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이트와 담배 - 담배에 빠진 혹은 삐진 당신을 위한 정신분석 이야기
필립 그랭베르 지음, 김용기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03년 1월
평점 :
절판
담배가 건강에 해롭다는 충고에 대해 골초들이 흔히 드는 사례는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이다. 독한 시가를 피워대며 90세 넘어까지 살았으니 그럴 법도 하다. 하지만 애연가들은 1950년 이후 처칠이 물고 있는 시가에 불이 붙어 있지 않았다는 사실을 말하지는 않는다. 기침이 너무 심해 담배를 끊었고, 늘 시가를 물고 있던 자신의 이미지를 관리하느라 처칠은 사진기자만 나타나면 주머니에서 시가를 꺼냈다고 한다.
그렇다면 애연가들이 또 하나 들 수 있는 사례는 정신분석의 아버지 지그문트 프로이트(1865∼1945)일지도 모른다. 프로이트는 그 자신이 “입술 사이의 뜨거운 느낌”이라고 부른 시가의 매력에 흠뻑 빠져 지냈다. 하루 20개비 이상의 시가를 피워댔고, 그 때문에 구강암 수술을 수차례 받았지만 입에서 시가가 떨어진 날은 많지 않았다. 24세때 담배를 처음 배워 억지로 빨래집게로 입을 벌리고 그 사이에 시가를 끼워 넣었던 말년에 이르기까지 그는 지독한 골초였다.
‘프로이트와 담배’는 이 예민한 정신분석학자와 흡연의 상관관계를 추적하는 흥미로운 책이다. 프로이트와 담배에 얽힌 일화를 소개하는 전기 따위는 저자의 관심이 아니다. 그 자신이 흡연자이자 정신분석학자인 저자 필립 그랭베르는 ‘담배’가 사실은 프로이트 이론의 출발점이라는 사실에 착안해 프로이트에 대한 정신분석을 행하고 있다. 프로이트는 “시가는 시가일 뿐”이라며 흡연에 대한 과도한 해석을 경계하려 했지만 저자는 그의 기대를 보기 좋게 배반하고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흡연자의 ‘무의식’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피고 있는, ‘골초들에 대한 정신분석’인 셈이다.
정신분석학에 대한 유쾌한 입문서이자 새 해 첫달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금연 결심을 깨고 다시 담배를 꺼내든 이 땅의 수많은 흡연자들의 심리분석서이기도 할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담배의 기원에 대한 시리아의 한 전설을 소개하고 있다. 한 선지자가 독사에 물린 뒤 그 상처에 스민 독을 입으로 빨아내 땅에 뱉었는데, 바로 그곳에서 풀이 자라 나중에 담배가 됐다는 얘기다.
담배는 “독처럼 쓰라리면서도 동시에 선지자의 침처럼 달콤한 것”, 쾌락과 위험이 동시에 도사리고 있는 것이라는 전언이다. 사형 직전의 사형수에게 최후의 위안물로 건네는 것도 바로 담배다. 그것은 죽음 직전의 쾌락이자 죽음을 향한 쾌락이다. 담배는 그만큼 ‘위험한’ 물건이다. 흡연자들이 이것을 모르지는 않으리라. 자신의 폐를 갉아먹는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담배를 꺼내들고 불을 붙이는 그들의 ‘무의식’에는 쾌락과 불안이 동시에 교차하고 있을 터.
도대체 흡연자들은 왜 담배를 피우는 걸까. 프로이트 이론을 경유한 저자의 설명은 전형적인 프로이트적 해석이다. 정신발달의 초기인 구순기적 해석에 따르면 담배를 빠는 행위는 “예전에 엄마의 젖가슴을 탐하던, 내 입술로 포착했던 이 세계를 다 다시 소유할 것 같은 마음”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이때 담배는 어머니 젖과 등가물이다. 그러므로 흡연자들은 아직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지나는 ‘남근기’에도 이르지 못한 퇴행기의 유아다. 본능적 욕구가 그저 ‘싸는데’에 집중되는 항문기적 해석은 재떨이에 담배를 비벼끄는 행위로 설명된다. 이는 똥과 연결되는 흡연의 쾌락을 의미한다.
무수히 많은 영화에서 묘사되는 소설가의 신경질적인 담배 끄기를 상상해 보라. 그들의 정신적 발달은 아직 항문기에 고착돼 있다. 프로이트는 또 말한다. “자위는 인간의 본질적인 주요한 습관이자 원초적 욕구이고, 술·담배·모르핀은 그 대체물, 대용물”이라고. 그러면 담배는 남근이고, 흡연 행위는 마스터베이션? 담배를 꺼내 물고, 피우며 비벼끄는 단계는 흡연자에게 구강기에서 항문기·남근기까지를 순식간에 재경험하게 한다는 게 저자의 해석이다.
이 책을 금연협회쯤에서 펴내는 계몽도서로 착각하면 안된다. 저자는 소설적 묘사와 심리극 대본, 위대한 인물의 생애를 뒤쫓는 전기물의 형식을 엇갈리게 배치하면서 정신분석학이라는 학문을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놓고 있다. 이 책은 술과 담배, 마약과 인터넷 등 모든 중독증 환자들에게 자기분석의 경험을 제공한다. 중독증 치유의 첫걸음은 자신이 왜 빠져 있는지를 아는데 있지 않는가. 담배는 ‘푸른 천사’이자 “욕망의, 잡힐 듯 끝내 잡히지 않는 대상”이다. 이 책을 읽으며 담배를 피우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