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을 막는 제방』
마르그리트 뒤라스는 이번 책을 통해서 처음 만나게 된 작가다. '연인'이라는 작품은 왕가위 주연의 영화로 알고 있었는데 뒤라스의 책이 원작이었다는 건 이제서야 알게 된 사실이다. 베트남 지단에서 태어난 마르그리트 도나디외. 아버지를 여의고 프랑스어 교사인 어머니를 따라 베트남 곳곳으로 이사를 다니며 어린 시절은 보냈다고 한다. 고등학교를 마치고 프랑스로 영구 귀국해 대학을 졸업한 후 식민지청에서 일하다 퇴직, 플롱 출판사에서 '뒤라스'라는 필명으로 첫 소설 '철면피들'을 출간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고.. <태평양을 막는 제방>이 자전적 소설이라고 해서 왜 그런가 했는데 작가 소개를 읽어보니 이해가 된다.
캄 평야의 불하지 방갈로에서 전직 교사였던 어머니와 오빠 조제프, 쉬잔은 가난하게 살아간다.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혼자 두 자식을 건사하기 위해 많은 일을 해야 했다. 그렇게 모은 돈으로 식민지 토지국으로부터 땅을 샀지만 바닷물이 들어와 농사를 지을 수 없었다. 심는 족족 죽어버리는 땅, 계속 밀려 들어오는 바닷물을 막기 위해 제방을 쌓았고 그러느라 가진 돈을 다 써버렸다. 제방을 쌓다 실패한 후 어머니는 평소 모습과 달랐고 아이들에게 손찌검을 하기도 했다.
람에 갔다 조 씨를 알게 된 쉬잔 가족은 쉬잔에게 반해 온갖 구애를 하는 조 씨에게서 물질적인 것들만 쏙쏙~ 빼가곤 무엇도 허락하지 않았다. 조제프가 좋아할 축음기에, 팔면 돈이 될 다이아몬드 반지까지 갖다 바치며 구애를 하지만 반지를 받고 난 후 쉬잔은 조 씨에게서 돌아선다. 다이아몬드 반지를 팔아 많은 돈을 손에 넣을 생각을 한 어머니, 조제프, 쉬잔은 대도시로 향하는데...
어머니의 돈에 대한 집착은 어쩔 수 없었겠다 싶다. 가정을 책임져 줄 남편이 있길 하나 애들이 장성하길 했나. 거기다 둘씩이나 되는 자식들을 건사하려면 아무리 못해도 입에 풀칠할 수 있을 정도의 수입은 필요했을 것이다. 그런 어머니 밑에서 자란 쉬잔과 조제프 역시 '돈'이 주는 위대함에 대해 모르진 않았을 것이다. 그러니 조 씨가 갖다 바치는 물질 공세에 '얼마의 값어치가 있는지' 확인하려 들었겠지. 급기야 그렇게 탐내던 다이아몬드 반지를 손에 넣는 순간 매몰차게 차버리는 쉬잔의 모습을 보면서 우리 인간의 추악함의 끝은 어디일까 생각하게 했다. 조 씨에게 다정함이라곤 1도 보이지 않던 쉬잔의 모든 행동에 "꼭 그렇게 해야만 했니!!"라고 묻고 싶었던 <태평양을 막는 제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