는 신화를 이룩할 수가 있을 것인지.

이 책은 자아의 신화를 찾아 사막을 건너 이집트로 향하는 이야기인데, 음 과연 주인공 양치기는 ‘자신의 신화’를 어떻게 이루어 갈 것이며, 이것이 또 나에게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나도 예전엔 꿈이 있었다. 그러나 때로는 너무도 쉽게 마음이 미욱하여져서 나는 그걸(꿈을) 이룰 자격이 없거나 아니면 아예 이룰 수 없으리라고 생각되곤 했다. 이 소설 속에서도 주인공 양치기 청년이 담대한 마음을 갖으면서도 시시종종 두려움에 사로잡히듯 말이다. 그리고 점점 생활이랄까 생존의 법칙 같은 것은 빨리 체득하고, 상대적으로 꿈은 빨리 포기하게 되었다.


아 그렇기는 하지만, 음... 인생에서 무언가를 찾아나서는 도전은 언제나 ‘초심자의 행운’으로 시작이 되지만, 반드시 ‘가혹한 시험’으로 끝을 맺는 법이란다. 이 때 우리의 마음들은 항상 이 가혹한 시험에 고통을 받을까봐 두려워하게 되는데, 그럴 땐 우리의 마음에게 이렇게 조용히 속삭여 주어야 한다. ‘고통 그 자체보다 고통에 대한 두려움이 더 나쁜 거'라고. 사실은 꿈을 찾아가는 매순간이란 신과 영겁의 세월을 만나는 빛나는 순간이다. 사실 우리의 마음은 신과 조우하는 빛나는 시간들을 고대하고 있었던 것이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마음과 평소에 잘 대화하는 습성을 키워 두어야 하고, 또 항상 마음이 전하는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자아의 신화를 찾는 일 즉 위대한 업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는 게 아니었다. 그것은 하루하루 자아의 신화를 살아내는 세상 모든 사람 앞에 조용히 열려 있는 것이다. 과시할 필요도 자랑할 필요도 없다. 묵묵히 나의 길을 갈 뿐.


사족, 이 책에서 말하는 ‘연금술’은 자아의 신화를 이루어내는 일이고, 곧 그것은 우리 각자에게 예정된 진정한 보물을 찾아내는 일이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밀밭 2004-07-06 2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 책 아직도 못 읽어 보았네요. 왠지 자주 서점에서 보다 보니 읽은 듯한 착각이 드는 책 중에 하나예요. 그냥 이제는 많이 미루었다가 살기가 아주 힘들 때 읽어 볼까 싶기도 하고요. 읽게 된 과정이 참 재미있네요. 요즘은 그 책을 어떻게 해서 읽게 되었는지를 다 잊고 사는데 그런 에피소드는 책을 더 오래 기억에 남게 해주잖아요. 님이 포기한 꿈은 뭘까요. 제가 포기한 꿈과 비슷한 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꿈은 포기했어도 뭔가 아직 발견할 꿈들이 조금은 남아 있어서 하루하루 사는 게 아닌가 싶어요.

icaru 2004-07-07 08: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정말..서점가에서 오래도록 자리 차지하구 있더군요...음...님~! 님의 꿈은 무엇일지 이거 무지 궁금한데요...!! 흐흐.........음....정말..저하고 다르면서도..유사한 게 아녔을까...하는 깊은 심증이 ㅋㅋ
그런데...님...아직은 포기란 말이 이른듯합니다..님은 지금...하루하루 조용히..자신만의 연금술 세계로 향하고 있진 않나요?

비로그인 2004-07-26 16: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 이 리뷰 읽던 날, 이 책 구입했어요. 근데 아직까지 읽진 못 했네요.
이번 휴가 차에 이 책이랑, 그 있잖아요...<애크로이드 살인사건>요...그 두 권 중에 한 권을 가져갈까 생각 중이랍니다. 그런데 왠지 추리 소설 쪽으로 맘이 기울어가는 것은?...^^*

icaru 2004-07-27 15: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제 생각에도 애크로이드~ 부텀 읽으시라...하고프네요...
곧 휴가신가요?~~ 저두요~~!!

내가없는 이 안 2004-08-05 19: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표현, 때로는 너무도 쉽게 마음이 미욱하여져서 나는 그걸(꿈을) 이룰 자격이 없거나 아니면 아예 이룰 수 없으리라고 생각되곤 했다, 이 구절이 왜 이리 마음에 와닿는지, 잠시 생각했는데 '미욱하여져서'란 표현이 너무 사랑스러워서인 듯합니다. 저 이 표현 제 머리로 퍼나를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