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관리자를 위한 프로젝트 관리 이야기 Blog2Book 시리즈 11
신진현 지음 / 한빛미디어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2015년에 출간된 서적이라 그시대를 반영하고 있어 현재와 상황이 많이 다르다. 하지만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작업의 기본은 참고할만하여 읽어보았다. 책의 내용을 읽고 있으면 지금의 모습이 떠오르기보다는 10년 전에 일했던 때를 자꾸 떠오르게 된다. 이 책은 프로젝트 관리자가 되었지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는 사람을 위해 집필되었다.

당시 개발자는 최신 기술과 아이디어를 접목하는 전문가로 소개되었다. 개발자가 경력을 쌓고 실력이 갖춰지고 성장하게 되면 설계자나 관리자로 역할을 변경한다. 회사에서도 프로젝트를 진행하려면 그 업무를 수행할 사람이 필요해지게 되는데 어느 정도 자격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는 개발자를 그 역할을 부여한다.


프로젝트 진행 단계는 계획, 분석, 설계, 개발, 테스트, 운영으로 나눌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분석, 설계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밍을 통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말한다. 요구사항이 변경되고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에 쉽게 변경되어 소프트웨어 개발을 어렵데 만든다. 프로그램 설계가 동결되어 개발을 마치는 데까지 변경이 없다면 개발은 어렵지 않다. 


관리자가 해야 하는 일은 사람들에게 일을 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일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프로젝트는 어떤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정해진 기간과 정해진 자원으로 진행하는 일이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사람 관리, 위험 관리, 의사소통 등을 관리해야 한다.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업무의 범위를 관리하여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일을 수행한다. 개발 방법론에 너무 치우치지 말고 산출물에 너무 집중하지 말아야 한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많은 것을 관리하지만 적어도 사람, 위험, 의사소통은 잘 관리해야 한다. 개발자가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사람을 관리해야 하고 팀원을 잘 관리해 팀워크를 유지해야 한다. 위험이 발생하기 이전에 문제가 발생할 만한 이슈를 살피고 관리해야 한다. 고객의 입장에서 비즈니스를 이해하여 눈높이를 맞추어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