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승리 - 도시는 어떻게 인간을 더 풍요롭고 더 행복하게 만들었나?
에드워드 글레이저 지음, 이진원 옮김 / 해냄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가보고 싶은 나라도 있지만
가보고 싶은 도시자체도 살면서 많아졌다.
방문해 보지 않은 바램 속의 장소들이기에
아는 내용들은 협소하고 단편적이지만
그래서 더 매력적이라고 생각할 때가 있곤 했다.
그런데 이 책을 보면서 무슨 관광책자를 읽은 것도 아닌데
가보지 못한 많은 나라들 속 수많은 도시들이
더 친근해지고 나에게 다가오는 듯 느껴졌다.
도시란 자체가 사람들이 모여 수요 공급을 이루며
어느 나라에서든지 나름의 생명력을 유지해나간다는 공통점이 있기에
국적을 떠나 도시자체의 매력을 느끼게 됐나도 싶었지만,
번화가를 떠올리거나 배드타운 등의 피상적인 상상력이 아닌
전문가의 분석과 설명이 그 위에 첨가가 됐기에
내가 사는 도시의 가치도 좀더 분명히 정리가 된거 같았고
생멸을 이어가는 유기체같은 존재같은 도시의 느낌도 언뜻 들었다.
예를 들어, 나에게 인도는 그리 가보고 싶은 나라나 도시가 아니다.
석회질이 많은 수질 때문에 파는 생수의 구입없이
아무 물이나 먹으면 안된다는 누군가의 얘기를 전해듣고
단순한 불편함이나 거리감 때문에 시작됐던 선입견 일수 있지만
이 책에선 이런 나의 상상속 인도란 나라마저 그 국가 속의 한 도시에선
굉장한 신흥파워를 지닌 도시로 뉴욕 못지 않은 비중으로
책의 앞부분에서 소개해 놓고 있어
견문도 넓히고 약간의 선입견도 수정할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며 가장 뜻밖이었던 것 중 하나는
도시란 외형을 많이 다룰 줄 알았는데
한권의 영화라면 간단하고 대표적인 시놉시스보단
자세한 줄거리와 촬영 뒷얘기까지 알 수 있어
도시란 딱딱할 수 있는 주제가 인문학적 소제로써
충분히 발휘됐다는 생각을 들게 만든다.
지금 한국의 역사는 이 책속에 등장하는
제일 닮았으면 싶은 한 도시의 몇십년 후의
모습 속으로 빠르게 달려가고 있지않나 싶다.
긍정적인 모습을 보고 느꼈다기 보단
부정적인 느낌들 속에서 그런 발전의 가능성을 보았다는게
조금 아쉬고 아이러니기도 하지만 말이다.
도시란 무생물만을 다루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면
이 책은 건축이나 도시공학에 가까워야 했겠지만
도시란 제목 그대로가 아닌 사람의 얘기에 촛점이 있기에
의외로 화려하고 서사적인 내용이 많이 들어있어 좋았고
그래서 잛지만 분석적인 역사서에 가깝다고 할 수도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운동선수를 위한 몸과 체력의 균형
그레이 쿡 지음, 이경옥 외 옮김 / 대한미디어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동일한 주제로 국내저자들이 쓰는 고만고만한 책이 아닌 읽을만한 번역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지호 2013-06-23 16: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녹턴님 2년전 글이지만 혹시 이 운동선수를 위한 몸과 체력의 균형 파실생각이 있으신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남자는 힘이다 - 맛스타드림 포스 근육 만들기 강좌 남자는 힘이다 1
맛스타드림 지음 / 씨네21북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책으로 묶을만한 좋은 컬럼들이었다! 소장가치 높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본 아이덴티티 1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19
로버트 러들럼 지음, 최필원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복간을 예고하고 나오기까지 이렇게 오래 걸릴수가...그래도 막상 만나니 반갑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eneral Paik - 6.25 전쟁의 파워 리더 백선엽을 말한다
유광종 지음 / 책밭(늘품플러스)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순서상으로 맨 마지막이지만 지은이가 남긴 그 말이
가장 마음에 많이 와 닿았고 떠오른다.
백장군의 전쟁을 중점으로 기술된 이번 책속의 인생에 덧붙여
그 이후에 그가 살아온 삶도 책으로 한번 엮어보고 싶다는 진심어린 말.
작가로써 완벽한 자서전을 완성하고픈 마음에 꺼낸 말일 수도 있겠고
존경하는 인물에 대한 좀더 많은 것을 작가로써 소유해보고 싶은
마음에서 꺼낸 말일 수도 있을 것이다.
어느 쪽이 됐건 그의 그런 바램이 이 책을 읽은 사람으로써
꼭 이루어졌으면 하는 같은 바램을 가져본다.
백선엽 장군에 관한 책들은 생각보다 많은 편이다.
그런데 더 특이한건 그런 책들의 대부분이 거의 대필보다는
백장군 스스로가 쓴 책들이 많다는 점이다.
퇴역한 많은 장군들이 자신들의 책을 준비하고 쓰긴 하지만
대필이 판치는 분야에서 쉽게 보기 어려운 광경같다.
좀더 사실적일 수도 있고 사견에 기초하는 책이 될수도 있지만
난 긍정적인 측면에서 노병들의 책들을 바라보곤 한다.
그런 면에서 군인으로써의 삶에 많은 촛점이 맞춰진 내용들과 더불어
그런 화려하고 급박했던 장면은 없을 수 있겠지만
그들이 좀더 일반인으로써 돌아왔을 때나
천직같은 군복을 벗었을 때의 모습 또한 많이 궁금기도 하다.
이 책은 이런 모든 바램을 담을 순 없었지만
제3자가 써내려간 백선엽 장군의 이야기란 측면에서
매우 임팩트가 강한 책이 될 것 같다.
내가 아닌 '그'로 지칭되는 책만이 가질 수 있는
나레이션이 돋보이는 책이라고도 할 수 있다.
특히 백선엽 장군과 박정희 전 대통령 사이의
한국전쟁 기간에 있었던 인연이나 사건들은
신문 등을 통해 들었던 부분들도 있었지만
관찰자적 시점에서 둘의 모습과 입장을 서술해 본
이 책의 건조한 문체가 왠만한 자서전만큼 흡입력이 있었다고 본다.
가끔 백장군이 한국전쟁 시기의 한국과
그 당시의 고민들을 들려주는 기사들을 만날 때
지금의 한국과 그때의 한국의 갈등이
왠지 그리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해보게 만든다.
힘이 있었고 전시상황과 결부돼 움직였던 그때의 세상속에서도
내가 보기엔 그의 생각만큼 많은게 되진 않았었던거 같다.
그가 부족해서였다거나 생각이 짧았던게 아니라
완전히 한쪽으로 치우쳤던 시대가 사실 한국역사상엔 없었던게 아닐지.
한쪽이 더 눈에 띄어도 항상 반대쪽 진영도 존재하는 세상.
정치의 논리는 세상 돌아가는 논리로든지 간에
백선엽이란 한국사의 위대한 장군의 얘기속엔
많은 이의 인생을 아우르는 공통분모가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