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낮의 시선>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한낮의 시선
이승우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부모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자식은 없다. 없으면 없는 대로 있으면 있는 대로 부모와의 관계는 끊어지지 않는 끈이 된다. 아이들의 자연스러운 성장은 부모에게 배우고 그들을 넘어서기 위해 반항의 과정을 거치는 거라고 한다. 부모에게서 멀어지는 것 역시 하나의 자연스러운 수순인 것이다. 그런데 부모가 없다면 어떨까. 누구인지를 알 수 없으며 존재조차도 부정했다면 그건 과연 그 사람에게 마음의 짐이 되지 않을 수 있을까.

이름도 없는 존재가 오히려 마음의 짐이 된다니 기묘하기는 하지만 이 책 <한낮의 시선>의 주인공은 그 짐을 버거워한다. 아버지가 계시냐는 질문에 항시 없다고 답해왔고 그에 대해 의문도 품지 않았던 그는 그 상태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다. 본인이 이상을 느끼지도 부족함을 느끼지도 않았으니 그때는 문제가 없었다. 그런데 폐렴에 걸려 요양을 하게 되고 몸의 빈틈은 마음의 흔적을 벌어진 상처로 만들고 만다.

지인들과의 연락을 끊고 호젓한 요양 생활을 즐기고 있던 주인공이었지만 이웃집 노인의 방문을 거절하지 못해 그를 안으로 들인다. 문제는 참견쟁이 노인은 심리학 교수였고 그가 아버지가 없다고 답한 말을 파고든다. 돌아가신 것도 아니고 존재를 모르는 아버지를 없다고 한 것은 아버지를 죽인 것과 같다고 말한 것이다. 주인공은 불쾌감을 느끼고 노인을 보내지만 하나의 사건이 더해진다.

쾌적하게 산책을 하던 숲에서 알몸의 남자를 마주치게 된 것이다. 누구라도 놀랄 만한 일이었지만 폐렴으로 몸이 약해진 주인공은 그 사건으로 인해서 누군가의 시선을 의식하기 시작한다. 자신이 아는 누군가를 만나지 않을까 긴장하게 된 것이다. 그 누군가가 누군지도 의식하지 못했으나 기괴한 꿈과 꿈속에서 아버지의 묘비명을 보았으나 이름을 모른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흥분은 극에 달한다.

그는 그때부터 이웃집 노교수를 찾아가 상담을 받고 없는 아버지의 존재를 더듬기 시작한다. 없는 존재가 마음을 내리 누르기 시작했으니 그 짐을 벗어버리기 위해서는 그 존재를 확인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덕분에 그는 아픈 몸으로 여행에 나선다. 폐렴에 걸린 29살의 남자가 아버지의 존재를 찾아서 여행을 하게 된다는 기본 줄거리는 특별한 것이 없다가도 특별하게 느껴지기도 하는 소재였다. 29살은 젊다고도 젊지 않다고도 할 수 없는 나이처럼 느껴졌고 주인공은 시종일관 생각에 가득 차 있다.

개인적으로 생각이 가득 차 있는 소설은 일상의 시름을 덜어주기는커녕 더해주므로 그리 즐기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이 책의 생각들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달라붙어 책을 덮은 다음에도 떨어지지를 않았다. 부모라는 자리, 주인공이 겪게 된 일, 숲에서 만난 의문의 사람까지 많은 것들이 머릿속을 빙글빙글 돌았다. 작가는 이 소설을 쓸 때 한 문장씩 쓰고 싶었다고 했다. 그만큼 한 문장 한 문장에 생각이 담겨 있다. 누구나 자유로울 수도 끊을 수도 없는 부모와의 관계, 주인공은 과연 답을 얻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