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IT 트렌드 따라잡기 - 보통신기술 ICT융합, 0과 1 알고리즘을 더블클릭하다
오컴 외 지음 / 살림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펼치면 산업혁명에 관한 설명으로 시작한다.  다른 책의 진부한 설명과는 다르다. 여러 가지 관점과 사회적 현상을 말해주고 있어 기존에 알고 있던 산업혁명에 대한 정보를 보다 새롭고 자세히 알게 되었다. 산업혁명의 과정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사람들의 심리적인 장벽을 깨며 효율적인 방향으로 변화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과 비교해 파격적인 변화여서 급격히 광범위하게 변하였다.


3차 산업혁명은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을 기반으로 하여 공간에 존재하는 시스템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공간적 거리를 없애고 시간적인 역영으로 옮겨졌다. 인간이 발견한 기술들로 새로운 세계와 경제 시스템의 구조마저 바꾸어 놓았다. 현재 진행중인 4차 산업혁명은 다양한 기술들의 융합으로 시간적인 제약마저 극복하려고 한다.


이전에는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고된 일과 노동을 두려워하였으나 이제는 자동화와 정보화로 인해 일자리를 뺏기는 것과 노동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있다. 사람의 고유 영역으로 여겨졌던 창작과 예술 분야까지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으려 하고 있다. 판단과 인식의 영역까지 가능하다면 인간의 고유 권한으로 생각하는 계약권과 재산권 그리고 인격권까지 침범당할 수 있다.


인공지능은 적응능력과 학습능력이 있으며 감정과는 독립적이고 새로운 상황의 분석을 위해 선행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지능을 말한다. 무수히 많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프로그램과 알고리즘으로 공정하고 올바른 판단을 기대하지만  학습과 라벨링 과정에서 주관적인 편견이 반영된다. 복잡한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예외적 사건에 대해서도 무방비한 영역이 생기게 된다. 잘못된 모델로 인해 사회적인 희생과 경제적인 손실을 초해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