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1장을 넘길 때도 '책장'이라고 표현하고,
    책들을 보관하는 나무 상자를 '책장'이라고도 표현한다, 한국에서는. 

    하지만 어쩔 때는 말하다가 혹은 다른 이의 글을 읽다가 헷갈릴 때가 있다.
    내가 맛있다고 우걱우걱 씹어먹는 전자의 책장을 말하는 것인지,
    먹은 책 혹은 먹을 책을 꽂아놓은 후자의 책장을 말하는 것인지... 

    한국어는 정말로 동음이의어가 많은데, 

    라는 글자는, 사람의 신체에 '배'라는 이름을 먼저 짓고 살다가 어느 날 나무에 열린
    열매를 보고 '배꼽 달린게 비슷하다'라고 해서 그 노란 사과를 '배'라고 불렀을까,
    아니면 열매에 '배'라는 이름을 먼저 붙이고 나중에 자신들의 배꼽을 보고 '닮았네!' 하고
    재밌어 하며 신체에 '배'라고 이름을 붙였을까. -_-
    그렇다면, 강 위에 떠 있는 '배'는?
    글쎄, 열매 '배'를 가득 실은 것을 보고 누군가 젤 먼저 '배를 실은 저 물 위의 탈 것'이라고
    부른데서 유래되었나 보지. ( -_-); 

    그 외에, '말'이라든가 '눈' 같은 얘들도 말이지 어쩔 땐 헷갈린다구.
    경마장에서 어떤 사람이 손가락으로 앞을 가리키며  '말 하는 거 봤어?' 라고 묻는다면
    당췌 그게 뛰고 있는 말인지, 앞에서 시끄럽게 수다 떨고 있는 뚱땡이 아저씨를 말하는 건지. 

    어느 날, 눈이 많이 오는 날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함께 걷던 친구가 뜬금없이 날 보며
    '눈이 참 좋아' 라고 말하면, 그게 내 눈인지 지금 내리고 있는 눈인지...원...ㅡ.,ㅡ 

    어쨌거나, 책에 대한 이야기가 많은 여기서는 당연 '책장'이란 말도 많이 나오는데,
    책을 꽂아두는 녀석은 '책하스'라고 하면 안 될까? 하고 잠깐 생각해봤다. 

    왜냐구?
    책장은 꼭, 과자 웨하스처럼 생겼잖아~ ㅎㅎㅎ 

    발음도 웬지 있어 보이고 말야~ 책하스~책하스~ 

 

    아, 한국말은 넘 어려워. ㅡ.,ㅡ 

 

    경상도 사람을 처음 만났을 때, 나한테 갑자기 '돌리도~' 라고 말한 적이 있었는데,
    난 '뭘 돌려?'하고 난감해했던 기억이....
    또, '그 마가 이 마 아이가?' 라고 말했을 때는, 잠깐, '여기가 지구였던가?' 싶었던 적도...으하하핫..;;;; 

 

    몇 년 전 어느 날, 일본 친구가 오사카 사투리로 말했을 때 못 알아먹어서 한 대 때릴뻔 했던 기억이( -_-)a
    나는걸 보면, 맞아, 한국만 사투리가 있는 건 아니야.
    난 이제 한국말 사투리를 도별로 구분할 줄 안다구, ㅡ_ㅡb 훗. 

 

    그런데, 다른 도에서는 책장을 뭐라고 할까?
    특히 제주도가 궁금하다.
    '혼자 옵써예'가 '혼자 오세요'라는 뜻이 아닌 걸 알았을 때의 그 충격 여파가 아직도 있는데 말이쥐. -_- 

 

      

    아, 이런, 젠장독. 
    품절이다. ㅜ_ㅜ...... 

 

    난 '품절'이라는 빨간 글씨가 싫고,
    '절판'이라는 글자는 무섭다. (울음)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0-03-04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 절판 이라는 글자가 몸서리치게 싫습니다. 자꾸 책을 수집해대는 이유가 그거라니까요. 사라지기 전에 가지고 싶어서. ㅎㅎ.

