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의 역사 - 인간의 숨겨진 욕망과 권력 관계를 숨김없이 보여주는 데이터에 관한 진실!
크리스 위긴스.매튜 L. 존스 지음, 노태복 옮김 / 씨마스21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이터의 역사"는 데이터의 본질과 그것이 인간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데이터를 단순히 과학적 도구나 기술로 여기는 대신, 그것이 권력, 진리, 그리고 사회적 변화와 밀접하게 얽혀 있는 존재로 소개한다. 역사적 관점에서 데이터 기술의 발전사를 풀어내며, 데이터가 현대 사회의 지식과 권력 구조를 어떻게 형성하였는지 설명한다.


데이터의 기원에서 시작해, 인구 조사와 통계학, 우생학과 같은 초기 데이터 활용 방식을 살펴보며, 이를 현대의 알고리즘과 인공지능 기술로 연결한다. 데이터가 어떻게 기술적으로 발전했는지를 설명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가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의미를 지니는지를 설명하며, 데이터와 권력이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명확히 드러낸다. 현대의 거대 기술 기업과 국가 기관이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데이터 독점과 알고리즘의 공정성 문제로 이어진다.


18세기 유럽의 신생국가들이 자원과 인구를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화했던 초기 사례부터, 제2차 세계대전 중 암호 해독을 위해 데이터 분석이 활용된 이야기에 이르기까지, 데이터는 항상 지배와 통제의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데이터가 단순한 정보 집합체를 넘어, 스스로 학습하고 발전하며 인간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임을 입증했다. 데이터가 단순한 정보의 집합체가 아니라, 권력의 도구로 사용된다는 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 데이터를 소유하고 해석하며 활용하는 주체에 따라 사회의 힘의 균형이 바뀌고, 이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책에서는 데이터가 우리의 소비 습관과 생활 방식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인터넷에서 클릭한 링크 하나, 광고 하나가 데이터 흐름의 일부로 작용하며, 우리가 소비자인 동시에 데이터의 일부가 된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데이터가 단순한 기술적 자원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적 선택과 삶의 기회를 결정짓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하는 대목은 인상적이다. 데이터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추천한다.


#데이터 #데이터의역사 #데이터분석 #데이터기술 #데이터과학 #인공지능 #AI #빅데이터 #알고리즘 #통계학 #역사 #사회변화 #권력과진리 #데이터독점 #프라이버시 #윤리적문제 #암호해독 #인구조사 #데이터활용 #기술발전 #사회구조 #소셜미디어 #데이터윤리 #데이터정치 #데이터경제 #데이터미래 #데이터학습 #디지털사회 #데이터문화 #데이터추천 #데이터책


출판사에서 도서 협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