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극히 내성적인
최정화 지음 / 창비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정화 소설집 <지극히 내성적인>을 읽었다. 10편의 단편이 실려 있는데 흥미로운 작품이 많아서, 장편 <없는 사람> 이후 또 한번 만족스러운 경험을 안겨준 작가.
주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미세한 균열을 보여주는데 특히 '구두', '홍로', '대머리' 등이 인상적이었다.
가사 도우미의 분열을 그린 '구두'는 왓챠에서 본 단편영화, 가사 도우미와 SNS 문제를 결합한 '그녀'와 비슷한 설정.
'홍로'는 계약 관계의 노부부 이야기를 하루 동안의 단막 꽁뜨 느낌으로 잘 그려냈다.
'대머리'는 여자친구의 사촌에게 잘 보이려는 중년 남자의 애달픈 이야기다.
관계의 불안함을 그려내는 작가의 태도가 한발짝 떨어진 관점이고 골계미가 살아 있어 읽기 편했다.

표지 이미지를 잘 뽑아낸 것 같다. 줄무늬가 오돌토돌 입체적으로 만져진다.
제목의 '지'가 뾰족 솟은 것이 균열을 표현하는 것 같기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 소개하는 두 권은 혼자서 즐기는 술, 집에서 만들어 먹는 요리-라는 컨셉의

특별한 스토리가 없는 일상만화다.

다소 지역색이 강한 일본의 술과 요리들이 얼마나 한국 독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을 수 있을까-는

책을 사서 본, 그리고 일본 문화에 관심이 많은 나로서도 좀 의문이다.

다케노우치 히토미의 <혼술 땡기는 날>. 애니북스 출간.

술을 좋아하나 세지는 않은 혼자 사는 만화가가 집에서 즐기는 혼술과 요리들.

만화적 재미가 막 있지는 않고 귀여운 정도.

드라마화된 혼술 스토리의 <와카코와 술>이 얼마나 잘 만들어진 만화인지 살짝 대비됨.

 

이시야마 아즈사의 <수고했으니까, 오늘도 야식>. 북폴리오 출간.

혼자 사는 일러스트레이터가 집에서 만들어 먹는 음식들.

컬러판이라는 점이 강점일까, 비슷한 컨셉의 <하나씨의 간단 요리>에 비해 많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히가시무라 아키코, 도쿄 후회망상 아가씨 4 : 재미있게 읽었던 20대 여성들의 일과 사랑.

오자키 이라, 심야의 유감천만 사랑도감 1,2 : 가벼운 로맨스물인데제목과  표지가 호기심을 끄네.

이시야마 아즈사, 수고했으니까 오늘도 야식 : 무수한 음식만화들 가운데 혼밥 이야기.

다케노우치 히토미, 혼술 땡기는 날 : 슥슥 대충 그린 귀여운 그림체에, 관심 가는 혼술 이야기.

최예선/김줄, 오늘은 홍차 : 글작가가 <홍차 느리게 매혹되다>를 썼던 이. 홍차 만화는 어떨지.

야마자키 마리, 플리니우스 : 로마 배경 목욕탕 만화를 쓴 <테르마이 로마이> 작가의 신작. 이번에는 로마 역사물.

요시나가 후미, 어제 뭐 먹었어? 12 : BL과 음식의 결합, 좋아하는 시리즈.

마키 히로치, 언젠가 티파니에서 아침을 1 : 도쿄에 사는 여성이 식당을 다니는 이야기. 제목을 잘 지은 듯.

마스다 미리, 밤하늘 아래 : 마스다 미리 만화는 거의 다 소장하고 있는데, 중고로 떴길래 구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클로즈업 도쿄 : 도쿄 여행가이드는 여러 권 있지만, 시내 위주로 다닐 거면 이 책도 꽤 괜찮은 듯. 추천  스폿 요약이 잘 되어 있다.

소네 게이스케, 코 : 일본 호러소설 대상,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 작가의 호러+미스터리 단편집. 이웃 블로거 추천작.

토마스 H. 쿡, 브레이크하트 힐 : 좋아하는 작가의 신작인데, 오퍼스프레스라는 처음 보는 출판사에서 나옴. 스릴러인데 분홍분홍한 표지.

아사이 료, 내 친구 기리시마 동아리 그만둔대 : 왓차에서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라는 영화를 보게 되었는데, 발군의 감각. 원작이 있단 걸 알고 찾아보니 작가가 나오키 상을 받았고 등등. 10대의 미묘한 감정선을 잘 묘사한 작품.

아사이 료, 누구 : 20대 취업활동 중인 청춘들의 SNS 상의 관계를 그린.  

아사이 료, 스페이드3 : 평범한 직장에 다니며 극단 배우의 사생팬 활동이 취미인 여자와 주변인물들의 미묘한 심리를 다룬 소설

요시다 슈이치, 타이베이의 연인들 : 한때 열심히 읽었던 작가인데, 오랜만에. 엇갈리는 연인들의 로맨스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남주 소설 <82년생 김지영>은 한 인간의 일생을 평균치로 그려내겠다는 이상한 야심에 가득찬 작품이다. 다큐 스타일로 서술된, 김지영 가족을 묘사하는, 서점에서 넘겨본 첫 페이지가 눈에 쏙 들어왔다.
한국에서 82년생 여자로 살아왔다는 것은,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띄는가 라는 문제의식이 때론 너무 날것으로 드러나서 불편했다. 김지영씨가 겪게 되는 여러 상황들이 모두 사회구조와 여성을 차별하는 인식 탓인 양 하는 것도 그렇고. 남편인 정대현씨의 인생은 어땠나 그럼.
가장 마음에 안 들었던 건 인생을 평균 내겠다는 의도였던 것도 같다. 여러 모로 마음에 들지 않아 불평하면서도 끝까지 읽어냈다.
이런 류의 문제의식을 갖고 소설화하는 점은  <한국이 싫어서>의 장강명 작가를 떠올리게 만든다. 조남주 작가가 다큐 작가 출신이라는 것도 한몫했을 것 같고.

p.s. 우리 부모님은 더 옛날 분인데도 남동생보다 나를 더 우대하며 키워주셨다. 세대를 넘어 우리 딸은 남동생에게 많이 양보하며 자라고 있다. 역시 이 문제는 어렵긴 해.

 

김지영씨는 우리 나이로 서른네 살이다. 3년 전 결혼해 지난해 딸을 낳았다. 세 살 많은 남편 정대현 씨, 딸 정지원 양과 서울 변두리의 한 대단지 아파트 24평형에 전세로 거주한다. 정대현 씨는 IT 계열의 중견기업에 다니고, 김지영 씨는 작은 홍보대행사에 다니다 출산과 동시에 퇴사했다. 정대현씨는 밤 12시가 다 되어 퇴근하고, 주말에도 하루 정도는 출근한다. 시댁은 부산이고, 친정 부모님은 식당을 운영하시기 때문에 김지영 씨가 딸의 육아를 전담한다. 정지영 양은 돌이 막 지난 여름부터 단지 내 1층 가정형 어린이집에 오던 시간 동안 다닌다.
9p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ethink 2019-12-30 05: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중하고 날카롭습니다.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