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
아브람 알퍼트 지음, 조민호 옮김 / 안타레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는 철학적 접근을 통해 우리가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고찰을 담고 있다. '위대함'이 아닌 '충분함'을 추구하는 삶이 더 나은 삶이라고 말한다. ‘위대함’이란 사회가 강요하는 기준이며, 이는 불합리와 불평등의 원인이 된다. 위대함이 아닌 충분한 삶을 통해 모두의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


위대함을 강요하는 사회 체계가 개인의 삶을 왜곡하고, 개인이 위대해지지 않으면 타인의 위대함에 의지해야 한다는 사고방식을 만든다고 말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능력주의와 시장주의의 낙수 효과라는 허상을 만들어내며, 결국에는 불평등을 강화한다. 충분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탁월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서로의 노력과 기여를 통해 충분한 삶을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 충분한 삶이란 평준화된 삶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재능과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세상을 의미한다.


사회가 우리에게 강요하는 탁월함은 우리의 가능성을 제한하고, 불안과 불만족을 초래한다. 충분함의 이데올로기가 우리 자신, 우리 관계, 그리고 우리 세계에 이익이 된다. 불완전함을 받아들이고, 서로의 충분함을 존중해야 한다. 서로에게 충분한 존재임을 인정하고, 서로를 존중하며 돕는 관계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개인적인 욕망의 충족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개인적인 욕망을 넘어서 사회적인 복지와 조화를 추구해야 하며, 이는 개인적인 만족감과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을 포함한다. 


이 책은 위대함이 아닌 충분함을 추구하는 삶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물질적, 정신적 삶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결속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모두가 충분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의 좋은 마음이 필요하다. 소수의 위대한 개인에게만 자원을 집중하는 능력주의와 낙수 효과는 오히려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모든 삶이 충분해야 한다는 철학적 메시지를 통해 우리는 위대함의 압박에서 벗어나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충분하면 된다. 모두가 충분히 행복하면, 이 세상은 평화롭고 정의로우며,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에서 도서 협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