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가 착한 사람이라고 생각해왔다. '당연히 할 일을 한다'고 말하면서도 속으로는 은근히 '내가 착해서 그런 거지'라고 생각한다. 아무도 모르게 좋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사실쯤은 조금만 생각해도 알 수 있는 일이지만, 연말에 몇몇 단체에서 소득공제영수증을 보내줄 때면 누가 좀 봐줬으면 싶을 만큼 되게 뿌듯했다.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계속 이런 생각을 하면서 살고 싶다. 고작 돈 만원씩 이만원씩 내는 걸로 자부심을 느끼면서 살고 싶다. 월급이 늘면 돈도 더 낼 수 있다. 물론 그걸로 임무를 다 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죄책감을 느끼고 싶지는 않다. 그런데 "다른 애들은 돈을 내고 먹는데 저는 안 내고 먹으니까, 많이 먹으려면 눈치 보여요."라는 아이의 말을 듣고 어떻게 죄책감을 피할 수 있겠나. <PD 수첩>을 보면서 가슴이 무너졌다.
가관이었다.
김상곤 교육감(내가 뽑았다)의 '무상급식' 안을 두고 면전에서 '혹세무민'이라 흥분(발광)하고
이 공약이 '일장춘몽'이 될 거라고 연설하는 인간들을 보는데(아니, 인간이라고 할 수 있나?),
침착하려 애쓰는 김상곤 교육감을 보고 있기가 괴로웠다.
경기도의 전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점심을 무료로 주겠다는 기획에 대해(경기도가 처음도 아니다) 이를 악 물고 반대하는 족속들은 말한다.
'젊은 사람들이 자기 애들을 굶긴다는 건 문제가 있다'
그들에게 가난은 오로지 개인의 책임인 것이다. 게으르고 무능한 탓인 거다.
'돈 많은 집 애들에게 혜택을 줄 돈으로 더 가난한 애들을 찾아 돕는다'
얼핏 들으면 개중에 말이 되는 것 같은 소리다.
그들에게 가난은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 베풀어 도와줄 문제인 것이다.
우리가 국가에 바라는 건, 불우이웃 돕기가 아니라 제도적인 개선인 걸
그들은 죽는 순간에도 도저히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근데 이렇게 얘기하는 것만도 내가 너무 근사하게 풀이해주는 것 같다.
'돈 많은 집 애들에게 혜택을 줄 돈으로 더 어려운 아이들을 찾아서' 라고?
당신들에게도 심장이 있고 피가 돌고 있을 텐데 어떻게 그런 소릴 '당신들' 입에 담나.
언제부터 너희가 부자에게 가는 혜택에 목놓아 반대하고 '더 어려운' 아이들을 찾아왔나.
어떻게 인간의 입이 그렇게까지 더러울 수 있나.
그 입도 밥을 먹는 입인가.
일부 아이들 급식비가 밀리면 결과적으로 전체 급식 운영비가 줄어서 갈비탕 나갈 게 콩나물국 나가게 되어 결국 아이들 모두가 손해라며 영양사 교사가 한숨을 쉬었다. 기껏해야 6학년일 아이들이 무상급식을 하면 부모님한테 부담도 덜 되어 좋겠다며 웃는다. 부끄럽고 분해서 잠을 설쳤다. 온종일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 결국 믿을 만한 단체에 결식 아동 돕는 기부를 알려달라고 문의를 넣고 있자니 눈물이 솟는다.
나는 죄책감 때문에 기부를 하고 싶지 않다.
나는 국가를 대신해서 문제를 해결하고 싶지 않다.
나는 화가 나서 누군가를 돕고 싶지 않다.
나는 앞으로도, 착한 일을 하고 뿌듯해하는 속물로 살고 싶다.
밥 먹는 일의 존엄함도, '제도'란 무엇인지도, '국가' '세금'이 무슨 뜻인지도
저 더러운 입을 가진 인간들에게는 어려운 이야기일 것 같다.
그들이 알아듣기 쉽게 말하자면, 부잣집 애들이 혜택을 받아도 괜찮으니까 애들 밥 좀 먹이자.
차라리 돈이 없어 그러니 특별 세금을 걷겠다고 하면 그래, 내겠다.
내 돈으로 부잣집 애들 밥 먹여도 괜찮다.
다 똑같은 애들이고 똑같은 입이다.
부잣집 애들 먹는 밥은 아깝고, 가난한 집 애들 먹는 밥은 소중하다고 생각 안 한다.
아직까지는,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