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아, 정말 넘 설레. 시험 끝나고도 설레고 크리스마스도 설레고 내 생일도 설레고."
거기에 대고 나의 답은.
"너는 좋겠다. 설레는 게 많아서..."
이런 중년이다. 상상도 못했던 모습이다. 나는 이제 설레는 게 없다. 이건 진짜 나이가 들어야 알 수 있는 감정이다. 원래는 설레는 게 정말 많은 사람이었다. 사랑하는 남자 친구를 만날 약속을 하면 일주일을 설레었고 단지 크리스마스가 온다는 것만으로 제주도 여행을 간다는 것만으로 한 달을 그 기대로 살기도 했다. 설사 내가 기대했던 대로 오지 않은 결론일지라도 내가 바라는 최상의 상황을 가정하며 기다리고 기대하는 나날들은 이제 시간 속에 묻혀 버렸다. 계속되는 실망, 좌절의 누적이 나를 이렇게 만들어버린 걸까. 아니면 그냥 사람은 저절로 나이가 들면 그 설렘의 능력이 마모되어 버리는 걸까. 어느 쪽이든 가슴이 아프다.
불빛을 볼 때마다 가슴이 후둑후둑 소나기 오기 직전의 숲처럼 설레곤 했다. 곁에 있어도 한강만큼의 거리가 느껴지는 현금, 헤어져 있어도 예민한 현 같은 게 당겨주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그녀, 그 소통의 끈은 미세한 바람에도 오묘하게 떨리는 것처럼 긴장돼 있었고, 영빈은 그 소리를 가슴으로 들을 때 살아 있음의 번뇌와 희열을 오싹하게 실감하곤 했다.
허망감을 모를 때에는 설렘도 없었다. 설렘이 시작되자 차곡차곡 쌓아온 경력의 켜가 쉬어터진 시루떡만큼도 중요하지 않아졌다.
-<아주 오래된 농담> 박완서
이렇게 설렘이라는 감정을 예리하게 간파한 작가가 박완서 말고 있었을까. "후둑후둑 소나기 오기 직전의 숲처럼" 설레는 마음. 어떤 전조로 젖기 전의 그 울렁이는 기분. 그러나 그것이 이윽고 지나가고 나면 남는 허망감. 그것들이 연륜과 섞여 퇴적되면 어느새 삶의 기대는 절로 누그러지곤 한다. 그러나 그래서 아무것도 기대하고 설렐 것이 없는 그 나날들이 더 좋은 걸까, 나쁜 걸까. 허망감도 실망도 덜해서 덜 흔들려 편안한 건지, 아니면 그것이 결국 생의 에너지일 텐데 그것이 물러난 자리의 무기력과 무력감으로 바싹 말라버리는 걸까. 아직은 뭔가에 부쩍 설레는 사람이 부럽다. 질투날 만큼.
올 연말 나를 조금이라도 설레게 할 것은 아마 이 두 권의 책에 대한 기다림일 것이다. 드디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가 민음사에서 완역으로 출간된다. 이 두 권을 다 읽게 된다면 나는 드물다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완독자가 된다.^^ 2012년부터 김희영 선생님 번역의 민음사 출간 순서대로 읽기 시작했으니 거의 십 년에 걸친 대장정이 되어 버렸다. 십 년에 걸쳐 번역되어 출간되었기에 멈추지 않을 수 있었다. 이 책은 무엇보다 시간에 대한 이야기다. 시간이 파괴해 버리고 붕괴해 버리는 것들의 그 찰나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처절한 복기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읽기는 따라서 시간을 통과하는 일이다. 그 안의 인물들과 내 시간은 겹치고 어긋나고 마침내 노화와 죽음으로 만난다.
이런 결론을 만나려 설렌다. 찰나의 아름다운 것들은 결국 다 스러진다. 허망해질 것이다. 그럼에도 기대하고 기다린다. 그것이 마치 영원히 나의 존재와 삶을 바꾸어 줄 것처럼 그렇게 기다리는 딸의 모습을 보면서 나의 과거를 본다. 섣부른 조언, 단정은 하지 말아야지. 그건 알 필요가 없이 누구나 경험하게 되는 나이듦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