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결박을 풀다 -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끝까지 읽지 않은 책 고전 결박을 풀다 1
강신장 지음 / 모네상스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부터 끝까지 잃기 힘들고 어려운 고전을 주제로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게 제작한 영상 500편 중에서 30편을 골라서 재정리한 서적입니다. 선명한 그림과 함께 간단히 요약한 글을 읽는 것은 고전을 읽기 전에 미리 보는 예고편을 보는 것으로 생각하면 좋겠네요. 이 책을 보고 나면 읽을거리가 더욱 많아지게 됩니다.


제1부 문학


1장/ 인생이라는 바다 헤쳐가기

1. 노인과 바다 _ 20세기 미국문학사에서 가장 유명한 소설 (어니스트 헤밍웨이 : 1899-1961, 미국)

2. 그리스인 조르바 _ 자유로운 영혼, 디오니소스적 인간의 전형 (니코스 카잔차키스 : 1883-1957, 그리스)

3. 이반 일리치의 죽음 _ 세계문학에서 손꼽히는 ‘메멘토 모리’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 1828-1910, 러시아)

4. 여자의 일생 _ “<레미제라블> 이후 최고의 프랑스 소설”-톨스토이 (기 드 모파상 : 1850-1893, 프랑스)


2장/ 내 안의 또 다른 나, 양면성의 인간학

5. 죄와 벌 _ 19세기 러시아문학을 세계문학 반열에 올려놓은 소설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 : 1821-1881, 러시아)

6. 파우스트 _ 대문호 괴테가 60년에 걸쳐 완성한 독일문학의 정전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1749-1832, 독일)

7. 지킬 박사와 하이드 _ 인간 내면의 양면성을 탁월하게 그려낸 고전명작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 1850-1894, 영국)

8. 어둠의 심연 _ 인간의 어두운 본성과 문명에 대한 통찰이 담긴 문제작 (조지프 콘래드 : 1857-1924, 영국)


3장/ 부조리한 세상에서 실존을 외치다

9. 이방인 _ “이 책이 나온 것은 건전지의 발명과 맞먹는 사건”-롤랑 바르트 (알베르 카뮈 : 1913-1960, 프랑스)

10. 시시포스의 신화 _ “나는 반항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알베르 카뮈 : 1913-1960, 프랑스)

11. 페스트 _ 20세기 프랑스문학이 남긴 기념비적 작품 (알베르 카뮈 : 1913-1960, 프랑스)



4장/ 사랑에 웃고 정념에 울다

12. 젊은 베르터의 슬픔 _ 낭만과 순수의 시대를 연 질풍노도의 신호탄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1749-1832, 독일)

13. 오만과 편견 _ 영국인들이 셰익스피어 다음으로 가장 사랑하는 작가, 제인 오스틴의 대표작 (제인 오스틴 : 1775-1817, 영국)

14. 백야 _ 짧지만 강렬한 사랑, 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중 가장 서정적인 소설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 : 1821-1881, 러시아)

15. 새로운 인생 _ <신곡> 읽기의 시작! 청년 단테가 첫사랑 베아트리체를 노래하다 (단테 알리기에리 : 1265-1321, 이탈리아 피렌체)


5장/ 그리스 비극, 인간에 대한 최초의 탐구

16. 오이디푸스 왕 _ “가장 완벽한 비극의 전범(典範)”-아리스토텔레스 (소포클래스 : BC 496-BC406, 그리스)

17. 안티고네 _ “안티고네는 지상에 존재한 가장 고결한 인물이다.”-헤겔 (소포클래스 : BC 496-BC406, 그리스)

18. 결박당한 프로메테우스 _ 불의와 억압에 무릎 꿇지 않은 저항정신의 상징 (아이스킬로스 : BC 525-BC456, 그리스)



제2부 사상·교양

6장/ ‘역사’에서 미래를 만나다


19. 역사 _ ‘역사의 아버지’ 헤로도토스가 쓴 인류 최초의 역사서 (헤로토토스 : BC484-BC425, 그리스)

20. 사기(史記) _ 동양 역사서의 뿌리, 인간경영학의 보고(사마천 : BC145-BC86, 중국)

21. 로마제국 쇠망사 _ “제국은 전성기 때 멸망하기 시작한다.”-1400년 로마의 흥망에 관한 탁월한 보고서 (에드워드 기번 : 1737-1794, 영국)


7장/ 머스트 리드 ‘인문교양’

22. 월든 _ 물질과 문명의 피로사회에 권하는 ‘야성의 강장제’ (헨리 데이비드 소로 : 1817-1862, 미국)

23. 인간 불평등 기원론 _ 프랑스 대혁명의 사상적 기반이 된 책 (장 자크 루소 : 1712-1778. 프랑스)

24. 꿈의 해석 _ 인류에게 ‘무의식’의 문을 열어준 20세기 최고의 문제작 (지그문트 프로이트 : 1856-1939, 오스트리아)


8장/ 행복한 공동체 만들기, ‘정치·경제·사회’ 

25. 군주론 _ 근대 정치학의 초석(礎石)이 된 책 (니콜로 마키아벨리 : 1469-1527, 이탈리아)

26. 범죄와 형벌 _ 전근대적 형벌체계와 맞서 싸운 18세기 이성의 상징 (체사레 베카리아 : 1738-1794, 이탈리아)

27. 목민심서 _ 다산 정약용의 대표역작! 호찌민도 가슴에 품고 다닌 최고의 정치지침서 (다산 정약용 : 1762-1836, 한국)


9장/ ‘철학’, 멋진 인생을 가꾸는 힘

28. 정신현상학 _ 세계 철학사상 가장 난해한 동시에 가장 위대한 책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1770-1831, 독일)

29.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_ “나는 이 책에서 유배지와 안식처, 지옥과 천국을 보았다.”-니체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 1788-1860, 독일)

30.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_ 이성의 한계를 극복하는 ‘사랑’과 ‘박애’ (앙리 베르그송 : 1859-1941, 프랑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