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차이를 만드는 독서법, 본깨적
박상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모처럼 효과적인 독서에 대한 좋은 책을 하나 만나게 되었습니다. 읽기보다 적용이 중요하네요.

"우리의 행동은 우리가 하는 의사 결정에 의한 것이지 결코 여건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


본깨적 : (본)것, (깨)달은것, (적)용할것.


본깨적 책읽기란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본것), 그것을 나의 언어로 깨닫고(깨달은것), 내삶에 적용하는(적용할것) 책읽기를 말합니다.

제목이 이상해서 기대를 크게 하지 않았는데 의외로 유익한 내용이 많았습니다.


책을 많이 읽는 것보다 하나의 책이라도 제대로 읽고 실제의 삶에 적용하는 방법을 말하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저자의 실제적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사례와 자세한 설명들이 적용해보고자 하는 마음을 갖게 합니다.


책을 읽을 때 자신의 관점과 생각으로 읽는 것보다는 저자의 입장에서 무엇을 말하려 하는지를 생각하며 읽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책을 읽으며 마음을 움직이게 한 동기와 실제의 삶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아이디어와 유용한 지식을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읽는 자세가 달라집니다.


작은것이라고 깨달은 것을 구체화하여 실제의 삶에 적용하는 것이 본깨적의 완성이라는 내용은 충분히 공감이 되는 내용입니다.

그냥 책읽는 것이 아니라 삶에 변화를 위해 한가지라도 실제의 삶에 적용해야 하는 것이야 말로 독서를 하는 참된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1124 재독법이란 1일, 1주, 2주, 4주 단위로 반복 읽기를 하여 오래 기억을 하게 하는 독서법입니다.


책 읽기의 임계점은 삶의 경험과 변화에 대한 간절함에 의해 결정됩니다.

실행을 방해하는 가장 큰 원인은 '아는 것'과 '실행'을 동일시 하는 것입니다.



책은 짧게는 몇 년, 길게는 수십 년 동안 저자가 쌓은 노하우가 집적된 결정체입니다.

피터 드러커는 3년마다 주제를 바꿔가며 책을 읽어 35개 분야의 전문가가 되었습니다.


평생 독서 계획표를 작성하고나서 년간 독서 계획, 월간 독서 계획, 주간 독서 계획, 일간 독서 계획을 세웁니다.

평생 계획은 10년 단위로 작성하고 년간 독서는 1년에 100권, 월간계획은 한달에 10권, 주간계획은 읽을 책을 선정합니다.

그리고 일간 계획은 하루중에 어느 시간에 독서를 할지 오전 1시간 오후 2시간과 같이 읽을 시간을 정하는 것입니다.


> 한권을 읽더라도 실제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는 인생의 차이를 만드는 독서를 하자.


http://blog.naver.com/agapeuni/2204838313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