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은 무슨 옷을 입을까? ㅣ 베틀북 그림책 69
마거릿 초도스-어빈 글 그림, 민유리 옮김 / 베틀북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5살 예린이는 나름대로 참 멋쟁이이다. 여기서 중요한건 나름대로라는거다. 여자아이 키우는 엄마들은 다 알겠지만 아침에 어떤옷을 입을 것인지 정하는게 장난이 아니다.
예린이는 항상 자기가 입고갈 옷을 스스로 정한다. 그런데 이 옷이 항상 엄마맘에 드는 건 아니다. 그래도 어지간하면 예린이가 입고싶은대로 입게 해주지만 어떤 날은 정말 골때린다. 한여름에 겨울 망토를 입겠다거나 보자기를 둘러쓰고 가겠다거나... 이런 날은 그야마로 전쟁이다. 그래도 내가 질때가 대부분이다. 언젠가는 티셔츠와 바지 위에 저 돌때 입어서 작아진 한복치마를 (저고리는 작아서 못입고 치마만) 입고 어린이집에 간 적도 있다. 밤에 잘때 옷갈아입는 순간까지 벗지 않고 하루종일 그러고 다니면서 온갖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었다. 그래서 요즘은 아예 저녁에 미리 옷을 정해 꺼내놓고 잔다.
이 책은 그런 예린이의 지금 모습과 똑같을 것 같아 산 책이다. 자기와 똑같은 그림책속의 친구들을 보면 예린이가 참 즐거워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이다.
책의 내용은 주인공 여자아이 엘리가 아침에 부모님 형제들의 의견을 모두 물리치고 자신이 원하는 어색한 조합의 옷을 입는다는 것이다. 그리고는 모두 괴상한 옷차림을 한 친구들의 방문을 받고 즐거운 한 때를 보낸다는 것이다. 작가는 이 괴상한 옷차림을 멋지다고 표현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 작가가 괴상하다고 그렸을 옷차림들이 하나도 이상하지 않다는 것이다. 표지 그림에서 보이듯이 엘라의 옷차림도 치마밑에 바지를 입었지만 스타킹과 별로 달라보이지 않는다. 친구들의 옷차림 역시 너무나도 화사하고 잘차려입었다는 느낌이지 괴상한데 멋지다라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아마도 외국 그림책이다보니 우리나라의 미적 기준 이런거 하고는 코드가 맞지 않는게 아닐까 싶다.
그러다보니 예린이의 반응도 신통찮다. 한마디로 끝낸다. "재미없어" 몇번을 읽어줘도 마찬가지다. [장화 쓴 공주님]을 보여줬을 때 그 괴상망칙한 머리모양에 보여줬던 열광과는 전혀 딴판이다.
아이디어나 그림의 수준이나 모든 것이 맘에 들지만 결국 이 책의 문제는 문화적 코드의 다름이 아닐까 싶다. 차라리 판권을 사서 우리 나라 작가가 우리 나라 아이들을 등장시키고 진짜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는 이상하게 보이지만 아이들은 예쁘다고 느낄 수 있는 그런 그림으로 바꾸면 참 좋겠다. 예를 들면 예린이의 바지위에 짧은 한복치마를 입은 그런 모습말이다.
그런 책이라면 좀 더 우리 아이들이 공감하고 즐거워할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