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트러블 -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주디스 버틀러 지음, 조현준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몇해전 한창 페미니즘 강연을 들으러 다녔을 때 '정상'에 대한 얘기를 들었다. 우리가 어떤 것을 '정상'이라고 호명하는 순간, 그 정상의 것을 제외한 다른 것들은 '비정상'이 되어버리는 거라고. 그 얘기를 듣고 나서 어떤 것에 대해 무어라 단정지으며 가리키는 것은 생각에 생각을 조심에 조심을 거듭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칭찬에 대해서도 그렇다. 단정하다, 깔끔하다, 예쁘다 등등의 것을 내 앞에 오로지 '너'만 있을 때 말하는 것과, 두 사람이 있는데 한 명에게 말하는 것은 다르다. 내가 내 눈앞에 있는 영숙이에게 넌 참 예뻐 라고 말하는 순간 옆에 있는 미숙이는 예쁘지 않은 사람이 되어버린다. 눈 앞에서 하나를 어떻게 지칭하는 순간 다른 하나는 그것과 '다른' 것이 되는 것이다.


예전에 경찰공무원 준비를 하던 사람으로부터 '법은 그 나라가 어떤 나라인지 말해준다'는 얘길 들었다. 유럽에는 동물과의 섹스를 금지하는 법이 있는데, 왜 그 법이 있냐면 동물과 섹스를 하는 일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결이 좀 다른듯해도 이 책을 읽는 내내 이 두 가지 일이 자꾸만 떠올랐다.


주디스 버틀러는 자신의 책 《젠더 트러블》을 통해 섹스와 젠더는 모두 이런 식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얘기한다. 그 주장을 함에 있어서 푸코, 라캉, 모티그, 레비 스트로스, 보부아르를 다 소환한다. 자 봐봐, 동성애가 비정상이라고 말하면 어떻게 돼? 이성애가 정상인게 되지. 근친상간을 금지해? 그렇다면 근친상간이 아닌 이성애는 허용하는 게 되지. 여성은 만들어지는 거라고 얘기해? 그렇다면 여성이라는 게 일단 존재하는게 되지.


그렇다면 여성과 남성이라는 섹스는 존재하는걸까? 염색체로 구분된다고 했을 때 그 염색체대로 신체적 발현이 일어나는 게 아닌 경우도 있는데 우리는 염색체에 따라 성별을 결정해 지칭해야 할까? 그렇게 지칭해서 거기에 젠더를 씌워버리면 모든 사람들이 젠더롤대로 행동하는 게 아니지만 어쨌든 그 규율에 맞게끔 행동하고자 하지. 우리는 젠더라는 걸 만들어버렸기 때문에 롤대로 행동하려고 해. 그렇게 해야하는걸까? 그래서 버틀러는 드랙이 젠더에 트러블을 일으키는 가장 전복적인 존재라고 생각한다.


나는 드래그야말로 젠더의 표현적 양식과 진정한 젠더 정체성이라는 개념뿐 아니라 내부와 외부 심리공간이라는 구분을 완전히 전복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p.342



그리고 나는 이런 버틀러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건 다른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동의하지 않는 바로 그 이유와 같다.



페미니즘 이론에서 이런 패러디적 정체성은 드래그나 옷 바꿔 입기의 경우 여성 비하적인 것으로, 특히 부치/팸의 레즈비언 정체성의 경우 이성애 실천에서 나온 성 역할의 고정관념을 무비판적으로 전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p.342



