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새 - 1994년, 닫히지 않은 기억의 기록
김보라 쓰고 엮음, 김원영, 남다은, 정희진, 최은영, 앨리슨 벡델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보기를 거부해왔던 많은 아름다운 순간들도 있었음을 인정하자. 자신을 진정으로 좋아하기까지는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리는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벌새 - 1994년, 닫히지 않은 기억의 기록
김보라 쓰고 엮음, 김원영, 남다은, 정희진, 최은영, 앨리슨 벡델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보기를 거부해왔던 많은 아름다운 순간들


작가들은 이기적이다. 아니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 그러지 못하면 살아남지 못한다. 김보라도 그랬다. 자신이 직접 주인공이 되어 영화를 만들어 냈다.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가. 


영화는 아직 보지 못했다. 그의 단편 <리코더 시험>을 보고 놀란 가슴을 진정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폭파와 살해 장면이 있다고 해서 무서운 영화는 아니다. 다른 사람은 전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지만 저 먼 기억 속에 각인된 부끄러운 상자를 열었을 때 나는 후끈 달아오른 얼굴을 손으로 가리게 된다. 


1994년. 누군가는 그 시대를 살았고 또 어떤 이는 이전에 사망했고 아니면 아예 태어나지도 않았던 생명들이 있다. 분명한 건 누군가는 하루하루를 지내고 있었을 것이다. 마치 지금처럼. 나도 마찬가지였다. 흥미로운 건 내게는 지워진 시절이었다. 도무지 어떤 추억도 떠오르지 않는다. 성수대교가 끊어지고 삼풍백화점이 무너졌는데. 그리고 김일성이 죽었는데 어떻게 그럴 수 있냐고? 사정이 있었다. 나는 김보라만큼 용감하지 못하다. 밝히기 어렵다. 


은희는 별 것 아닌 것처럼 시간을 관통하고 있다. 그러나 그 안에는 용광로가 들끓고 있다. 오빠만 예뻐하는 부모. 살갑지만 늘 떠날까 두려운 남친. 희희덕거리면서 친하게 지내지만 절교를 경험하게 되는 친구. 느닷없는 동네 여자아이의 고백. 남모르게 흠모하는 학원 여선생. 그리고 귀에 난 혹과 수술 상처. 너무나도 사실적이기에 이건 본인의 이야기일 수밖에 없다는 확신이 드는 순간 섬뜩한 기분이 든다. 굳이 이렇게까지 후벼 파는 이유는 뭘까? 가족과 화해하고 싶어서 아니면 그들에게 앙갚음을 하려고. 


이 모든 의문은 인터뷰에서 풀린다. 그는 알았다. 부모는 자신을 바다로 던져버렸지만 구명조끼는 입혀줬다고. 그리고 깨닫는다. 내가 보기를 거부해왔던 많은 아름다운 순간들도 있었음을. 자신을 진정으로 좋아하기까지는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리는지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워풀 - 넷플릭스 성장의 비결
패티 맥코드 지음, 허란.추가영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인공지능 개발과정이 배제된 하나마나한 말들로 뒤범벅이 된 뻔한 경영서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워풀 - 넷플릭스 성장의 비결
패티 맥코드 지음, 허란.추가영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항상 뒷북이다. 남들이 한참 따라하고 유행이 끝물에 들어갈 때까지 꾸물대다가 서서히 관심도 없어지고 사그라지면 그때서야 불을 뿜으며 몰두한다. 넷플릭스도 마찬가지다. 시청방법을 요모조모 살펴보다 일단 30일 무료이용권으로 노트북에서만 시청하기로 최종 결정한 게 지난 주말이었다. 정작 신청은 4월 10일 <사냥의 시간> 개봉에 맞춰 할 예정이다. 물론 볼만한 드라마나 영화 리스트도 이미 쭉 뽑아놓았다. <킹덤>은 당연하고 나의 최애 드라마인 <글리>도 빼놓을 수 없다. 


넷플릭스는 흥미로운 기업이다. 디브이디 렌탈 사업 출신이라서만은 아니다. 창업자가 수학 선생출신이라는 점도 딱히 새로울 게 없다. 핵심은 인공지능을 가장 잘 활용했다. 사람들은 넷플릭스를 콘텐츠 회사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소비자의 구매의도나 패턴을 귀신같이 알아내 제공하는 서비스 업종이다.


그동안 인공지능은 소문난 잔치였다. 이세돌 구단과의 대국으로 화제를 끈 알파고는 이미 수명을 다했다. 국내 기업들도 앞 다투어 진출한 인공지능 스피커도 인기가 시들해졌다. 인공지능 내장 티브이로 각광받는 울트라 버전은 올레드에 밀려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지고 있다. 도대체 인공지능은 어디 있다는 말이냐?


정답은 넷플릭스다. <파워풀>은 이 지점을 놓치고 있다. 경영자가 쓴 책의 한계다. 도리어 성공비결의 키를 쥔 엔지니어자 저자였다면 훨씬 더 흥미진진했을 뻔했다. 그 결과 인공지능 개발과정이 배제된 하나마나한 말들로 뒤범벅이 된 뻔한 경영서적이 되고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집에 있는 부엉이 난 책읽기가 좋아
아놀드 로벨 글.그림, 엄혜숙 옮김 / 비룡소 / 199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신분열증에 시달리는 부엉이는 어떻게 자신만의 안식을 찾아가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