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뛰노는 땅에 엎드려 입맞추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아이들이 뛰노는 땅에 엎드려 입 맞추다
김용택 지음, 김세현 그림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와 엄마의 일상을 다룬 웹툰을 보다가 어린 아이가 엄마 뱃속에서 있었던 일을 기억한다는 부분이 나와서 깜짝 놀란 적이 있다. 길게는 일곱 살까지 아이는 엄마 뱃속의 모습은 물론이고 들었던 것들까지 기억한다고 한다. 어디까지 믿을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가르쳐 준 적 없는 태명을 기억하는 아이의 모습은 그저 놀라울 뿐이었다. 어린 아이랑 있다 보면 아이가 가진 체력에도 놀라지만 아이의 행동에, 말에 놀라게 된다.

사람들은 살면서 어린 시절의 많은 것들을 잊어 간다. 어린 시절에 시간이 더디 갔던 것은 모든 것이 궁금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나도 지루한 것이 없어 이것도 저것도 궁금해하다보면 시간은 길기만 하다. 반면 어른이 된 이후에는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을 잃고 많은 것들을 덤덤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그런 마당이니 여름인가 싶으면 겨울인 것이 그리 놀랄 일은 아니다.

이 책 <아이들이 뛰노는 땅에 엎드려 입 맞추다>는 그런 보통의 어른들과 달리 아이의 마음을 유지하려고 애쓰는 시인의 마음을 담고 있다. 그런 그조차 어른이기에 아이들 틈에 있어도 닳고 있는 것을 막을 수 없지만 그 지나간 시간을 아쉬워하지 않는 것을 보면 넉넉한 그릇의 어른이 아이의 꿈을 꾸고 있는 셈이었다. 오랜 시간 초등학교 교사로 시인으로 살아온 저자의 에세이이자 시이며, 제자들의 시도 두루 담겨있는 글모음이라고 할 수 있다.

어머니의 마음이 넉넉함을 자랑스러워하고 다람쥐처럼 알밤을 주워 모으는 아이들을 귀엽게 생각하며 엄마 없는 아이를 애틋하게 바라보는 시인의 시선은 사람에 대한 삶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보여준다. 그가 보는 시선을 따라 중간고사를 망칠 것이 뻔하다며 난감해하는 아이의 시도 선생님을 보고 헤벌쭉 웃으면서 안기는 아이의 모습도 너나할 것 없이 사랑스럽다.

거기에 가시만 남은 생선처럼 앙상한 마음, 생각을 가지게 될 때가 있다는 문구는 생각거리를 남긴다. 생각거리에 잠기게 할 때가 있는가 하면 빡빡 밀어본 머리에 아이들이 너나할 것 없이 달려들어 만져보면서 즐거워하더라는 이야기에는 절로 웃음이 지어졌다. 어린 아이가 껌을 주지 않고 낼름 다 삼키는 모습을 보고 약이 올라 아이를 골리는 장면도 그러했다.

살면서 많은 순간 내가 어린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잊어간다. 그 덕분에 어린 아이들의 행동을 보고 더욱 감탄하게 되기도 하지만 많은 것을 궁금해 하는 힘을 잃었다는 것은 아쉬울 때가 많다. 책 속의 이야기처럼 이제 지금의 어린 아이들이 예전의 어린 아이들과 달리 등굣길에 달린 온갖 먹을거리들을 탐하지도 않고 선생님의 말에도 무서워하지 않고 멀뚱멀뚱 쳐다보는 얄미운 행동을 할 때도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넉넉한 시인의 눈으로 본 세상살이 나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