책에 어려운 단어도 너무 많이 나오고 이론적인 내용들이라서 읽는 내내 도대체 이것을 읽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여성들에게 어떤 식의 도움이 된단 말인가 좀 괴로웠는데, 반복되는 내용을 계속해 읽다보니 학자들이 연구하고 이렇게 어렵게 써내는 것을 읽는 독자들의 역할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주디스 버틀러가 갑자기 현실을 살고 있는 젊은 여성들 혹은 젊은 남성들을 만나서 이 책의 이론들을 설명하고자 하면 뭔 소리인가 싶고, 그게 어떤 필요가 있나 하겠지만, 어쩌면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은 중간에서 연결고리가 되어줄 수 있지 않을까. 백프로 이해가 아닌 적은 이해 큰 오해를 한다 치더라도, 나는 이 책을 읽고 생각한 것, 혹은 알아낸 바를 다른 사람들에게 주디스 버틀러보다 훨씬 더 쉬운 말로 얘기할 수 있지 않을까. 주디스 버틀러가 한 것처럼 굳이 라캉이나 푸코, 위티그를 데려오지 않더라도 내가 깨달은 바를 내 식대로 표현하노라면 그것은 작게 보면 생각의 변화부터 영향을 미칠 수 있는게 아닐까. 어떤 주장에 동의하고 어떤 주장에 동의하지 못하더라도 이 책을 읽은 것은 분명 나에게 일어난 일이고, 내가 한 행위이고, 어떤 부분부분들이 내 안으로 들어왔을 터다. 그것은 내가 앞으로 살아가면서 생각을 하거나 행동을 하는데 결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작게나마 건드리긴 할것이고, 그렇게 건드려진 나는 이 책을 읽은 후의 내가 되어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어떤 행동을 할 때 바깥으로 보여지며 어떤 식의 작은, 아주 미미한 영향이라도 되는게 아닐까. 책을 읽다가 너무 어려워서 이딴게 다 무슨 쓸모야 성범죄자 죽여버리는 게 제일 큰 쓸모다! 하였지만, 그러나 이렇게 큰 이론을 읽고 작게 영향을 받아 그보다 더 작게 표현되더라도 의미는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 권의 책을 읽으면 그 책에 대한 이해가 10이고 오해가 90이라 해도 혹은 15는 기억나고 85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해도 그 책의 흔적이 몸에 고스란히 남는것 같다. 버틀러가 위티그를 가져올 때 나는 아, 모티그가 내 안에 남아 있었구나, 하고 너무 기뻤다. 모티그의 책 역시 여성주의 책 같이읽기 도서였는데, 그거 읽을 때는 그 얇은 책이 도무지 무슨 말을 하는 건지 몰랐던 거다. 그런데 버틀러가 위티그를 소환하며 레즈비언은 여성이 아니다, 라고 할 때, 이 도대체 알 수 없는 문장이 비로소 이해되기 시작한 것이다. 모니크 위티그는 버틀러가 가장 나중 소환한 작가인데, 계속 버틀러가 가져온 인용이나 생각을 읽노라니, 이성애 속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존재하고 여성은 그러므로 이성애 안에서 존재하는데, 이성애가 아닌 동성애를 하는 레즈비언이라면 이성애를 벗어나 있으므로 여성이 아니다, 라는 의미라는 것을 이제 알겠는거다. 그 주장에 내가 전적으로 동의하느냐 마느냐와는 완전 별개로, 이걸 모티그의 책에서 읽었을 때는


아니, 여성과 여성이 하는게 동성애고 그들이 레즈비언인데 레즈비언이 여성이 아니라는 건 대체 무슨 말이야..


하였단 말이다. 그런데 버틀러의 책에서 다시 만나는 위티그의 같은 문장은 이제 '아 위티그가 그말을 하는 것이로구나!' 하게 되는거다. 어쩌면 우리가 한 권의 책을 읽는 것은 그 책 자체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보다, 그간 읽어온 다른 책들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게 아닐까 싶어지면서 매우 기뻤다.


그러니 내가 지금 이 책을 읽으면서 이해를 고작 5만큼 했다해도, 앞으로 나의 남은 독서인생이 그것을 조금씩 더 크게 키워주지 않을까 하는 희망이 내게는 있다. 움화화화핫.



아무튼 매우 기쁘다. 누구나 다 아는 이 어려운 책을, 그래서 쉽게 도전하지 못하는 바로 이 책을, 어쨌든 나는 다 읽었다. 만세!!!!!!!!!!!!!!!!!!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음 2021-07-28 10: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책이 어려워서 이 책을 해설한 책을 읽었어요. 조현준의 주디스버틀러, 젠더트러블...그나마 이해가 조금 되더라구요. 써주신 글 잘 읽었습니다~^^

다락방 2021-07-28 11:00   좋아요 4 | URL
안녕하세요, 좋음 님! 저도 언급하신 조현준의 해설서를 읽으려고 찜해두고 있답니다. 젠더트러블의 경우 해설서를 몇 권 읽어줘야 비로소 어느 정도 감이 잡히지 않을까 싶어요. 해설서 읽고 좀 더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흑 ㅜㅜ

청아 2021-07-28 10:2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다락방님 역시👍👍👍👍👍수고하셨어요!!🐳🐬🐠 다음달도 고고씽!

