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에 관하여 팀 켈러의 인생 베이직
팀 켈러 지음, 윤종석 옮김 / 두란노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팀 켈러의 인생 시리즈는 "태어남에 관하여", "결혼에 관하여", "죽음에 관하여"가 있다. 이번에 읽은 책은 "죽음에 관하여"라는 책이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사람은 죽음에 대해서 여러 번 생각한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고 뜻깊은 사건은 탄생과 결혼과 죽음이다. 이 세상에 태어난 사람은 누구나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죽음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하는지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 


죽음은 이 세상 삶에 대한 마침표이고 사랑하는 이들과의 이별과 단절을 가져온다. 이전 세대에서는 가족이나 이웃의 죽음을 삶에서 지켜볼 수 있었는데 의학의 발달과 호스피스센터와 같은 기관으로 인해 죽음을 지켜볼 수 있는 기회가 사라졌다. 하나의 생명이 태어나는 순간은 모두가 기뻐하고 환영하는 시간이라 우리의 생활공간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아이의 출생만큼 한 사람에게 중요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죽음은 그리 환영받지 못하는 사건이라 우리의 생활과 조금 멀리 떨어져 있다.


한 번 태어나면 두 번 죽고

두 번 태어나면 한 번 죽는다.


머리로는 언젠가는 닥쳐올 죽음이라는 것을 알지만 속으로는 그 사실을 억누르거나 회피하며 마치 영원을 사는 것처럼 살아간다. 죽음이라는 것이 우리 문화에서 금단의 주제가 된 것처럼 보인다. 죽음에 대해 비현실적으로 대하고 죽음에 대한 준비조차 고려하지 않는다. 삶의 의미는 물질적인 세계에 갇혀 현세적인 행복이나 기쁨을 추구한다. 그러다가 갑자기 죽음의 문턱 앞에 서게 되면 존재의 소멸로 인해 불안과 두려움으로 무력해진다. 그래서 죽음을 받아들이고 준비하기 보다 부정하고 피하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죽음 자체가 두려운 게 아니라 죽음이 끝이 아니까 봐 두려워한다. 거리낌 없이 자유롭게 자아를 실행하며 자신의 삶에 대한 주권을 다스려 왔는데 그것이 죽음 앞에서 보잘 것 없게 여겨지고 무의미하게 되면서 자신감을 잃게 된다. 죽음에 관한 긍정적인 효과는 우리의 삶을 흔들어 깨워 이생이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해 주는 것이다. 좀 더 세련된 현대 과학의 관점에서는 죽음을 그저 생명 순환의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부로 표현한다.


인간에게는 마음속에 본연의 소망이 있다. 나무나 풀 그리고 동물처럼 그저 순환되는 존재가 아니라 영원을 바라는 마음이 주어졌다. 파도에 휩쓸리는 모래처럼 덧없고 무의미한 존재가 아니기를 바란다. 우리의 마음은 무엇보다 영원을 간절하게 갈망한다. 먼지가 되어 우주의 일부분이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장례식에서는 우리는 죽음을 생각할 수 있다. 고인과 유가족을 위로하면서 동시에 우리는 삶의 마지막을 깊이 생각해 보게 된다. 언젠가는 사람들이 우리의 장례식에 참석한다. 장례식이 끝나면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 죽음에 대한 생각을 최대한 멀리한다. 가까운 사람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경험했다면 그에 대한 충격으로 오랫동안 비현실감이 머물게 된다. 심지어 자신이 남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그럴 때는 사람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갖고 날마다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을 하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