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아이를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는 잘 기억 나지 않아요. 우린 오랫동안 편지를 주고 받고, 가끔 전화 통화를 했으며 한 두번 만나기도 했던 것 같아요. 그 아인 늘 짧은 머리를 하고 있어 정수리 부근이 파르스름했던 기억이 나요. 그 아이를 생각하면 속엣말을 못하는 사람의 머뭇거림과 이제는 재생을 할 수 없는 테이프가 기억이 나요. 그리고 여전히 가끔씩 머리에 꽂는 큐빅달린 머리핀도.
우리가 만난지 얼마 되지 않아 제 생일인적이 있었어요, 어떻게 알았는지 그가 생일 축하한다는 전화를 했어요. 전화를 받고 며칠이 지나자 불룩한 편지봉투가 배달됐죠. 편지 봉투 속엔 자신이 고른 노래들이 빼곡하게 담겨진 테이프가 있었어요. 미안하게도 전적으로 내가 다 좋아하는 노래는 아니었어요. 그렇지만 테이프의 속지에 삐뚤빼뚤한 글씨로 제목과 가사를 적고, 다시 한번 생일을 축하한다고 했을때는 투박한 맘이 정해져 가슴이 찡해지고 말았지요.
어느 날엔가는 자신이 직접 노래방에서 부른 노래가 실려있기도 했고, 시를 녹음하기도 했고, 나한테 하고 싶은 말이 두서없이 들어있기도 했죠. 상큼하거나 톡톡 튈 정도로 센스있는 친구는 아니었지만 그 맘이 참 예뻤어요. 상큼하고 톡톡튀는걸 해줄 수 있다는 자의식 과잉인 저도 가끔씩 그 아이에게 테이프를 선물하기도 하고, 시나 노랫말을 편지지에 빼곡히 적어 보내기도 했죠. 그 아인 그것을 지금까지 간직하고 있을까요?
그렇게 모은 테이프가 5개. 남녀관계의 일반적인 패턴대로라면 우린 몇번을 더 만나 서로의 맘을 끌어보려고 하거나 상대의 맘이 어떤지 궁금해 했을 수도 있었겠죠. 그런데 그 아인 그 아이대로 난 나대로 서로 평행선만 긋고 있었어요. 테이프를 다섯개 보내고 난 뒤 그 아이는 이제 연락을 못한거 같다는 말을 했어요. 그렇게 짧게 끝난 편지 속엔 돌돌말린 종이가 있었어요. 그 속에 머리핀이 들어있었구요. 머리핀은 여전히 내 머리 위에서 반짝이고, 카세트 역시 뽀얀 먼지를 먹으며 서랍 한켠에 자리잡고 있지만 그때의 그 아이는 조금 특이했던 이름 말고는 잘 기억이 나지 않아요.
컴퓨터에 있는 노래를 간추려서 굽고, 자판을 튕겨 평하게 편지를 보낼 수 있는데도 요새는 이런게 잘 안 되는 것 같아요. 지금보다 어렸던 내가 자, 아날로그식으로 살아볼까 했던 것도 아닌데 속속들이 느리고 한번씩 숨을 참고 있다 훅하고 내뱉는 느낌이 드는건 그 당시의 소통 방식때문이었겠죠. 지금은 그때보다 즉각적이고 신속하지만 한편으로는 오랫동안 서랍 속을 채우며 먼지를 먹고 자랄만한 것도 없고, 배달이 안 되는 편지로 애가 타서 온갖 상상력을 동원하는 마음도 생기지 않죠. 무형의 파일이 왔다갔다하고, 메시지는 숨찰 정도로 짧죠. 가끔씩은 자신의 취향을 곤고히 해주는 물건들을 위풍당당하게 짊어지고 등장하는 사람의 옆에서 '왜 나를 만나는걸까.'란 생각이 들기도 해요. 혹은 각각의 네트워크 기계를 만지작거리며 밥을 먹는 사람들이 신기하기보다는 좀 딱하단 생각도 들구요.
뭐가 좋다, 옳다란 기준은 없지만 왠지 난 그때가 좀 그리워요. 지문이 잔뜩 묻은 편지봉투를 끈적거리는 손으로 뜯는 순간이, 지웠다 돌렸다 다시 녹음해댄 테이프를 빨리감기, 되감기, 정지, 다시 재생을 해대며 들었던 순간이, 삐삐 전에 있던 사서함(혹시들 알아요?)에 시를 녹음해주고 조용히 고백을 했던 순간이, 고백을 한 다음 날 부리나케 다시 사서함으로 달려가 지우려다 들었단 그 한마디에 얼굴이 시커먼 다크서클로 뒤덮이던 순간이, 무전기처럼 생긴 무선 전화기를 어떻게 하면 내 방에 숨겨서 전화통화를 할까 고민했던, 그게 그런대로 내 세상을 덮은 색이 되던 그 순간이 가끔씩 그리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