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머 씨는 바틀비 씨와 쌍둥이 같다. 잊을 수 없는 인물을 소설에서 만나면 꼭 인사를 해야겠다

그렇지만 아무도 좀머 씨를 봤다거나 어디에 있는지를 아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2주일이 더 지난 다음 리들 아줌마가 경찰에 실종 신고를 하기로 했고, 그 후 몇 주일이 지난 다음 신문에 아저씨를 찾는 광고가 아무도 그 사람이 좀머 아저씨란 것을 알아볼 수 없을 아저씨의 여권용 사진과 함께 나왔다 - P1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프카의 유명한 중편소설 《변신》을 읽고 놀랐던 점은 그레고르 잠자가 그렇게 흉측한 벌레가 되었는데 전혀 놀라지 않았다는 것이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는 말했다. "지금 나는 방에서 유령을 보았어요."

"마치 수프 속에서 머리카락이라도 발견한 것처럼 그렇게 불쾌하게 말하시는군요."

「불행」


<나>는 유령을 본 것을 "수프 속에서 머리카락이라도 발견한 것처럼" 대수롭지 않게, 하지만 불쾌하게 여기는 사람이다. 뿐만 아니라 <나>는 유령이 나타나더라도 더 이상 불안해하지 않기 때문에 불안의 원인과 불행의 본성에 대해서 차분히 생각할 여유도 가지고 있다. 불행 또는 유령의 잦은 방문이 《변신》과 연결되는 지점이 독특한데 《변신》의 경우는 카프카의 몸으로 방문했다. 집이 아니라!


불행의 방문이 잦았던 것처럼 그들이 나누는 대화도 익숙하다. 마치 오래되었만 언제나 적응이 안 되는 관계처럼. 흥미로운 건 불행이 아이의 모습으로 찾아왔다는 것이다. 왜 아이의 모습이었을까? 그것도 소녀의 모습으로.


"나는 아이입니다. 왜 그렇게 나에 대해서 여러 가지로 마음을 쓰십니까?"

"그리 마음 상하진 마세요. 물론 당신은 아이입니다민 그렇게 어리지는 않습니다. 당신은 이미 어른입니다. 만일 당신이 소녀였다면, 이렇게 아무렇게나 나와 한 방에 틀어박혀 있지는 못할 것입니다."

「불행」




소녀를 의인화한 「불행」은 '죽음'을 의인화한 그림책 『오래 슬퍼하지 마』를 생각나게 한





집과 몸은 연관이 깊다. 미디어 전문가 마셜 매클루언이 "집은 몸의 연장"이라고 말한 것처럼 나만의 사적 공간이자 안정적인 재생산의 장소인 집에 불청객이 방문한 것은 몸이 흉측한 괴물로 변신한 것과 연장선상에 있다. 집에 방문한 불행이라는 손님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계속 방문했다고도 볼 수 있다. <나>는 불행의 눈치를 봐야 하는 입장이다. 불행이 '세게' 상처를 내는 것보다는 사소한 스크래치 정도로 넘어가 줬으면 하기 때문이다. 커다란 불행의 경우 운명의 서슬퍼런 명령이기에 불행도 어쩔 수 없겠지만, 불행 스스로가 결정할 있는 내용물이라면 협의나 흥정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둘은 오랫동안 불행의 견적에 대해서 협의를 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신의 본성은 나의 본성이며, 내가 원래 당신에게 친절하게 대할진대 당신도 그렇게 할 도리밖에는 없을 텐데요."(<나>)

"그게 친절한 것입니까?"(불행)

"나는 전에 있었던 일에 관하여 말하는 것입니다."(<나>)

"나는 아무것도 모릅니다."(불행)

「불행」


암 투병중인 중년의 사나이가 도서관의 논어 읽기 모임에 방문한 적이 있었다. 그는 아침마다 암세포가 있는 부분을 손으로 다독이면서 인사를 한다고 말했다. 나에게 찾아온 암이라는 불행과 매일 인사를 나누는 것이다. 불행은 안 만나면 좋겠지만 누구도 불행을 완전히 피해갈 수는 없다. 때로는 흥정을 해야 할 일도 있다. 불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는 경우 말이다. 그러는 과정에서 우리는 불행을 이해하게 되는데, 그 원인이 나와 연관돼 있다는 것도 알게 된다. 나와 완전히 상관 없는 불행도 있을 테지만 내가 일으킨 날갯짓이 불행을 부른 경우가 더 많다.


