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들과 함께 읽는 영어 원서 일곱번째 책은 '샐리 루니'의 《노멀 피플》이다. 샐리 루니를 좋아하는 작가라고 말하지는 않지만, 일전에 샐리 루니의 원서를 읽어봤던 바, 쉬운 문장을 쓰는 작가이다. 최근 읽은 헤이팅 게임 원서가 너무 어려웠어서 이거 읽으면 쉬운 거 가자, 하고 샐리 루니를 읽기로 친구들과 이야기했었다.
헤이팅 게임 원서 읽고 쓴 글은 많지만 최종은 여기 ☞ <hard body 와 로맨스, 그리고 균형>
헤이팅 게임 진짜 너무 어려웠어서 나 말고 다른 친구들은 원래 번역본 같이 보거나 하지 않았었는데 이 책에 있어서만큼은 이 친구들도 번역본 같이 읽었다. 여하튼 그래서 쉬운 문장 절실했고, 샐리 루니는 탁월한 선택이었다.
노멀 피플 번역본을 내가 2020년에 읽었던데, 그 때 읽고 쓴 감상을 보니 내가 지금 하려는 말을 그 때도 했더라. 사람은 역시 .. 참 한결같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어떤건지 기준이 정해져있다면, 불쾌한 지점은 계속 불쾌하고 행복한 지점은 계속 행복할 수밖에 없는 것 같다.
메리앤은 학교에서 매우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고 굉장히 유복하게 살고 있다. 메리앤의 집에서는 일주일에 두번 도우미를 부르는데, 그 도우미가 같은 학교에 다니는 '코넬'의 어머니이다. 코넬은 일 끝나는 어머니를 픽업하러 메리앤의 집에 들르게 되고 그렇게 메리앤의 집에서 마주치게 되면 잠깐, 메리앤과 코넬은 인사를 나누고 대화를 조금 하게 된다. 그렇지만, 코넬은 메리앤의 집 바깥에서는 메리앤과 이야기하지도 않고 인사도 하지 않는다. 메리앤은 누구나 다 아는 똑똑한 학생이지만(I'm smarter than everyone. p.2), 친구가 없다. 학교의 그 누구도 메리앤과 어울리지 않고 메리앤이 누구랑 다니는 것도 보질 못했다. 그런 메리앤인지라 학교에서는 메리앤에 대해 진짜인지 가짜인지 모를 루머도 돈다. 잘생기고 인기가 많은 코넬로서는 그런 메리앤을 아는 척 할 수가 없다. 다른 친구들이 이상하게 볼것이다. 메리앤은 자신과 단둘이 있을 때 아는 사이인만큼 학교에서도 인사를 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럴 경우 코넬은 좀 난처해질텐데,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메리앤은 학교에서 코넬에게 아는척 해주지를 않는다. 아마도, 코넬의 난처함을 짐작하기 때문이리라. 그런데 어느날 메리앤의 집에서 잠깐의 대화중에, 메리앤은 코넬에게 너가 좋다고 말한다. 다음 방문에서 코넬은 너 그 때 나 좋다고 한거, 그거 친구로서 말한거야? 묻고 메리앤은 꼭 그런것만은 아니야, 라고 말한다. 그리고 코넬은 메리앤에게 키스한다. 메리앤은 그전까지 한 번도 키스해본 적이 없다. 코넬은 메리앤과의 이 키스가 메리앤에게 첫 키스라는 걸 알게 된다. 그렇게 키스해놓고 코넬은 메리앤에게 다른 사람들에게 우리가 키스한 걸 말하지 말라고 한다.
Don't go telling people in school about this, okay? he said. -p.16
나는 이 문장이 너무 속상했다.
내가 누군가와 사귄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지 못하는 이유는 비단 그것이 '금지된 사랑'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금지되어 있는 사랑, 사랑하면 안되는 사이의 사랑 같은 거라면, 세상 사람들로부터 비난 받을까봐 그래서 그 관계를 억지로 떼어놓으려고 할까봐 그런 사람들은 자신들의 연애를 비밀에 부치려고 한다. 그러나 금지된 사랑이 아니어도 비밀로 부치려는 경우들은 생긴다. 내가 싱글이라는 상태로 있어야만 사회생활이 가능해진다면 그래서 연애라는 걸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연예인들이 공개 연애를 하지 않는 데에도 아마 이 이유가 많을 것이고. 또 내가 연애하는 상대가 남들에게 부끄러울 때에도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 이것도 여러가지 경우가 있겠지만, 나는 트로피처럼 반짝거리는 상대를 사람들에게 내보이고 싶은데 내가 사랑하는 상대가 전혀 그렇지 않을 때 그걸 숨기고 싶을 수도 있을 것이다. 비슷한데, 내가 사귀는 상대가 다른 사람들에게 비호감이라면 덩달아 나까지 비호감이 될까봐 말하지 않는 경우도 생길 것이다. 이렇게 말하든 저렇게 말하든 한마디로, 내가 만나는 상대가 나에게 흡족하지 않을 때, 그 때 우리는 이 관계를 누구에게도 말하고 싶지 않을 수도 있고 상대에게 '어디가서 우리 사귄다고 말하지 마' 라고 할 수도 있다.
