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예술에 얼마나 목이 말랐으면, '볼테르'와 '보테로'... 자꾸 이름을 햇갈리게 부르는 '나'도 가게 되었을까. (아르마니가 생각나지 않아서 아다지오라고도 했다 ㅡ..ㅡ; 고유명사를 잊게 하는 무슨 병이라도 걸린게 아닐까.. DHA가 풍부한 참치라도 꼬박꼬박 챙겨먹어야겠다.)
가끔 미술서적을 읽기는 하지만 진짜로 보면 다르겠지 하는 기대감이 좀 있었다.
집회는 혼자서도 잘 가는데, 극장은 죽어도 혼자 못가는 본인이 이번에 같이 갈 사람을 애타게 불렀으나. 아무도 없고 ㅠㅠ;
그나마 스케줄 꽉 잡아 놓으셨던 휘모리님만 웬일인지 변경하시고 막판에 동행해주셨다.
(너무 극적인 삶을 살고 있는듯 -_-;;)
표도 미리 끊고 타는 목마름을 뽀카리 스웨트로 적시며 덕수궁 근처를 세시간 배회하다...
입장하였다.
1. 시장바닥 같은 전시장...
대단히 유명한 화가인가보다~!! 노무현 분향소에 줄을 서던 인파의 미니멀 버전(?)
전시장에 들어가니... 예전에 독립기념관이나 박물관에서 게걸음으로 보던 기억을 연상케 했다..
유화 대작이 많아서 좀 멀리 떨어져서 보고 싶었는데, 다들 바짝 붙어서 보더라 ㅠㅠ
안보여 안보여~
미술서적에 따르면 그림 크기에 따라 보는 거리도 달라져야 한다는데.
하여간 신경쓰이는 뒷통수가 많았다.
2. 부피와 비례, 질감, 그리고 색감
그림은 힐끗 봐도 독특하다.
지금의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미감에 대한 조롱처럼 고도비만의 세계가 펼쳐진다.


빌렌도르프의 비너스상처럼 우리가 갖고 있는 미의식은 시대정신의 반영이다.
인간 욕망이 투영되어지는 것이고 그것은 예술 그대로의 것이 되어지곤 하는데,
보테로의 작품에는 한 번의 비틈이 있다.
유난히 크거나 작은 사물의 비례와 양감의 과도한 변형은 미의 체계를 흔든다.
그것의 독자성이 이 화가를 두드러지게 하는 듯 하다.
색깔은 어찌나 곱던지...
2. 몰개성
상당히 비슷한 구도와 얼굴들 뿐이다.
애초에 개성은 없다는 식으로 보여지는 인물과 상황이 이어진다.
그렇다고 작품이 재미가 없을까?
아니다. 변주가 있다. 눈은 어딘가를 향하고, 무표정한 얼굴은 상황을 설명하려 들고,
예상치 못한 소도구의 등장이 그림에 수수께끼 같은 질문을 만들어 낸다.


월E 에 등장하는 지구인이 생각난다.
모두는 같지만, 애정을 갖고 보면은 각자를 대표하는 것이 발견되어진다
몰개성은 곧 개성에 대한 갈망이 있게끔 한다.
3. 그림 속의 열쇠말
라틴의 삶이 보인다. 담배, 도박, 춤, 투우... 그들의 희열과 에너지가 넘치는 듯 하지만
체제 속의 따분한 일상까지도 놓치지 않고 표현하고 있다.
아마도 몰개성의 얼굴이 오히려 얼굴을 보게 만들듯, 반복되어지고 있는 삶을 표현함으로써
삶을 집중케 하는 뭔가가 있는 것 같다.
반복 되지만 결코 같지 않음을 느끼게 하는 열쇠말을 찾는게 그림을 재밌게 한다.
김홍도의 작품 곳곳에 숨겨져 있는 위트를 발견할 수 있다면, 보테로의 작품도 만만치 않게 재미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4. 고전의 재해석...
유명한 그림들을 보테로식으로 그려냈다.
쿠엔틴 타란티노가 오우삼을 오마주 하는 것과는 성격이 다르겠지만,
우리가 고전이라 부르는 작품을 자기 세계로 끌어오는 담대함이 대단하게 느껴진다.






근데 뭘 알아야 보이지 ㅡ..ㅡ;;
에코의 유머가 어디 웃겼던가?
5. 자화상
잘 생겼네..


http://www.museumsyndicate.com/artist.php?artist=248
여기 가면 다른 작품 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