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망, 너무 사양해>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마망 너무 사양해 - 행복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꼬마 파리지앵의 마법 같은 한마디
이화열이 쓰고 현비와 함께 그리다 / 궁리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맘마미아>를 보다보면 내일 결혼할 딸의 발에 페디큐어를 발라주면서 엄마가 노래를 하는 장면이 있다. 어린 시절 가방을 매어주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자신을 떠난다니 서글픔과 대견함이 교차하는 듯 그런 노래가 나온다. 어린 시절 가장 듣기 싫었던 말 중에 하나는 내가 자랄수록 부모님이 늙어간다는 말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늙어가는 게 한탄스러울 뿐이지만 초등학교 시절에는 그렇게 어른이 되고 싶었고 얼른 자라서 마음껏 하고 싶은 걸 하며 살고 싶었다.

그런 내 모습을 발견하거나 키가 엄마의 머리 위로 웃자란 내가 거울에 비칠 때 엄마는 내가 큰 것이 자랑스러운 듯도 했고 서글픈 듯도 했다. 품안의 자식이라던가. 이제 키가 엄마의 머리 위를 넘어선 지는 오래라서 더 이상 내가 자랄수록 늙어가는 게 당연한 순리란 말은 하지 않으시지만 자식은 언젠가 부모를 떠나갈 '슬픈 사랑'이란 자조적 말씀을 흘리시곤 한다. 이 말도 그리 듣기 좋지는 않다.

모성이 만들어진 신화라는 것을 알아도 엄마는 완전한 존재이기를 바란다. 어린 시절도 지금도 가장 소중하게 여기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 책 <마망, 너무 사양해>에서는 완전하지 않은 엄마가 꼬마 철학자를 만나 웃음을 터뜨리고 산타에 대한 환상을 유지해주지 못해서 서글퍼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프랑스로 유학을 갔다고 덜컥 그 자리에 정착을 했고 단비, 현비라는 귀여운 남매를 둔 엄마의 이야기다.

엄마가 발톱을 깎아줄 때 간지럽지 않으니 여섯 살이 될 만하고 단 것 앞에서는 자제력도 사라지는 아들 현비와 자신에 대한 당당한 자신감으로 후에 자신 같은 딸을 가지고 싶다는 딸 단비의 이야기는 입가에 미소를 머금고 보게 된다. 아이들의 재롱에 시간가는 줄 모르기도 하지만 '왜'라는 질문에 도서관으로 달려야 하니 난처하기도 하고 자몽주스를 사놓지 않았다고 성을 내는 남편 앞에서 부글부글 화가 끊기도 한다.

그녀의 일상은 평범한 동시에 이색적이다. 파리의 주부라서 여기와는 모습이 좀 다른 것 같기도 하지만 아이를 키우고 사는 엄마 특유의 모습은 그리 다르지 않다. 아이에게 지능지수를 설명해주다가 곤란해 하기도 하고 바캉스에 갈 때마다 곤욕을 치르는 터에 자신만은 좀 떼어놓고 가라고 하소연하기도 하는 것이다. 월반한 아이에 대한 걱정을 달고 있기도 하지만 의젓하게 그것은 자신이 선택한 문제라고 답하는 말에 놀라기도 하고 그 와중에 이중문화에 대한 긍지를 품은 아이들에게 감탄하기도 한다.

생명의 탄생이 경이라면 그렇게 태어난 생명을 지키고 보호하며 키우는 것은 인내일 것이다. 사람의 아이를 키우는 데는 다른 동물에 비해서 너무 오랜 시간이 든다. 언젠가 그게 손해라고 느껴지지 않는지 궁금해서 엄마에게 묻자 이런 대답이 돌아왔다. 키우는 동안 충분히 보상받았다고 말이다. 엄마의 자긍심이며 즐거움이었다는 말, 그 말을 들은 순간에는 나도 이 책의 아이들처럼 '마망, 너무 사양해'라고 답하고 싶었다. 자신의 생각을 그대로 보여주지만 전혀 다른 모습으로 놀라게 하는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 마음 편하게 읽었다. 어린 시절의 나와 앞으로의 나를 떠올리게 된 건 그 와중에 얻은 덤이라고 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