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집이 리모델링을 위해서 짐을 빼기 시작했다. 남의 일이 아니다. 윗집과 우리 집은 이사업체가 가장 싫어하는 책을 무지막지하게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략 1천 권의 책을 들어냈지만, 여전히 좌불안석이다.
부지런히 윗집을 오가며 정보를 수집하던 아내가 비보를 전했다. 책이 하도 많아서 이사업체 사장님이 극대노 했다는 것과 윗집 아저씨가 소처럼 일하고 있다는 소식이었다. 불안한 마음에 나가보았다. 과연 평생 대학에서 역사를 가르쳐온 고매한 교수님께서 이사 트럭에서 메뚜기처럼 이리저리 다니면서 짐을 옮기고 있었다.
<모비 딕>에서 글로만 읽었던 포경선에서 일하는 말단 선원의 모습을 현장에서 보는 듯했다. 나와 눈이 마주친 윗집 아저씨는 나를 향해서 v 자를 만들어 보였다. 그러나 그의 미소는 나에게 ‘다음 차례는 너야. 각오해’라는 경고로 다가왔다.
사시나무처럼 덜덜 떨면서 다시 서재로 복귀한 나는 버릴 책을 또 물색하기 시작했다. 이사업체 사장님의 성난 표정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마치 페북 친구를 정리할 때 발견한 아랍인처럼 내 눈에 들어온 것은 몇 년 동안 구독했던 ‘내셔널 지오그래픽’이었다. 얇지만 돌덩이처럼 무거운 잡지다. 하도 무거워서 택배를 보내려고 해도 쉽지 않다. 새삼 한숨이 나왔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30/pimg_7209441033502598.jpg)
이 잡지야말로 미국인들이 이사를 갈 때도 꼭 챙긴다고 소문난 귀중본 아닌가. 이미륵 선생의 소설<압록강은 흐른다>의 마지막 장면이 떠오른다. 자식을 머나먼 외국으로 떠나보내는 어머니의 심정을 조금이나마 알 것 같다. 잘 가라. ‘내셔널 지오그래픽’
서재를 정리하다 보니 끝까지 살아남는 목록이 추려진다.
우선 추억이 담긴 책이다. ex) 대학 시절 메모가 담긴 교재, 누나를 사모하는 총각 선생이 누나에게 선물한 책(이게 왜 내 서재에 있는지는 모르겠다)
둘째 사진집. 사진집은 절대로 버릴 수 없다.
셋째, 사전처럼 필요한 정보가 있을 때마다 들춰봐야 하는 참고용 도서
넷째, 최신 번역의 고전 소설
다섯째, 지금은 구할 수 없는 절판 본이나 희귀본. 또는 재출간되었지만, 무척 힘들게 구했던 절판 본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30/pimg_720944103350259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