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 손 ㅣ 창비시선 320
이세기 지음 / 창비 / 2010년 9월
평점 :
시집에 별점을 주는 일은 어렵다. 내가 잘 읽지도 못했으면서 평가를 한다는 것이 영 내키질 않는다. 리뷰를 쓸 때 별 점 없는 리뷰를 쓸 수 있었으면 좋겠다. 별 셋을 연두색으로 색칠해두고 내가 잘한건지 모르겠다. 요즘의 나는 매사가 그렇다. 이게 잘한걸까, 잘하고싶다, 이런 생각들의 반복.
엊그제는 술을 마시고 귀가하는 길, 택시를 탔다. 술자리는 열 시쯤 파했으니 지하철을 타도 충분하고, 나는 술을 마셔도 지하철 타고 귀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집에 조카가 와있었다. 나는 조카가 잠들기 전에 얼른 들어가서 조카를 보고 싶었고, 그래서 택시를 타고, 이내 후회했다. 차가 너무 막혀.. 택시 안에서 친구랑 통화를 했다. 친구와 통화를 했다고 해서 답답한 나의 마음이 해소된다거나 하지는 않았다. 전화를 끊고 창 밖을 내다보고 있었는데 기사님께서 내게 물으셨다.
왜 그렇게 한숨을 쉬어요?
나는 내가 그렇게 커다란 한숨을, 기사님께도 들릴만한 한숨을 내뱉었다는 걸 기사님의 말을 듣고서야 깨달았고, 적당히 술을 마셨으며 또 이 기사님을 다시 보지는 않을거라는 생각 때문인지 아주 편하게 말했다. 답답하다고. 일상이 답답하고 지겹다고. 이렇게 먹고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기사님은 우리 모두가 그렇다고 했다. 남들도 다 그렇게 살아요, 라고.
부채
왜 이리 사는 게 힘드냐
아내가 모로 누운 채
어젯밤에 한 말이다
나는 딴청을 부리듯
부채를 부친다
여울물을 거슬러올라가는
물고기 먹점 찍힌
부채는 팔랑팔랑 바람을 일으킨다
왜 이리 덥냐며 딴 시늉을 걸지만
달력에 기일이며 약속들이
밤고양이마냥 오는 게 아닌가
부채야말로 내 더위쯤 우습게 아는가
악귀라도 쫓는 양 부채는
바람을 일으킨다
덥기로 따지자면 모로 누운 아내의
침묵이 더 더운 법
나는 또 부채를 찾는다
머리맡에 가까이 둔
부채로 나는 또
소리가 나도록 바람을 일으킨다
아내의 입에서 생활이 더 나오기 전에
일상의 답답함을 느끼는 것이 비단 나만의 것이 아니었다. 택시 기사님에게도 삶은 때로 답답한것 투성이었고, 시인의 아내에게도 삶은 힘든것이었다.
가야할 때가 언제인지를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이 아름다운 것처럼, 만나야 할 때를 제대로 잘 알고 만나는 시는 가슴을 파고든다. 이 시집은 내가 가지고 있던 시집이고 2년전에 이미 한번 훑어봤던 시집이다. 나는 시를 외우지 못하고 이 시의 분위기조차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오늘은 출근준비를 하다가 책장에서 이 시집을 그냥 무작정 빼들고 나왔다. 무슨생각 이었을까. 그리고 지금, 바로 지금이 이 시집이 나를 만나야 할, 아니지, 내가 이 시집을 만나야 할 적당한 때였다. 바로 그 때.
생계 줍는 아침
할멈 둘이 앞서 걸어가고 있다
살얼음 갯바위 틈새
얼어죽은 한 마리 주꾸미라도 주우려
갯바위를 걸어서
굴바구니 들고 갯티에 가는
생계 줍는 아침
아! 생계를 '줍는' 아침이라니! 오늘 아침의 내가 그랬는데. 출근길 버스안에 지독하게 사람이 많아서 지쳤었는데. 나야말로 생계를 줍고 있었던게 아닌가. 생계를 줍고 있다. 내가, 그리고 어느 먼 곳의 할머니들이. 우리는 모두 생계를 줍고 있다. 아침마다 혹은 밤마다.
엄마가 팔 수술을 하시고 깁스를 하고 계셨을 때, 퇴근후의 설거지는 내 몫이었다. 먼저 퇴근한 남동생이 할 때도 있었고 아빠가 할 때도 있어서 실상 내가 설거지를 한 날은 몇 날 되지 않지만, 나는 설거지가 무척 스트레스였다. 내가 힘들게 직장생활을 하고나서도 또 무언가를 해야한다는 것이 좀처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질 않았다. 그러나 나만 그런것은 아닌데. 아빠도, 남동생도 각자의 자리에서 일을 하다 돌아온건데. 왜 나는 유독 이러는가. 하루는 설거지를 하다가 가슴이 터질 것 같았다. 나는 서둘러 설거지를 끝내고 잠깐 나갔다온다고 말한뒤에 집 밖으로 뛰쳐나갔다. 그리고 집 앞 시장으로 갔다. 무작정 걸었다. 이제 자리를 정리하고 있는 상인들이 보이는 그 길을, 여전히 무언가를 사기 위해 분주하게 돌아다니는 사람들이 있는 그 길을. 시장을 두 바퀴 돌고 나니 나는 진정이 되어 있었다.
굴봉 까는 저녁
물때에 젖은
야윈 손이
한 종지
강굴을 까서
앞에 놓고
공양하듯
모시고 앉아
돌부처마냥
웅크리고 앉아서
시장통을
오가는
어둠을 바라보는
굴봉을 까는 저녁
저들도 그럴까. 웅크린채로 어둠을 맞아들이며 앞에 놓인 물건들이 다 팔리기를 바라는 저들도 지금은 답답한 마음일까. 후딱 팔리고 얼른 들어가고 싶다는 초조한 갈망이 섞여있겠지. 나는 답답하다고 뛰쳐나와 시장에 나왔는데, 이미 시장에 있었던 사람들은 답답하면 어디로 뛰쳐나가지? 그들에게는 집으로 돌아가는 것이 지금 이 순간 가장 큰 위로가 되는걸까?
연애편지에 꾹꾹 옮겨담을만한 시들은 아니지만, 나 혼자 가만히 읽기에는 적당한 시들이 이 시집 안에 있다. 이 시집안에 있는 건 삶이고 생계이다. 소설과 영화와 음악이 그러한것처럼 시가 하는 역할도 다양하다. 사랑을 고백할 때 빌려올 수도 있지만 지친 일상을 위로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두가 가장 흔하게 내뱉는 위로 -너만 그런게 아니야, 다른 사람들도 다 그렇게 살고 있어-, 그것을 이 시집도 하고 있다. 시인은 시로써 위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