나 역시 여러가지 케이스로 이런 관계속의 당사자가 된 적이 있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우리는 암묵적으로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하는 관계다 라는 걸 인지했던 적도 있고, 부끄러워서 내 상대를 숨긴 적도 있다. 부끄러워하는 내 자신이 싫어서 부러 보였던 적도 있다. 어떤이는 나라는 존재가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굳이 드러내려 하지 않았던 적도 있다. 아마도 싱글인 자신을 계속 유지하고 싶어서 그랬던 것일수도 있고 어쩌면 내가 부끄러워 그랬을지도 모르겠다. 뭐가 됐든, '우리 사이 말하지마'의 관계에 나 역시도 놓였던 적이 있다는 거다. 그건 반드시 '절대 사랑해서는 안되는' 관계여서 그런 것은 아니라 해도, 그러나 '누구에게나 밝혀도 되는 떳떳하고 당당한' 혹은 자랑스러운 관계는 아니어서 그런 것은 맞을 것이다. 숨긴다는 것은, 어딘가 어두움을 가진게 아닌가.
코넬도 메리앤과 사랑하면 안되는 사이라 어디가서 우리가 이런거 말하지마, 라고 한 건 아니다. 코넬은 인기인이고 메리앤은 아니라서, 코넬은 인기인인데 메리앤은 누구도 상대해주지 않는 사람이라서, 그래서 그 관계가 바깥으로 드러날 경우 코넬 자신이 이상한 사람으로 여겨질까봐, 자신도 친구들로부터 내쳐질까봐 그게 걱정이 되어 그러는거다. 코넬은 아직 10대의 청소년이고, 그래, 충분히 그런 마음이 들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30대에도 그런 마음이 생겼던 적도 있었는걸. 10대면 아마 더하겠지. 그런 마음을 나는 이해할 수 있다. 메리앤과 둘이 있고 싶어서 자기 집 주소를 알려주고 찾아오라고 해놓고서, 그렇게 메리앤을 자신의 집에 들이면서도 혹시 누가 보진 않는지 살펴보는 그런 만남을, 코넬은 하고 있다. 너를 만나고 싶어, 너랑 둘이 있고 싶어, 그런데 너랑 만나는 걸 사람들한테 보이긴 싫어...
그 마음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코넬이 그걸 얘기하지 말라고 하는 저 인용문을 보면서, 나는 생각했다. 내가 앞으로 만들게 될 모든 관계에서는 이제 더이상 이런 일을 겪지 말자, 고. 내가 말하든 상대가 말하든 '우리가 이러는 거 말하면 안돼'라고 하는, 그런 관계속에 놓이지 말자고. 누군가 '너 걔 만나?' 라고 하면 망설임없이 '응!' 이라고 할 수 있는, 그런 관계가 되자고. 내가 만나고 싶어서 만나면서도 혹시 누가 보진 않는지 주변을 살피는 관계 같은거, 그런거 하지 말자. 나랑 통화하면서 '누구랑 통화해?' 물어보면 그냥 '아는 사람'이라고 얼버무리는 그런 관계속에 놓이지 말자. 의도하지 않아도, 인생에서 누구나 그럴 때가 있고 그런 관계 속에 놓이게 될 수 있지만, 나는 이제는 그런거 하지 말아야겠다고 새삼 결심했다.
너 걔 만나?
응.
너 걔 좋아해?
응.
망설임 없이 대답하는 내가 되는 관계, 망설임 없이 대답하는 네가 되는 관계만을 만들자고 마음을 다져본다. 물론, 세상은 나 혼자 사는 게 아니고 내 생각대로만 굴러가는 게 아니기 때문에 내가 마음을 다진다한들 그대로의 행동과 결과로 이어질 수만은 없을 것이다. 이를테면, 만약, 만약에 내가 조인성이랑 사귀기라도 해봐. 그러면 나는 조인성이 공개 연애를 하고 싶다고 해도 내가 비밀로 하자고 할 것이다. 사람들이 내 신상 캐려고 할 거 아녀... 그것은 조인성이 부끄러워서가 아니라, 나의 공개를 꺼려서 그래... 나는... 변방에서 조용히 늙어가고 싶은 사람... 그런데 나를 공개하지 말라고 하면 조인성은 마음 상하겠지? 역시, 그래서 조인성과 나의 행복, 우리 쌍방의 행복을 위해 조인성과 연애하지 않도록 하겠다. 행복해라..
각설하고,
책 샀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13/pimg_7903431033410978.jpg)
《상처, 비디오, 사이코 게임》은 '안젤라 마슨즈'의 '킴스톤 시리즈' 두번째 책이다. 첫번째인 《너를 죽일 수밖에 없었어》를 읽었었는데 그 내용은 지금 전혀 기억나지 않지만, 그 당시에 '이 시리즈 계속 읽어야지' 생각했던 것만큼은 기억이 나서 샀다.
《우리는 왜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 없는가》는 죽음에 대해 나는 계속해서 들여다보고 알아야 한다고 스스로 생각하기 때문에 샀다. 계속 읽으면서 이것을 더이상 두려워하지 않는 그런 내가 되고 싶다.
《등대지기들》,《기도의 카르테》,《죽인 남편이 돌아왔습니다》는 내가 요즘 미스테리 소설 너무 안 산 것 같아서 샀다.
《캑터스》,《어둠 속에서 헤엄치기》,《스파숄트 어페어》는 문학을 요즘 내가 안 산 것 같아서 샀다.
아니 뻔질나게 책 사서 인증하면서 그런데 뭘 그렇게 안 산 것 같다는거야, 나여? 그런 느낌 뭐야? 그런데.. 안 사긴 안샀지. 저런 장르는. 다른 장르 샀잖아. 책을 고르게 사랑해야지. 균형을 맞춰야 한다. 그렇지 않아요, 여러분? 사랑은 골고루 뿌려져야 한다... 샤라라랑~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