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늘과 땅과 바람의 문명 - 동양편, 세계사 선생님 김지희와 함께하는 1001일간의 세계문명체험 1
김지희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여행이란 항상 가슴설렘을 동반한다. 무엇을 보고 어떤 사람들을 만날까... 여행 역시 만남이다.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는 사람들과의 만남이다. (사실 이건 순전히 내 생각이다) 한 때 처음 문화사와 답사 공부를 시작할 때 각종 건축물의 양식이니 탑의 양식이니를 펼쳐놓고 열심히 외웠다. 답사를 가서도 각종의 양식들과 시대를 확인하느라 바빴다. 그러다 보니 늘 눈에 들어오는건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는 것들, 그리고 국보나 보물급에 해당하는 유명한 것들이 먼저 눈에 들어올 수 밖에 없다.(답사 초보들의 전형적인 모습이리라)
근데 시간이 흐르고 여기저기 다니다 보니 좀 다른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결국 건축물의 이름하나 탑의 양식하나 아는 것이 무에 그리 중요하랴.... 그 속에서 어떤 사람들이 살았는지가 궁금해진다. 그곳을 거쳐간 사람들의 흔적을 찾다보면 폐허로 남은 폐사지에서도 옛사람들의 숨결이 느껴지고 건물의 기단부에 잘 보이지도 않게 조각되어진 바닷게의 그림이나 거북이의 익살스러운 조각들에서 옛 건물을 지었던 목수, 조각가들의 마음이 느껴진다. 어떤 곳이든 그곳에는 거기를 살아간 사람들이 있다. 눈을 감고 유명한 사람이든 이름도 모르는 사람이든 그 사람들의 삶의 내음을 맡았을 때 여행은 특히 답사 여행은 한층 즐거워진다. 이제 사람이 빠진 유물만을 보는 답사는 시들하다.
이런 사람을 만나기 위한 답사여행에서 역사 공부는 필수적이다. 물론 공부없이도 누구나가 공통적으로 느낄 수 있는 인간의 면모나 느낌도 있지만 어느정도 해당지역의 역사를 공부하면 훨씬 더 여행의 즐거움은 커질 수 밖에 없다. 이제는 너무 많이 인용되어서 식상하지만 한 번 더 써먹자. '아는만큼 보인다'지 않는가?
나의 경우 국내는 여기저기 시간 날때마다 둘러다니지만 해외 여행은 몇년전에 중국 갔다온게 유일하다. 앞으로도 당분간은 불가능하리라. 결국 아쉬움은 늘 쌓이고 이런 저런 여행서들을 뒤적이면서 간접 체험으로 만족할 밖에.. 그래도 언젠가는 나도 가리라는 오기 내지는 희망으로 여행서를 읽는 건 늘 즐겁다. 이 책은 내가 가장 부러워하는 부류의 사람-해마다 해외 여행을 떠나는 사람의 여행기이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책의 저자가 세계사 교사라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남들이 잘 가지 않는곳(폐허 외에는 남아있는 게 별로 없어서), 하지만 세계사 교과서에서는 마르고 닳도록 얘기되는곳들이 많은 도판과 함께 실려있다는 것이다. 내가 지금 당장 여행을 떠난다 해도 가기 힘든 곳들이 많다. 또한 저자의 직업이 직업이다 보니 각 지역의 여행기와 그 지역의 역사가 상세하게 실려있다. 세계사 공부하는 고등학생들이 교과서 펼쳐놓고 같이 보면 참 좋겠다. 이 책을 굳이 분류하자면 여행서 중에서도 역사기행서라고 할 수 있을려나? 그래도 여행서이다 보니 딱딱한 역사이야기만이 아니라 여행 곳곳에서 만난 현재의 사람들과의 만남도 책의 재미를 살려준다. 여행을 가기전에 그곳의 역사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가장 간단하게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게 이 책이 아닐까싶다. 쉽고 평이하게 대략적인 지역의 역사를 유적, 유물들과 함께 친절하게 안내하고 있다. 여행에서 시대를 넘은 만남을 가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해 준다고나 할까? (단 아주 깊이있는 수준의 역사 이야기는 아니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수준정도 -하지만 요즘은 고등학교에서도 세계사를 배우는 학교가 많지 않아 이마저도 낮은 수준이라고 얘기하기는 힘들것 같다)
두번째로 이 책의 장점은 저자가 선택한 여행지 자체에 있다. 세계 4대문명과 그리스 로마 문명의 발생지들을 모두 훑고 있다.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더스, 황하, 그리고 그리스 로마 -실로 아메리카 지역을 제외하고 세계 문명의 발생지들을 모두 포괄하고 있는 여행서는 내가 알기로는 유일하지 싶다.
앞에 말한 두가지 만으로도 이 책을 읽을 가치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저자의 글솜씨가 그리 뛰어나지는 않다. 아주 성실하게 열심히 안내를 하고 있으나 독자를 확 끌어들일 정도의 입담이나 글솜씨를 보여주지 못한다는게 이 책의 한계다. 그리고 가끔 나오는 앞뒤없이 그냥 학생 기행문에서 흔히보는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본받아야 할 것같다"류의 감상들이 좀 거슬린다. 이건 저자의 필력의 문제일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 다음으로는 세계사 교사라면 나름대로의 사관같은걸 가지고 있을 텐데 그런게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지나치게 객관적이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는게 아닐까? 자신의 관점과 잣대로 그 지역의 역사를 재해석하는 모습이 없다. 그러다 보니 그의 역사 서술은 꼭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같다. 이관점 저관점 다 뭉린킹?늘어놓는...... 나는 객관적이란 말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히 역사에서는 아주 싫어한다. 객관적인 역사는 없다. 객관을 가장한 역사, 그것은 항상 지배층에게 봉사하는 역사였다. 그래서 내가 동의할 수 있든 없든간에 나는 자신의 입장이 분명한 책을 좋아하게 된다. 저자 역시 자신의 사관이나 입장이 없지는 않을텐데 책 속에 그걸 제대로 녹여내지 못한 건 정말 이 책의 치명적인 단점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