대학에서 별명이 '빠구리'라는 친구가 있었는데요, 이름에서 유래된 별명이었거든요. 문제는 경상도하고 전라도하고 사용하는 뜻이 상당히 달랐나 봅니다. 한쪽은 그냥 땡땡이라는 정도의 뜻인데, 다른 한쪽은 섹스를 의미하는 아주 나쁜 뜻이라고 하는군요. 친구가 엄청나게 화를 내던 기억이 있습니다. 처음에 붙인 친구는 나쁜 의미가 아니었는데 말입니다. 단어란거,, 잘 알고 써야겠더군요.

L.SHIN 2010-03-04 22:48   좋아요 0 | URL
헉, 뜻이 상당히 다르군요... 너무 다르...ㅡ.,ㅡ
아마도 그런 걸까요. '거시기'가 아무데다 다 갖다 붙이면 하나의 단어처럼 사용되는 것처럼.
거시기하다..머시기하다..뭐, 그런.^^;

후애(厚愛) 2010-03-05 07: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말 정말 어려워요~ ^^
저두 품절과 절판이라는 빨간 글씨를 보면 울고 싶어져요.ㅠ.ㅠ
다른 인터넷 서점을 이용할 수 있다면 괜찮은데 딱 한군데 밖에 이용할 수 없으니 말이지요.

L.SHIN 2010-03-05 09:55   좋아요 0 | URL
'품절'은 그나마 나아요. 어느 날 보면 품절이 풀리기도 하거든요.
하지만 '절판'은 출판사에서 더 이상 인쇄하지 않는다는 의미니까 좌절하게 되죠.^^;

토토랑 2010-03-05 10: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 마녀고양이 님과 비슷..
딸딸이.. --;;;
부산에서는.. 그게 쓰레빠를 의미하는 거였는데..
서울에 오니.. 그게 아니더군요.. 여자 기숙사에서 딸딸이 갖고 온나 했다가 대략 난감했던 기억이 --;;;

L.SHIN 2010-03-05 12:39   좋아요 0 | URL
그...딸딸이는...여기서는 안 좋은 의미로 쓰더라구요...( -_-)

2010-03-05 10: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3-05 12: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후애(厚愛) 2010-03-06 07: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드디어 내일이면 번개하는 날이군요.^^
설레고 기대되지요? ㅎㅎ
주말 잘 보내시고 내일 즐겁고 행복한 날이 되었으면 합니다.^^

L.SHIN 2010-03-06 10:00   좋아요 0 | URL
아 기억하고 계셨군요.
설레지는 나이는 지났지만 즐겁게는 놀 생각이랍니다.ㅎㅎ
후애님도 즐거운 주말 되기를 바랍니다.^^

머큐리 2010-03-06 1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번개모임이라 좋으시겠어요..
좋은 분들 많이 만나고 즐거운 후기도 꼭 부탁...

L.SHIN 2010-03-06 10:30   좋아요 0 | URL
머큐님도 오시면 좋을텐데~ㅎㅎ
후기 쓸만한 것이 나오도록(으잉?) 노력하겠습니다.ㅋㅋ

마녀고양이 2010-03-06 11:25   좋아요 0 | URL
저두 번개 가고 싶다.... 재미있겠어요.
담에는 일요일은 피해주세요. 음. 토요일도. 음. 공휴일도. 어흑~

L.SHIN 2010-03-06 11:31   좋아요 0 | URL
평일이라 하면...
여러 사람을 고려했을 때, 저녁에 만나 술 한잔 하자는 얘기..? ㅋㅋㅋ
마녀님은 별도로 만나야겠군요.(읭?)

마녀고양이 2010-03-06 12:58   좋아요 0 | URL
저야..... 총각 만나니 손해나는 만남은 아니지만서도.. ㅋㄷㅋㄷ

L.SHIN 2010-03-06 14:12   좋아요 0 | URL
총각은..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저씨도 아니에요.(읭?) ㅋㅋㅋ
전 아직 사춘기 외계인..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