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자꾸 나만 따라와 - 십대와 반려동물 서로의 다정과 온기를 나누다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78
최영희 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자꾸 나만 따라와

7명의 작가가 들려주는 일곱 가지 십대와 반려동물 이야기 <왜 자꾸 나만 따라와>. 표지 속 거대 고양이에 기대어 있는 여자아이의 모습이 굉장히 편안해 보인다. 반려동물은 우리에게 큰 힘이 된다. 위로가 되고 기쁨이 되고.. 함께 있는 것만으로 마음의 위안을 얻는 존재다.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들은 동물이 아닌.. 가족이 된다. 그만큼 책임이 뒤따르는 관계가 되는 것이다.

유전자 설계로 인간이랑 짝을 지어 태어나는 반려동물인 공생동물 이야기를 담은 '누덕누덕 유니콘', 3D HB 프린터에 입력해 만든 인간 복제품과 유기견이 만나 또다시 버려질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내는 이야기 '피라온', 인종차별이 심한 미국에서 아이스하키 선수를 꿈꾸다 자꾸 벽에 부딪히던 다온이 앞발 기형 새끼 바다거북을 만나 역경을 견뎌내는 이야기 '스위치, ON', 초등학생 때 엄마를 잃은 냄새에 굉장히 민감한 주인공과 후각이 뛰어난 강아지의 이야기 '냄새로 만나', 길고양이 이야기 '고양이를 찾', 산에서 만난 길고양이를 통해 마음을 치유받는 이야기 '시벨', 말 못 하는 동물이라 오해도 받게 되는 캐양 루이의 이야기 '돌아온 우리의 친구'.


생명을 키우기 위해서는 얼마나 큰 책임감이 따르는데.

식구가 한 명 더 생긴다는 생각은 왜 못 할까?


단지 예쁘다고 들인 작고 여린 동물은 그에게 손을 내민 사람에게 모든 것을 의지할 것이다. 그렇게 믿고 따랐던 이들로부터 버림을 받는다면 그 상실감은 얼마나 클까? 끝까지 책임지지 못할 거라면 애초에 시작하지 않는 게 옳다는 생각이다. 한번 손을 내밀었다면 그 삶이 다하는 날까지 사랑으로 돌봐줬으면 좋겠다.

넌 아무 말 하지 않았지만, 어디에나 있었어.

내가 있는 그 어느 곳이라도.

너를 잠깐씩 혼자 두긴 했지만,

적어도 너는 나를 홀로 남겨둔 적은 없었지.

언제든 기다렸고, 잠시도 떨어져 있지 않으려 했던 거 알아.

한결같아서, 처음부터 끝까지 너무나 똑같아서,

언제나 너는 그럴 거라 생각했었어.


일곱 편의 단편이 재밌기도 했지만 씁쓸하기도 했던 이야기들이었다. 특히 마지막 편 '돌아온 우리의 친구'의 작가의 말이 너무 가슴 아프게 다가왔다. '반려'란 일방적으로 어느 한쪽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 아닌 서로에게 '충분'해야 하며, 그것 자체가 약속이고 신뢰여야만 반려라 말할 수 있다고.. 전적으로 공감하는 말이었다. 함께하는 시간이 너무 좋았고, 좋았고, 또 좋았다.

너와 함께했던 19년

내 생에 가장 따뜻했던 시간이었을 거야.

넌 어땠니?

무지개다리 너무 그 세상에서

온화한 시간을 맞길 바랄게


이번 주 월요일 17년 4개월을 함께 했던 반려견이 무지개다리를 건넜다. 호흡곤란으로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고 출근했는데 집에 오니 벌써 우리 곁을 떠나버린 쿠키. 오랜 시간 만성 신부전과 심장병으로 힘들어했는데 이젠 먹기 싫은 약도 그만 먹고, 맛있는 것 많이 먹으면서 먼저 떠난 엄마 만나 폴짝폴짝 뛰어다니길.... 내 생에 가장 따뜻한 시간을 선물해 준 쿠키.. 고맙고 사랑한다.

반려동물을 들이기 전에 청소년들 읽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왜 자꾸 나만 따라와>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