다락방 2021-07-28 11:01   좋아요 3 | URL
저는 다 읽어서 진짜 너무 씐납니다. 그 어떤 책보다 씐납니다. 어휴 진짜 고생했어요. 어휴.
미미님, 우리는 8월 도서로 만나요. 8월 도서도 다시한번 안내하도록 할게요!!

공쟝쟝 2021-07-28 1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버틀러는 패러디가 전복적이긴 하지만 모든 패러디는 전복적인건 아니라며 빠져나가요 ㅎ 말씀주신 드래그도 전복적이지 않은 패러디가 되어버린 예시로 삼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무엇을 본질화 하는 것을 의식적으로 비껴가는 버틀러의 이론이 여성들의 삶을 더 낫게할지 더 나쁘게 할지는 사용하기 나름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저도 패이퍼 쓰는 중이예요 ㅋㅋㅋ (아직 다 읽지는 않음) 축하해요 ㅋㅋ 완독! 완독 왕! 다락방!

다락방 2021-07-28 13:55   좋아요 1 | URL
저는 버틀러가 기존 이론들이 없었다면 이 책을 쓸 수 없었을 거라는 생각을 하게 되더라고요. 사실 모든게 다 그렇지만 거기에는 어떤 모순이 있다, 라고 밝히기 위해서는 그 전에 주장이 있어야 하잖아요. 저는 버틀러의 이 책을 한 15프로정도 이해했나 싶은데(하하하하하) 이해하는 범위 내에서는 흐음 그래, 그렇다는거군, 알겠어 하기는 하였지만 뭐랄까 저한테 막 전율을 준다거나 하진 않았어요. 저한테는 이것이 되게 ‘멀다‘는 느낌을 준 책이었어요. 어떻게 됐든 도움은 되겠지만 되게 멀다, 먼 책이다, 는 생각이요. 즉각적인 반응을 주지 못하는 책이었고 그나마 이해되는 부분에 있어서도 적극적 동의를 할 순 없었어요. 쟝님의 페이퍼 읽으니 같은 책을 읽은게 맞나 싶을 정도로 아름다운 글이더라고요.

어떻게 그렇게 이해하려고 애쓰고 잘 이해했나 싶을 정도로 놀라운 페이퍼였어요, 쟝님의 페이퍼는.
제 이해의 폭이 좁기도 하겠지만, 저는 역시, 여자는 인질이다, 드워킨의 포르노그라피 이런 책들이 좋아요. 뱀이 깨어나는 마을하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공쟝쟝 2021-07-28 14:14   좋아요 0 | URL
저는 전율은 안했고 오이디푸스 패줘서 좋았음ㅋㅋㅋ 프로이트 드디어 한대 맞은 것 같았죠? 버틀러는 가부장제가 아닌 이성애중심주의를 없애는 게 결국 페미니즘에게도 좋다라고 본 것 같아요. 저는 그가 지적으로 흔드는 개념들이 아름답지만, 잘못쓰일 수 있는 가능성이 굉장히 많게 느껴졌어요. 모든걸 다 흔들어버리면 강한 권력도 흔들리겠지만 가장 많이 무너지는 건 제일 약한 사람들이니까요. 어쨌든 버틀러가 정체성 논의 종식시키고 ‘몸’으로 가셨다는 풍문이 들려서 몸 .. 페미니즘과 몸.. 이러고 있습니다! 책 포르노 그라피는 언재 나와요??

다락방 2021-07-28 14:20   좋아요 1 | URL
포르노 그라피 책은 대체 언제 나오는건지 모르겠네요 ㅠㅠ

우리 땡볕에 걷자! 지치지 않게 플랭크로 체력 좀 다지고 있어요!(뜬금 플랭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