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세 코딩 - 행복한 흰머리 개발자로 살아가고픈 대한민국 모든 개발자를 위해
신현묵 지음 / 프리렉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무에서 다양한 경험을 해본 저자의 인생 스토리여서 간접적인 경험으로 여러가지로 참고는 되었지만
책제목인 "백세코딩"에서 기대할 수 있는 할아버지가 되기까지 코딩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찾지는 못했다.


행복하게 프로그램 하기 위한 여러가지 조언들이나 

실패를 하지 않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개인적인 경험게 기초한 내용을 이루고 있다.


백세코딩을 위한 방법이 직접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것이 많이 아쉬웠다.

성공적인 케이스에 대한 방법이나 가이드가 실렸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Part 1 개발자로 산다는 것

1 내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된 이유는?

     우연. 필연. 성공스토리. 진짜 공부

2 취미가 본업이 된다는 것

     재미. 행복. 잉여. 돈.

3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성공이란

     돈?. 문화. 삶의 변화. 암묵지->형식지.

4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된다는 것

     결국 사람. 지식+기술=가치. 5% 성공. 95% 무한반복. 프로


Part 2 개발환경의 변화와 진화

1 중소기업 그리고 소프트웨어

     대한민국 현주소. 천재들의 반란.

2 소프트웨어 공학은 현실에서 왜 사용되지 않는가?

     현실은 다름. 품질이 정말 필요한가?

3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직장생활

     40대 이후의 삶을 고민. 유틸리티성 프로젝트

4 개발자. 

     한국식 기업문화. 지식. 경험. 융합. 개인브랜드


Part 3 개발, 20년의 갈등

1 소프트웨어 하우스를 만들고 벤처를 시작한 이야기

     funder 성공하면 '설립자' 실패하면 '미친놈'. 사업계획서, 투자, 창업

2 이직을 꿈꾸다

     평생직장, 10년간 -> 최고, 전문가. 실제 능력

3 소프트웨어 개발자 이직하다.

    자기만의 장점, 전문성, 희소성, 브랜드를 갖추어라.

4 40대를 넘은 개발자는 이런 생활을 한다

    재능기부. 멘토. 강연. 실행목표. 명확. 인맥. 리더

5 기본이 가장 어렵다

    사람. 신뢰. 


Part 4 혁신을 부르는 개발

1 소프트웨어 개발 하지 마라

2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대한 책임

3 DevOps와 SW Visualization 실현

4 개발업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

5 소프트웨어 아키텍트를 뛰어넘어 데이터사이언티스트를 꿈꾸다.

6 코드리뷰는 참 어렵다 

7 소프트웨어 개발의 기본


> 주어진 삶속에서 언제까지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 개인적으로는 백세코딩은 아니여도 50세 코딩은 가능해 보인다.


http://blog.naver.com/agapeuni/2203196820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