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전이 왜곡한 한국사의 장면들 - 국어사전으로 한국사 공부하기, 국어사전 속 한국사 용어와 인물들
박일환 지음 / 새로운눈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오래 전에 학교에 다닌 사람들은 한 해를 마무리 하면서 각종 상을 줄 때 상품으로 사전을 받은 기억이 있을 것이다. 국어사전, 옥편, 영어사전 등을 부상으로 줬다. 그만큼 사전은 공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요즘은 집에 사전을 비치해 놓고 있는 집은 많지 않다. 굳이 종이 사전을 펼쳐볼 일이 없기 때문이다. 인터넷으로 대부분 해결이 되고, 또 인터넷 사이트에 질문을 올리면 답이 곧장 올라오기 때문이다. 인터넷 상에서 사전을 검색해서 찾아도 되고.


종이 사전이든 인터넷 사이트에 있는 사전이든 사전은 무언가를 모를 때 참고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요즘 쉽게 접하는 위키피디아라든가, 나무 위키 등을 보면 거의 모든 분야에 대한 사실들이 정리되어 있다. 물론 잘못된 사실도 들어가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밝혀지는 즉시 수정이 된다.


그야말로 여러 사람이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을 토대로 사전 작업에 참여한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잘못된 내용은 즉시 수정을 할 수 있다. 내가 알고 있는 사실이 잘못되었을 수도 있는데, 그것을 수정해줄 사람들이 도처에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에 떠도는 수많은 내용 중에 그래도 사전은 믿을 만하다고 여긴다. 사전을 참고하는 경우는 그러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다. 하지만, 이 책을 보라. 우리나라에서 가장 권위 있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잘못된 내용이 얼마나 많은지...


굳이 싣지 않아도 될 사람 이름까지 싣고 있는데, 이왕 수록할 것이면 제대로 하던지, 이렇게 많은 내용이 잘못되었을 줄은 몰랐다.


조선어학회에서 사전을 만들려고 할 때 얼마나 많은 조사를 했겠는가. 그들은 사전은 자신의 목숨과도 같다고 여기지 않았을까. 우리말을 모아, 그 말들이 계속 살아남도록 하기 위한 노력. 목숨을 잃은 학자도 있는데... 지금은 많은 자료들을 편리하고 빠르게 찾아볼 수 있는 시대 아닌가.


그리고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표준국어대사전이라면 사실에서 오류는 최소화해야 하지 않나. 오류가 발견되면 즉시 고쳐야 하고. 따라서 표준국어대사전을 비판하는 내용을 발견하면, 그것에 대해서 검증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즉시 해야 하지 않나. 그것이 국립국어원이 해야 할 최소한의 업무 아닌가 하는데...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하기 전에 '우리말 샘'이라고 따로 운영하는 사전이 있다. 사전에 등재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인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을 두는 것은 좋다. 하지만 이미 수록된 낱말들에 오류가 있다면 당연히 즉시 수정해야 하지 않나.


특히 이렇게 그러한 오류들을 바로잡아 알려주는 책이 나와 있는데... 그런 작업을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국립국어원의 책임방기라고 할 수 있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사전 작업에 참여하기 힘드니, 오류를 알려주면 국립국어원에서 사전을 담당하는 사람을 두어 수정 작업을 하게 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는데...


그래야 어떤 사실들에 대해 알고자 할 때 사전을 믿고 참고할 수 있지. 물론 사전에 사람 이름들이나 역사적 사건들까지 다 수록하라는 말은 아니다. 그것들은 따로 인명 사전, 역사 사전 등으로 발간하면 된다. 그렇게 되기까지 이미 국어사전에 수록되어 있는 사람 이름이나 역사 사건들에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수정해야 한다. 그런 작업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을 이 책의 저자는 힘써 말하고 있다.


받아들여야 한다. 그것이 문화강국으로 가는 길이다. 앞에 K를 붙여 K-팝, K-컬처 등등이라고, 세계로 확산되어 가는 한국 문화를 자랑스레 여기는 이 때, 우리나라 국어사전에 잘못된 내용이 있나를 살피고 수정하는 것이 그러한 문화를 지속시키는 길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자기 나라 사전조차도 제대로 만들지 못하면서 세계에 어떻게 문화 강국이라고 자랑할 수 있겠는가.


따라서 이 책에서 지적하고 있는 내용들, 참고하고 사전의 내용을 수정해야 한다. 이 책에 나와 있는 한 가지 예를 들어본다. 얼마나 표준국어대사전에 잘못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지...


사회교화사업(社會敎化事業): <교육> 잘못된 사회 풍조를 바로 잡고 좋은 풍속을 키우기 위하여 사회 대중을 지도하고 교육하는 사업.


좋은 말 같다. 그런데, 지금 사회교화사업이란 말은 쓰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 말의 유래는 무엇일까? 저자는 일제시대 우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이 말을 썼다고 한다. 즉 일본에 충성하는 사람들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펼치는 정책이었다는 것이다. 그런 말을 굳이 사전에 등재할 필요가 있을까 하고 의문을 제기한다. 굳이 등재를 할 것이면 이러한 역사적 사실들을 알려주든지. (190-192쪽)


이렇게 잘못된 내용들, 또는 불필요한 내용들을 담고 있는 이 책이다. 사전의 오류를 밝히고 있지만 읽으면서 우리 역사나 인물들을 알아가는 재미도 있으니, 한번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