카프카는 왜 어린 소녀를 불행의 전령으로 택했을까? 불행이 사뿐히 걸어 오기 때문일까? 아니면 상대방을 무장해제시키기 위해서였을까? 불행이란 게 앞문을 닫으면 뒷문으로 들어오는 날렵한 존재가 아니겠는가? 『오래 슬퍼하지 마』의 죽음보다는 어리고 가벼워야 한다는 것은 맞는 말 같다. 불행이 떠나고 <나>는 완전히 외톨이가 된 기분으로 방에 들어가 잠을 잤다. 조용히 산책을 하려고 했으나 외출은 하지 않고. 불행이 전혀 방문하지 않는다면, 불행이 나를 완전히 떠나버린다면. 카프카는 불행의 의미에 대해서 나에게 다시 질문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키프카의 소설에서는 하급 공무원 또는 심부름꾼을 유심히 살퍄보게 된다. 그들이 카프카가 그리는 자본주의 최전선의 전사들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나갈 수 없소.당신은 체포되었소." "그런 것 같군요. 그런데 도대체 이유가 뭐죠?"
K가 물었다. "우리는 그런 걸 말해줄 입장이 아니오. 방으로 돌아가기다리시오. 이제 소송 절차가 시작되었으니, 때가 되면 모든 걸 알게될 겁니다. 당신에게 이렇게 친절하게 충고해주는 것도 내 임무를 벗어나는 거요. 프란츠 말고는 듣는 사람이 없기를 바라지만 말이오. 사실 저 친구도 규정에 위배되는 걸 알면서도 당신에게 친절을 베풀고 있는 것이오." - P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쓰메 소세키 셀프 디스를 보면 속이 후련하다. 고양이에 대한 글을 강제로 써야 하는 상황이 생겨버렸다.

내 주인은 나와 얼굴을 마주치는 일이 좀체 없다. 직업은 선생이라고 한다. 학교에서 돌아오면 하루 종일 서재에 틀어박혀 거의 나오지않는다. 식구들은 그가 뭐 대단한 면학가인 줄 알고 있다. 그 자신도면학가인 척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그는 식구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부지런한 사람이 아니다. 나는 가끔 발소리를 죽이고 그의 서재를엿보곤 하는데, 대체로 그는 낮잠을 자고 있다. 가끔은 읽다 만 책에침을 흘린다. 그는 위장이 약해서 피부가 담황색을 띠고 탄력도 없는등 활기 없는 징후를 드러내고 있다. 그런 주제에 밥은 또 엄청 먹는다. 배터지게 먹고 나서는 다카디아스타제라는 소화제를 먹는다. 그다음에 책장을 펼친다. 두세 페이지 읽으면 졸음이 몰려온다. 책에 침을 흘린다. 이것이 그가 매일 되풀이하는 일과다. - P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쁜 아빠 신화를 거슬러 올라가면 결국 페미니즘의 쟁점이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걸 알게 된다. 대학원 전공 서적 참고문헌에서 이 책을 재회하고 나서 깜놀했던 기억이..

가족을 버리고 떠나 양육비를 내지 않는 아버지의 신화는 어떠한가? 재차 소수의 실제 악덕 아빠가 이혼후 그들의 자녀들에게 양육비를 대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대다수 아버지들을 대표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미디어는 책이나 영화 그리고 텔레비전 속에서 아버지에 대한 묘사를 통해서 아버지에 관한 이러한 신화들을 만들어내고 지속시키는 데 도움을 주어 왔다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