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4
헤르만 헤세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200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학창시절에 데미안 서적을 접하고 초반부를 읽다가 글의 표현이 어려워 더 이상 읽지를 못하였고 대학교 때 다시 한번 읽다가 내용이 잘 공감이 안되어서 독서를 중도에 포기하였습니다. 그러다가 독서에 마음을 담고 전자책으로 구매하여 틈틈이 보려고 했는데 그마저도 실패하였습니다. 다시 마음을 가다듬고 종이로 된 데미안 서적을 구매하여 하나의 챕터씩 일주일 동안 드디어 끝까지 읽게 되었습니다. 휴우~~

너무나 유명한 소설이기에 감상평을 남기기 보다 책 속에서 유명한 문구나 다시 생각해 보는 문장들을 정리해보았다. 첫 페이지부터 마음에 부딪히는 글로 시작을 한다.

"내 속에서 솟아 나오려는 것, 바로 그것을 나는 살아보려고 했다. 왜 그것이 그토록 어려웠을까."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을 두려워하는 것은 자신에게 영향력을 주기 때문일까? 아님 그가 소유하고 있는 권세에 대하여 지배할 수 있는 권한을 허락해서 일까? 타인도 나와 같은 사람인데 사람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누군가를 두려워한다면, 그건 그 누군가에게 자기 자신을 지배할 힘을 내주었다는 것에서 비롯하는 거야.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마음 중심에 사랑하는 대상을 가장 소중히 여기며 숭배하는 것에 가깝다. 모든 관심과 생각이 사랑하는 대상에게 집중된다. 올바른 사랑에 빠지게 되면 마음의 시선이 변하게 되어 어제와 똑같은 세상이 다르게 보이고 느껴진다.

이제 나는 무엇인가를 사랑하고 숭배해야 했다. 다시 하나의 이상을 가진 것이다. 삶은 다시 예감과 비밀에 찬 영롱한 여명이었다.

나에게 중요한 하루가 밝았다고 느꼈고 나를 에워싼 세계가 변화했음을, 나와 깊은 관련을 갖고서 장엄하게 기다리고 있음을 보았고 느꼈다.

세상과 현실에서 우리가 접하는 모든 것들은 우리의 마음에서 해석되어 인지된 것을 바탕으로 한다. 모두가 저마다의 주관적인 현실을 느끼며 살아간다. 눈에 보이는 대상도 결국 눈을 통해 빛으로 전달된 영상을 뇌가 해석하고 인지한 것들이다.

우리가 보는 사물들은 우리들 마음속에 있는 것과 똑같은 사물이지. 우리가 우리들 마음속에 가지고 있지 않은 현실이란 없어.

아래의 문구는 이책에서 여려번 나오는 문장중에 하나이다. 그런데 신의 이르응;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