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가지 키워드로 배우는 Oracle DataBase
야마다 세이치 외 지음 / 영진.com(영진닷컴) / 2002년 5월
평점 :
절판


책장 구석에 놓여져 있는 책인데 리마인드 하는 마음에서 한 번 읽어 보았습니다. 각각의 키워드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있어서 단편적인 지식을 습득하기에는 효과적인 서적입니다. 기본적인 내용은 지금도 공유하고는 있지만 너무 시간이 지난 책이라 굳이 찾아서 볼 필요는 없어보이네요. ^^;


기본적인 내용이라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 테이블(Table)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객체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입니다. 가로를 행(로우, Row) 세로를 열(컬럼, Column)이라고 합니다.
  • 인덱스(Index)란 색인이라고도 하는데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고속으로 접근하기 위한 장치를 말합니다.
  • 뷰(View)란 한 개 이상의 테이블 또는 뷰를 기준으로 작성된 가상테이블을 말합니다. 
  • 동의어(Synonym)은 테이블과 뷰, 시퀀스, 스토어드 프로시저 등에 달 수 있는 다른 이름입니다.
  • 시퀀스(Sequence)란 연속된 일련의 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오브젝트입니다.
  • 스토어드 프로시저(Stored Procedure)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 트리거(Trigger)란 테이블 데이터를 수정했을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 스키마 오브젝트(Schema Object)란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오브첵트로 대표적으로 테이블과 색인, 뷰, 시퀀스 등을 가리킵니다.
  • 행 레벨 락(Row Level Lock)은 오라클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로 이 기능에 의해 최대의 동시 실행을 실현합니다.
  • 리드 컨시스턴시(Read Consistency)란 사용자가 질의를 시작한 시점에서 읽은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능입니다.
  • 트랜젝션(Transaction)이란 밀접히 관련되어 분리할 수 없는 한 개 이상의 작업의 단위처리를 말합니다. 
  • 세이브 포인트(Save Point)란 트랜잭션 도중에 정의하는 중간 지점을 의미합니다.
  • 데드락(Dead Lock)이란 복수 트랜잭션 간에 각각 상대방의 락이 해제되기를 기다리기 때문에 영원히 대기 상태가 되는 현상입니다.
  • 정합성 제약(Integrity Constraints) : NOT NULL 제약, UNIQUE 제약, Primary Key 제약, Check 제약, Referential 제약
  • ROWID는 각 해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입니다.
  • NLS(National Language Support)란 다국어 지원이라는 의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