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을 때마다 전 책을 손에 듭니다. 가장 편한 시간에 내키는 대로 가장 홀가분하게 손쉽게 떠날 수 있는데다 오랜 시간 진지하게 생각들을 나눌 수 있는 동반자까지 함께 하니 더할 나위 없는 최상의 여행이기 때문이죠. 일상의 위안이자 일상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힘 그 모든 것을 얻어 다시 돌아옵니다. 그리고 그럴 때 마다 저의 세계가 깊고 넓게 확장됨을 느낍니다.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늘 가장 먼저 가장 많이 추천하는 작품입니다. 아직까지 이 보다 더한 감동을 주는 작품을 만나보지 못했기에 여전히 최고의 작품이기도 하구요. 이 작품은 ‘신이 왜 인간에게 고통을 주었는가?’에 대해 성경의 욥기를 비롯 그 어떤 변신론 보다 더 탁월한 해답을 들려줍니다. 지금처럼 고통이 점증하는 시대에 혹 그 고통의 의미에 대해 알고 싶다면 꼭 읽어볼 작품이 아닌가 합니다.


아날두르 인드리다손 / 무덤의 침묵

아이슬란드의 작가 인드리다손은 타인의 비극에 대한 관심을 자신의 작품의 주요한 바탕으로 삼았던 조르주 심농의 적자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의 작품 역시도 범죄 자체 보다는 인간에 더 관심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의 소설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은 하나 같이 다 나이가 많으며 범죄 또한 수십 년 묵은 오래된 것들 뿐 입니다. 그에게 범죄란 그 오랜 세월 켜켜이 쌓여왔을 애환과 질곡의 지층을 지닌 타인의 삶으로 들어가기 위한 계기이고 수사란 바로 그 삶을 복원하는 과정일 뿐입니다. 거기서 우리가 만나는 것은 범죄가 아니라 한 인간이 걸어온 묵직한 삶의 여정입니다. 그리고 그 여정을 함께하는 동안 우리네 삶도 얼마나 어마어마한 무게와 깊이를 가지고 있는 것인지 새삼 깨닫게 됩니다.

폴 오스터 / 보이지 않는

작가의 자전적 고백이라고도 볼 수 있는 이 소설은 911 테러를 일종의 미국의 정신적 공황에서 비롯되어진 산물로 바라보고 그 원인을 시간을 거슬러 찾아가는 작품입니다. 작가와 똑같은 나이에 똑같은 학교를 다니는 주인공을 통해 그는 1967년에 겪었던 미국 정신의 위기와 현재 미국 정신의 위기가 다르지 않음을 보고 그 원인과 극복을 문학적으로 형상화내고 있습니다. 필립 로스의 최근 작품과 더불어 시대가 겪고 있는 아픔을 문학적으로 어떻게 형상화하고 극복해 나가는지 잘 음미해 볼 수 있는 작품이라 생각됩니다.

트리베니언 / 메인

트리베니언의 ‘메인’은 너무 늦게 번역되었지만 오히려 시의적절하게 우리 앞에 도착한 것 같습니다. 많은 곳에서 아픔이 넘쳐나고 날로 삶이 핍박해지는 요즘 같은 때에 더 공감할 수 있는 소설이기 때문입니다. ‘메인’은 아무도 보호해주지 않는 무관심속에 버려진 사람들이 모여 사는 거리의 이름입니다. 홀로 이 구역을 순찰하는 주인공 라프왕트는 그렇게 아무도 보호해주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스스로 보호자를 자처하지요. 그가 그러는 것은 그 오랜 세월 그 거리를 순찰하면서 보게 된 아프고 비루한 삶을 이어가는 타인들에 대한 깊은 연민 때문입니다. 요즘 같이 점점 만인이 만인의 적이 되어가고 타인의 아픔에 대해 무감각해지는 때에 이 소설은 내 주변의 사람들에게 마음의 문을 열어 놓게 만드는 힘이 있습니다.

슬라보예 지젝 / 시차적 관점

지젝의 책을 읽을 때 마다 놀라는 것은 그가 인용한 작품들을 독해해내는 능력입니다. 아무리 익숙한 작품이라도 그의 해석을 듣고 있으면 새롭고 그 풍부한 의미에 놀라게 됩니다. 그리고 그렇게 자신만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끼게 됩니다. 매체와 장르를 오가면서 그만의 거대한 맥락을 발견해내는 그의 장기가 유감없이 발휘된 게 또 이 책이 아닌가 합니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지젝이 마치 필립 말로우 같아 보입니다. 그렇게 그는 사립탐정이 되고 그가 대면하는 수많은 매체와 작품들이 저마다 목격자이자 참고인이 되어서 내놓는 단서와 증거들을 가지고 거대한 그림을 그려가는 것이죠. 진정 동참해 볼만한 흥미로운 수사와 추적의 여정이 아닐까 합니다.


추천인 : 이창준 (헤르메스, 알라딘 제 1회 물만두 리뷰대회 1등)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중 ‘1973년의 핀볼’을 가장 좋아합니다. 처음 읽었을 때 주인공이 만들어 놓은 그 자기완결적인 우주가 너무 마음에 들어서 그런 세계를 꿈꾸었고 현재는 그와 비슷한 세계를 이루고는 그 속에서 조용히 책을 벗 삼아 유영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쌍둥이 자매랑 같이 사는 것만 빼고 말이죠.

헤르메스 님의 알라딘 서재http://blog.aladin.co.kr/7484811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