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들이 난무한다. 누군가의 가슴에 박혀 큰 울림을 주는 말들이 아니라, 누군가의 가슴에 상처만을 주는 말들.

 

상처가 깊은 사람, 상처를 헤짚는 말들.

 

나하고는 상관없다는 듯이 말하는 '유체이탈의 말들'

 

소위 막말들이 날아다니고 있는 이 때, 진실한 말들은 어디에 숨었는지. 우리들의 마음을 위무해줄 말들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지.

 

말이 얼마나 소중한지 느끼는 요즘인데...

 

언어폭력이란 말을 쓰면서 정작 언어폭력을 근절해야 한다고 하는 사람들이 더 언어폭력을 쓰고 있는 현실, 국민들의 의사를 대변해서 대신 정치한다는 사람들이 자신의 말들을 교묘하게 운용하여 국민과 점점 멀어지고 있는 현실.

 

세상사를 훤히 알고 있다는 소위 전문가라는 사람들, 지식인이라는 사람들, 그들이 어떻게 말들을 자기 구미에 맞게 변용하여 사용하고 있는지...

 

마음을 울리는 말이 그리워지는 요즘인데...

 

수다스런 말보다는 할 말을 명확히 하는 그런 간결한 말. 이시영의 시집을 헌책방에서 구하다.

그의 시는 짧아서 좋다. 말을 아끼고 아껴서 할 말만 딱 하고 만다. 그래서 읽기에 좋다. 읽은 다음에 숨어 있는 의미를 찾는 것도 좋다.

 

짧은 말 속에 긴 울림이 있다. 그런 그의 시집 "무늬"를 읽다가 발견한 시. 詩

 

       시(詩)

 

화살 하나가 공중을 가르고 과녁에 박혀

전신을 떨 듯이

나는 나의 언어가

바람 속을 뚫고 누군가의 가슴에 닿아

마구 떨리면서 깊어졌으면 좋겠다

불씨처럼

아니 온몸의 사랑의 첫 발성처럼

 

이시영, 무늬, 문학과지성사. 1994년 초판 2쇄. 64쪽

 

이런 말 어디 없나 하는 생각이 든다. 첫사랑의 말처럼... 처음 사랑을 보내는 그런 말처럼, 우리의 마음을 울리는 말.

 

학교에서 교사의 말 한 마디가 자신의 운명을 바꿨다는 말이 예전에는 나왔는데, 요즘은 교사의 말 한 마디로 자신의 인생을 결정했다는 학생을 찾기 힘들 정도로, 가르치고 배우는 현장에서도 말은 가슴에 울림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당과 야당의 대표가 모여 사회적 대타협이라고 서로 자화자찬하면서 합의했다는 정책을 아무렇지도 않게 뒤집어버리는 일이 다반사인 이 나라에서, 말에 대해 책임을 지는 사람들이 너무도 드물어 천연기념물이 되어 가고 있는데...

 

그러니 마음을 울리는 말은 커녕, 누군가의 가슴까지 가지도 못하는 말들이 허공 중에 흩날리고 있는 현실이니.

 

가슴과 가슴을 이어주는 말, 가슴을 떨리게하는 말,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이 그리워지는 요즘이다.

 

그래서 가끔 시를 읽는지도 모른다. 시에서는 아직도 마음을 울리는 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팍팍한 시대, 헝크러진 말들의 난무 속에서 극도록 언어를 절제하고 있는 이시영의 시집을 읽어보자.

 

위로를 받을 수 있을 거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