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18일 동안 동네 도서관이 문을 닫기 때문에 부랴부랴 달려갔는데 설마 했던 휴관일이라고 어김없이 문을 닫은 도서관. 그럴 거면 4월 4일까지 예약 도서 받으러 오란 문자나 보내지 말던가. 훗, 한동안 빌린 책 말고 산 책 열심히 읽으라는 세계의 지령이라고 나는 음모론적으로 생각한다.
도서관에 가며 흙의 경사와 쓰레기의 경사, 바람의 방향과 차의 방향, 나란히 걸어가는 두 사람의 뒷모습이 닮은 것을 보며 느끼며 세상은 왜 이리 닮아있는지 의아했고, 발걸음을 돌리며 많은 어긋남과 돌이킬 수 없음과 허탈함을 생각하며 세상은 왜 이리 어지러운 투쟁 영역인지 이해할 수 없었다. 세상의 모든 원리에 다다르면 이 고뇌는 나아질까. 아무것도 알 수 없는 한계로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는 결과로 우리에겐 불가능, 죽음이 마련되어 있다. 작은 구들이 모여 이뤄진 또 하나의 구로서 팽창하며 맞는 최종이 내 속에 있다.
구는 우주의 상징이며, 드러난 창조 전체를 뜻한다. 자연에서 아주 큰 것, 아주 작은 것은 대체로 구형이다. 아인슈타인은, 4차원의 시공간에서 한 점(예를 들어, 지금 여기 있는 나)은 빛의 속도로 팽창하고 있는 구이며 전체 우주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사상의 지평선 안쪽뿐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정육면체는 땅을 상징한다.
ㅡ 미란다 룬디 《신성한 기하학》「구, 사면체, 육면체 : 2차원에서 3차원으로」 중
밤하늘 아래 목련이 잭슨 폴록 그림같이 펼쳐져 있어 발길을 멈췄다. 올해 처음 본 목련 꽃. 목련들 뒤에 구심점처럼 숨어 빛나는 달. 그 뒤엔 더더 무엇이. 무엇에 집중해야 할까. 무엇을 생각해야 할까. 나는 이 하나도 제대로 이해하지도 결정하지도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