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파라다이스>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굿바이 파라다이스
강지영 지음 / 씨네21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희망고문'이란 말이 있다. 자신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은 오히려 그 사람에게 쓸데없는 기대감을 심어주어 괴롭히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인간에게 남은 마지막 선물이라는 희망이 때로는 사람을 고통스럽게 한다. 작은 친절에서 혹시 모를 호감을 읽으려 노력하고 실낱같은 가능성에 매달려 살 길을 모색한다. 그렇다고 희망의 끈을 놓으면 체념이라는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가 절망이라는 구덩이에 빠져버리니 그 희망이라는 것을 손에서 놓기는 어렵다.

이 책 <굿바이 파라다이스>에서는 다양한 절망의 상황에 직면한 사람들이 등장한다. 인생이 본디 그런 것이 아닐 텐데도 상상력이란 이름으로 극대화되어 부풀려진 끔찍하거나 우울한 이야기들이 열편의 단편으로 쪼개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 각 이야기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자신이 가진 상황을 때로는 권태롭게 때로는 우울하게 받아들인다. 그런 그들의 등을 절망이라는 구덩이로 천천히 밀어 넣는 솜씨가 예사롭지 않은 터라 불안해하면서도 그들이 실낱같은 희망을 잡기를 바라는 마음에 계속 보게 되었다.

이혼한 아내의 숨겨진 비밀 <그녀의 거짓말>, 열악한 환경에서 벗어나려 아등바등하는 가난한 사람들 <벌집에는 벌이 살지 않는다>, 의미 없는 삶을 살아가다 수상한 제안을 받아들이고 만 청년 <안녕, 나디아>, 마지막 반전이 놀랍기보다 당혹스러웠던 <시선>, 잊고 있었던 친구의 절망이 판타지적 색채를 갖고 되살아나는 <점>, 샴쌍둥이 형제의 비밀 <하나의 심장>, 수상한 아르바이트 <사향나무 로맨스>, 죽음 그 이후의 비밀을 말하는 <굿바이 파라다이스>, 역겹기까지 한 클럽 <캣 오 나인 테일즈>, 새로운 좀비 이야기 <Happy deathday to you>까지 어느 것 하나 기존의 시각으로 '밝다'고 말할 만한 것은 없다.

성적 환상을 섞어낸 <사향나무 로맨스>에서 주인공이 마주하게 되는 것은 기괴한 괴물이고 그나마 밝은 <벌집에는 벌이 살지 않는다>에서는 방세를 내기 어려워 몸을 파는 사람들까지 나온다. 벌집에 사는 주민들이 자신이 가진 상황을 벗어나고자 평소 쳐다도 안 보던 노인의 수양딸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우습기보다 서글프다. 이야기 속에서도 수양딸이 되기 위한 선발 대회에 참여한 사람이 한숨을 쉬면서 자신이 뭘 하고 있는가를 탄식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 등장인물들의 감정에 점차 주파수를 맞추다보면 <안녕, 나디아>나 <그녀의 거짓말> 같은 끔찍한 상황에 이입하게 되니 심장 박동이 대폭 올라가는 느낌이었다. 샴쌍둥이로 태어났지만 나름대로 적응하고 사는 것 같았던 <하나의 심장>에서도 형제가 품었던 어두운 그림자가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 할 말을 잃게 되었다. 언젠가 상상하는 모든 것은 현실이 될 수 있고 현실이 허구보다는 잔혹한 법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하지만 이 책에 한해서는 걸었던 희망이 매번 나락으로 떨어져 내리는 것을 봐야 하는 터라 현실보다 잔혹해 보이는 허구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더 마음 아팠던 것은 그 와중에 희망의 싹이 눈에 들어오니 체념할 수가 없었다는 점이었다. 지옥에 간 도둑이 했던 한때의 선행으로 부처님이 거미줄을 내려주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 이야기 속에서 부처님이 내려준 거미줄은 마음만 착하게 먹으면 어떤 것보다 튼튼한 것이었는지 모르지만 이 잔혹한 허구의 세계 속의 거미줄은 실제 거미줄에 불과하니 어찌하면 좋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