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트
프랜시스 후쿠야마 지음, 구승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1996년 10월
평점 :
품절


앞으로도 지구적 재난은 더욱 더 잦고 규모도 커질 것이 틀림없다. 인류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지 돈이 아니라 서로간의 믿음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트러스트야말로 인간 생존을 가르는 핵심 역량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러스트
프랜시스 후쿠야마 지음, 구승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1996년 10월
평점 :
품절


트러스트야말로 인간 생존을 가르는 핵심 역량


중국 사람들이 한국에 와서 놀라는 것 중에 하나는 화장실 휴지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어떻게 휴지가 도난 되지 않고 그대로 있느냐며. 물론 지금은 중국도 모두가 그러건 아니겠지만. 우리도 예전부터 그랬던 것 아니다. 어느 순간 자연스레 그렇게 되었다. 지하철과 공공장소에는 당연하다는 듯 손세정제가 비치되어 있고 주민센터나 아파트먼트 단지에서는 무료로 마스크를 나눠주기도 한다. 나이가 아주 많거나 어린 자녀가 있는 집은 통반장이 직접 가져다준다. 이른바 신뢰가 정착했다는 증거다.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이데올로기의 종언을 주정해 화제를 모은 학자다. 곧 사회주의는 완벽하게 자유주의에 패배했으며 그 이유로 신뢰자본을 들었다. 곧 제대로 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경제뿐만 아니라 윤리, 규범과 같은 사회적 도덕이 굳건히 자리 잡았다. 반면 사회주의는 겉으로는 평등을 외쳤지만 속으로는 독재와 비효율을 낳아 결과적으로 트러스트가 사라졌다. 당연히 책이 출간되자마자 논란이 일었다. 미국의 신자유주의를 대변하는 충견이라는 비난도 들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그의 주장은 점점 더 설득력을 얻었다. 우선 현재 사회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나라는 다 한 국가도 없다. 북한을 예외라고 할 지 모르겠지만 시장경제를 받아들인 지 이미 오래다. 중앙정부가 모든 자원을 관리하며 배급하는 방식 자체가 사라졌다. 요컨대, 지구 모든 국가가 시장경제로 통합되었다. 단지 정치적으로 일당 독재나 개인숭배 혹은 종교 이데올로기를 내세울 뿐이다. 


신뢰자본의이 힘은 더욱 더 강력해지고 있다. 코비드 19 사태를 보라. 한 국가, 보다 구체적으로 국민들 간의 신뢰도가 바이러스 방지의 성공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기존의 선진 국가들은 허약하기 짝이 없다. 도리어 주요 선진국가에 속하지는 않았지만 규제와 자발성을 강조하여 성공적으로 방어하고 있는 대만과 싱가포르가 돋보인다. 앞으로도 지구적 재난은 더욱 더 잦고 규모도 커질 것이 틀림없다. 인류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지 돈이 아니라 서로간의 믿음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트러스트야말로 인간 생존을 가르는 핵심 역량이기 때문이다. 



트러스트 관련 서평 :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180103299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on Jovi - Cross Road [Best Album] - 본 조비 Mid-Price 카탈로그 캠페인
본 조비 (Bon Jovi) 노래 / 유니버설(Universal)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준비가 되어 있던 그렇지 않든 싸워야 한다면 싸울 수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on Jovi - Cross Road [Best Album] - 본 조비 Mid-Price 카탈로그 캠페인
본 조비 (Bon Jovi) 노래 / 유니버설(Universal)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겨우 반쯤 온 건가? 


'이서진의 뉴욕 뉴욕'을 보며 그가 새삼 락 마니아임을 깨닫는다. 비록(?) 당대의 다른 젊은이들보다 부유한 삶을 살았기에 살짝 아이러니컬하지만. 그도 그럴 것이 메탈락은 대부분 가지지 못한 이들의 울분을 대변하기 때문이다. 본 조비도 여기에 해당한다. 곱상한 외모와 상대적으로 말랑말랑한 연주로 귀여운 락이라고 비아냥거림을 받기도 하지만 가사를 자세히 들어보면 뼛속깊이 노동자 편임을 알 수 있다. 리빙 언 어 프레이어는 대표적이다. 기도로 하루하루를 버티는 여성의 삶을 노래하고 있다. 힘들어도 너무 힘든 나날을 보내면서도 준비가 되어 있던 그렇지 않든 싸워야 한다면 싸울 수밖에 없다고 울부짖고 있다. 코비드 19 사태와 맞물려 더욱 절절히 와 닿는다. 그나마 확진자수가 하루 두 자리 수로 줄어들어 다소 안심했지만 비웃기라도 하듯 다시 세 자리 수로 늘어나고 사망자도 어느덧 백 명을 넘어섰다. 정말 기도에라도 의지해서 살아가야 하는 시절이 온 듯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바흐 : 골드베르크 변주곡
기타제작사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정신 바짝차리고 처음부터 끝까지 쭈욱 들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