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라, 오늘이 마지막 날인 것처럼 - 삶의 마지막 날, 내 인생에 묻는다
오자와 다케토시 지음, 김해용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17년 12월
평점 :
절판

책을 덮으며 받은 느낌을 정리하다가 생각난 말이다.
요즘 세상에 눈에 익은 이 얘기도 출처는 잘 모르겠다.
아마도 기독교쪽은 아닐까 싶은데 그 사실여부는 중요치 않은거 같다.
그저 이 책을 읽고 있었던 심플하면서도 좋은
마음속 무장 하나가 생각났다는게 이 책에 나름 감사해야할 부분같았다.
범사에 감사해야 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데...
사례들과 생각이 고루 섞여있는 책이다.
죽음에 대한 얘기도 책 전반적으로 많이 나오는 듯 하다.
모두 간단해서 이해도 잘 되고 설명도 좋다.
특히, 일본글 특유의 느낌이 매우 좋았다.
말도 안되는 말도 간혹 있고 다들 책까지 안보더라도
흔히 생활하며 느낄만한 간단한 얘기들을
대단한 잠언인 냥 우기듯 반복하는 책들도 많은데,
괜찮은 일본번역서들은 이런 답습을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이 책이 안좋은 예들 속에서 좋은 모범답안을 보여주는 책이라 느낀다.
특히 호스피스를 하며 느낀 점들이 주가 되어 서술되기 때문에
죽음에 대한 얘기는 앞서 말한 것처럼 책속 전반에
없을 수가 없는 얘기인데 거부감이 없는 건 당연하고,
특이한건, 죽음이란 주제가 주는 숙연함이 아니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삶의 힘을 주는 활력으로 쓰일만한 소재로써
죽음이 다뤄지고 있는 느낌이라는 것이다.
슬프고 아프고 되돌릴수 없는 얘기임에도 그리 버겁지 않다.
책의 제목도 죽음이 아닌 오늘이 마지막처럼
살라는 용기를 던지는 제목이다.
책을 읽으며 지난 시간들을 저절로 생각나던 건
지나온 시간동안 내 주위를 떠난 사람들이었다.
그들과 같이 살아온 공간과 시간은 당시엔
모두 오늘이었고 현재였는데...
많은 사람들이 떠났다. 어떤 사람은 관계도 별로 없는데도
기억을 스친다. 반대로 그렇게 가까웠는데
죽음이 마치 영화의 엔딩인냥 그 순간으로
그 인연의 기억이 끝이었기도 했던거 같다.
근데, 이 책 때문일까...마음이 아련하다.
내가 잘 산것도 그들을 잘 보낸것도 아닌거 같아서.
지금 이 미안한 감정이 내가 날 위해 잘 산다고
기분좋게 해소되고 당연시 느껴야 하는지 의문도 든다.
근데 하나는 분명한거 같다.
누군가의 희생과 죽음이 맹목적으로 기억되는게 아니라
알아주는 사람, 기억해주는 사람, 의미있게 느껴주는 사람으로 인해서
죽음도 남은 사람의 삶도 가치있어지는 건 아닌가 하는.
책이 작고 소박하지만, 던지는 메세지는 가볍지 않았다.
예전 비슷한 일을 하는 한국의 비구니 스님의 책을 읽었었다.
아마도 그 느낌 때문에 더 이 책을 보려했는지도 모르겠다.
결코 나 혼자 잘 살아보겠다고 펼쳐봐야 할 책은 아니다.
마음의 거울을 글로써 닦아보는 느낌으로
차분한 일독을 권해본다.