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구문 특서 청소년문학 19
지혜진 지음 / 특별한서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구문

죽은 사람이 나가는 문, '시구문'. 시구문 초입에서 이야기를 풀어내며 푼돈을 뜯어내는 무당의 딸 기련이는 '서방 잡아먹은' 무당 딸년이란 소리가 너무 싫다. 빨리 돈을 모아 엄마를 떠나는 것이 기련의 계획이다. 엄마가 주는 밥은 먹기 싫고, 엄마가 하는 말은 듣기 싫다. 엄마 때문에 싸잡아 싫은 소리 듣는 게 너무 싫어 무당이 우리 엄마란 말조차 하지 않는다.

기련의 동무 백주는 병든 아버지와 동생 백희와 함께 살고 있다. 어머니는 백희를 낳다 엄마가 돌아가시고 엄마가 돌아가신 원인이 동생에게 있다는 생각에 마냥 예뻐할 수 없었다. 아픈 아버지 대신 가장 노릇을 하며, 나뭇짐을 대주는 '창수 주막'에서는 제대로 돈을 쳐주지도 않는다. 그런 주막에서 큰소리를 낼 수 있는 배짱은 기련이 밖에 없다. 힘들게 나무해다 바치고 돈도 못 받는 백주를 볼 때마다 답답한 기련이다.

개울가에서 물에 빠지며 아버지의 유일한 유품 주머니를 건져준 소애 아씨와 향이. 역모죄로 몰린 아버지가 참수 당하고 현골 김 대감 집 노비가 되는데 그곳에서 당하는 서러움은.. 요즘의 학폭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었달까? 친한 동무 대하듯 반겨주고 따끈한 떡을 나눠주던 향이의 죽음은 너무 안타깝기만 했다.

마음의 짐처럼 느껴졌던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백희를 돌봐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었을 텐데.. 끝내 백희와 기련을 위해 꽃피우지 못한 백주의 삶이 서럽도록 없이 사는 그들의 삶이었기에 안타까움이 더해졌다. 죽음이 가까워 올수록 풀피리 소리가 들리는 기련, 한순간 번쩍이는 폐물에 마음이 뺏겨 하나 슬쩍해버린, 그로 인해 어떤 일이 벌어질지 예상조차 하지 못했던 백희, 두렵기만 한 도망친 노비의 삶을 선택한 소애.. 조선시대 힘들게 살았을 백성들의 모습이 아른거렸던 <시구문>이라 하겠다.

계절이 바뀌는 걸 가장 먼저 아는 건 사람의 마음이란다.

기억은 어떤 물건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물건이나 징표가 없어도 죽은 사람의 모든 것은

산 사람의 마음속에 살아 있었다. 하지만 사람의 기억이라는 것도 계절 따라 조금씩 변해갔다.

마음이란 것은 뜻대로 되지 않아 그저 어찌할 바를 모르고 발을 동동 구르는 것만이

할 수 있는 일의 전부일 때가 많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