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 책속에 풍덩 빠질수 있을 듯. 물론 근무시간에 책을 읽을만큼의 여유로움은 가질 수 없지만 가끔 하는 주말근무에는 책과 함께 지낼수 있다. 그리고 한달에 한번씩 들어오는 신간서적은 그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 손때가 묻지 않은 신간도서를 집에 가져올때의 그 행복감이란^*^
오늘 첫 주말근무.
지난번 노희경 작가의 책을 읽으면서 이청준의 <눈길>이 떠올랐다.
검색을 하니 요 책속에 단편이 들어있다. 이렇게 짧았나?
주인공 '나'는 어머니의 가난을 애써 외면하며 '빚'이 없음을 강조한다.
형이 집마저 탕진하여 갈곳도 없던 어머니를 모른척 하는 주인공 '나'의 이기심이
어쩜 내안의 모습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집을 팔고는 막내를(주인공 나) 하염없이 기다리다 마지막으로 내 집에서
따뜻한 밥을 해 먹이고는 깜깜한 새벽, 이웃의 눈을 피해 아들을 배웅하는
그 눈길에서의 어머니의 심정을 이제야 조금은 알 것 같다.
팬티 인문학은 은근히 보수적인 나와는 맞지 않는다.
신문에 서평을 써야 한다는 부담감이 작용했을까?
그래서 짚어든 책.
"유쾌한 지식 여행자의 80가지 생각코드", "요네하라 마리, 세상의 프레임을 벗기다" 라는
부제가 와 닿는다.
저자가 요미우리 신문 일요판에 연재한 글이라고 하는데 재미있다.
제목처럼 교양이 팍팍 쌓일듯한 느낌. 책을 통째로 외우고 싶다!!!!!
그외 1월에 읽은 책!


읽을 책!!

대출해 놓고는 사무실 책상위에 놓아 두었다.
난 김훈 작가의 소설에서 느껴지는 섬세함과 인간미를 사랑한다.
12월부터 읽고 있는데 아직도 끝을 맺지 못했다. 음......
요즘 에세이 읽기가 식상해진다. 이제 독서수준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할 계기가 된듯.
에세이 뒤로 윤대녕작가가 읽은 책 서평이 나오는데 괜찮다.
남다른 독서법, 그것이 바로 이 책에서 소개하는 '초병렬 독서법'이다. 이 독서법은 한마디로 '책 열권을 동시에 읽는 방법'이다. 다시말해 물리학, 문학, 전기 및 평전, 경영학, 역사, 예술 등 전혀 다른 장르의 책을 적극적으로 넘나들며 동시에 읽는 것을 말한다.
올해 목표는 최소 100권 읽기이고, 주제는 인문학 책 읽기!!
여우꼬리)
보림, 규환이랑 함께 출근했다. 일어나면서 보림이가 피곤하다고 살짝 짜증내긴 했지만 순순히 따라 나섰다.
요즘 뒤늦게 해리포터에 빠져든 보림이는 하루에 1권씩 읽고 있다.
주말에는 그저 책만 읽으면 좋겠지만 지금은 수학 문제집 풀고 있다. 응?
규환이는 아동실에서 앗 시리즈를 읽고 있다. 관장님의 특명으로 만화책이 사라진 점 맘에 든다.
은근슬쩍 한권씩 사모은 만화책은 집에도 충분히 있잖아?
오늘 6시까지 버틸려면 좀 힘들긴 하겠지만 적응되면 괜찮아!
엄마 주말 근무때는 무조건 도서관행이다.
내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