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성 - 이성 개념의 변천사
헤르베르트 슈네델바흐 지음, 나종석 옮김 / 북캠퍼스 / 2024년 10월
평점 :

'이성'이라는 한 단어를 두고 시대를 통해 개념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보여준다. 저자는 이성이 시대마다 다르게 이해되고 해석되어 왔다는 사실을 한층 깊이 있는 시각으로 풀어낸다. 각 시대의 철학자들이 이성을 바라본 다양한 시각을 통해,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이성 개념의 고정관념을 깨고, 이를 새롭게 바라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 이성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차분히 설명하며, 철학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성이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를 세세히 탐구한다.
이성이 그 시대의 종교, 정치, 학문 등과 부딪히며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주면서, 이 개념이 시대와 상황에 따라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여졌음을 일깨워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성이 단지 고정된 개념이 아니라 시대와 문화 속에서 끊임없이 진화해 왔음을 깨닫게 한다. 이성은 여러 철학자들에 의해 다듬어지면서 일종의 갈등과 균형 속에서 성장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로고스'와 '뮈토스'라는 개념이 서로 충돌하며 이성에 대한 초석이 마련되었다. 플라톤은 이성을 기반으로 한 형이상학을 정립하려 했고, 이후 시대를 거치며 철학자들은 그때그때의 필요와 철학적 관점에 맞게 이성의 정의를 새롭게 다듬었다.
책 후반부에서 이성이 근대에 이르러 형이상학의 틀을 벗어나면서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도 다룬다. 칸트의 '비판 이성' 개념을 소개하며, 칸트가 형이상학적 이성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고자 했는지 설명한다. 칸트의 철학이 이성을 비판하고 재정립하는 과정을 거쳐 철학의 전통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시대마다 각기 다른 배경과 환경 속에서 이성이 어떻게 정의되고 발전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인간이 다른 개체와 구분되는 지점 중 하나가 '이성적 사고'라면, 이를 통해 우리는 과연 이성적 사고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스스로 이성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게 유도한다.
#이성 #철학 #사고 #이성적사고 #고대철학 #플라톤 #칸트 #형이상학 #비판철학 #진화하는이성 #고정관념타파 #인문학 #철학사 #논리적사고 #로고스 #뮈토스 #사고의변화 #인간과이성 #시대별이성 #문화와철학 #철학적탐구 #이성의역사 #철학적환경 #철학적사유 #철학서적 #철학책추천 #사고의확장 #이성의의미 #고대에서현대까지 #이성탐구 #이성의변화
출판사에서 도서 협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